대한민국 원자력안전위원회 위원장 |
---|
 |
|
초대 | 강창순 |
---|
설치일 | 2011년 |
---|
원자력안전위원회 위원장(原子力安全委員會 委員長)은 원자력안전위원회를 대표하는 직위로, 차관급 정무직공무원으로 보한다.
- (정부조직법 제7조제1항) 각 행정기관의 장은 소관사무를 통할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감독한다.
- (원자력안전위원회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 제6조제1항) 위원장은 위원회를 대표하고, 위원회의 회의를 주재하며, 소관 사무를 총괄한다.
정부 | 대수 | 이름 | 임기 | 비고 |
김영삼 정부 | 초대 | 권숙일(權肅一) | 1997년 7월 1일~1998년 2월 28일 | 과학기술처 장관이 겸임 |
김대중 정부 | 2대 | 강창희(姜昌熙) | 1998년 3월 3일~1999년 3월 22일 | 과학기술부 장관이 겸임 |
3대 | 서정욱(徐廷旭) | 1999년 3월 23일~2001년 3월 25일 | |
4대 | 김영환(金榮煥) | 2001년 3월 26일~2002년 1월 28일 | |
5대 | 채영복(蔡永福) | 2002년 1월 29일~2003년 2월 26일 | |
노무현 정부 | 6대 | 박호군(朴虎君) | 2003년 2월 27일~2003년 12월 27일 | |
7대 | 오명(吳明) | 2003년 12월 28일~2004년 10월 17일 | |
8대 | 2004년 10월 18일~2006년 2월 9일 | 부총리 겸 과학기술부 장관이 겸임 |
9대 | 김우식(金雨植) | 2006년 2월 10일~2008년 2월 28일 | |
이명박 정부 | 10대 | 김도연(金道然) | 2008년 2월 29일~2008년 8월 6일 |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이 겸임 |
11대 | 안병만(安秉萬) | 2008년 8월 6일~2010년 8월 30일 | |
12대 | 이주호(李周浩) | 2010년 8월 31일~2011년 10월 25일 | |
정부 | 대수 | 이름 | 임기 | 비고 |
이명박 정부 | 초대 | 강창순(姜昌淳) | 2011년 10월 26일~2013년 3월 23일 | 장관급 중앙행정기관의 상설 위원장으로 분리 |
박근혜 정부 | 2대 | 이은철(李銀哲) | 2013년 4월 12일~2016년 4월 14일 | 차관급으로 격하 |
3대 | 김용환 | 2016년 4월 15일~2018년 1월 1일 | |
문재인 정부 |
4대 | 강정민(姜政敏) | 2018년 1월 2일~2018년 10월 29일 | |
5대 | 엄재식(嚴在植) | 2018년 10월 30일~2021년 12월 4일 |
6대 | 유국희(劉國熙) | 2021년 12월 4일~2024년 12월 3일 | |
윤석열 정부 | 5대 | 최원호(崔元湖) | 2024년 12월 4일~ | |
|
---|
|
위원회 소속 | | |
---|
산하 공공기관 | |
---|
- 위원장, 상임위원, 비상임위원(7인) 등 총 9인의 위원으로 구성된 합의제 행정기관이다.
- 위원장은 차관급이고 상임위원은 고위공무원 가급(1급 상당)이며 상임위원이 사무처장을 겸임한다.
|
|
---|
원장 | | |
---|
장관 | |
---|
실장 | |
---|
위원장 | |
---|
처장 | |
---|
외청장 | |
---|
- 감사원장, 기획재정부 장관 및 교육부 장관은 부총리급 대우를 받는다.
- 국무총리비서실장, 원자력안전위원회 위원장, 처장 및 외청장은 차관급 대우를 받는다. 단, 검찰총장은 장관급 대우를 받는다.
- 그 외의 직책은 모두 장관급 대우를 받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