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동계 올림픽 스켈레톤 여자
2018년 동계 올림픽 여자 스켈레톤 | ||||||||||
---|---|---|---|---|---|---|---|---|---|---|
![]() ![]() | ||||||||||
개최국 | 대한민국 | |||||||||
개최 도시 | 평창 | |||||||||
개최 기간 | 2월 16일~17일 | |||||||||
경기장 | 알펜시아 슬라이딩 센터 | |||||||||
참가국 | 16개국 | |||||||||
참가 선수 | 20명 (여자: 20명) | |||||||||
메달리스트 | ||||||||||
| ||||||||||
« 2014 2022 » |
![]() ![]() ![]() |
2018년 동계 올림픽 스켈레톤 |
2018년 동계 올림픽의 여자 스켈레톤은 대한민국 평창군 알펜시아 슬라이딩 센터에서 2018년 2월 16일부터 17일까지 진행되었다.
예선
[편집]올림픽 본경기에 앞서 출전권을 따내기 위한 예선이 진행됐다. 2018년 1월 14일 기준의 종합순위 (4개 투어 대회 결과를 합산)에 따라 총 20명의 선수가 출전권을 획득하였다. 그 중에서 상위 2개국은 총 세 명의 선수를, 그다음 4개국은 두 명의 선수를, 그다음 6개국은 한 명의 선수를 출전시킬 수 있다. 이로써 최대 출전쿼터를 확보한 국가 출신 선수 중 출전권이 주어지지 못한 나머지 선수들은 제하는 조건에서, 상위 45위까지의 선수들이 올림픽에 출전할 수 있다. 한편 대륙별 출전쿼터도 시행되는데 아프리카 대표로 나이지리아가, 오세아니아 대표로 오스트레일리아가 출전하였으며 대한민국은 개최국 지위로 출전권을 확보하였다.[1]
올림픽에 참가하는 선수들은 2016/17 시즌이나 2017/18 시즌에 열린 총 세 번의 대회에서 다섯 번의 레이스를 펼쳤어야 출전자격을 갖추게 된다.[2]
결과
[편집]2월 16일에 1-2차 시도가 진행됐고, 2월 17일에 3-4차 시도를 진행한 뒤 종합기록으로 순위를 가릴 예정이다.
순위 | 순번 | 선수 | 국가 | 1차기록 | 1차순위 | 2차기록 | 2차순위 | 3차기록 | 3차순위 | 4차기록 | 4차순위 | 총합 | 비고 |
---|---|---|---|---|---|---|---|---|---|---|---|---|---|
![]() | 14 | 리지 야놀드 | ![]() | 51.66 TR | 1 | 52.30 | 9 | 51.86 | 2 | 51.46 TR | 1 | 3:27.28 | – |
![]() | 7 | 야클린 뢸링 | ![]() | 51.74 | 2 | 52.12 | 4 | 52.04 | 7 | 51.83 | 3 | 3:27.73 | +0.45 |
![]() | 10 | 로라 디스 | ![]() | 52.00 | 6 | 52.03 | 2 | 51.96 | 5 | 51.91 | 5 | 3:27.90 | +0.62 |
4 | 9 | 야닌 플로크 | ![]() | 51.81 | 3 | 52.07 | 3 | 51.92 | 4 | 52.12 | 10 | 3:27.92 | +0.64 |
5 | 6 | 티나 헤르만 | ![]() | 51.98 | 4 | 52.31 | 10 | 51.83 | 1 | 51.86 | 4 | 3:27.98 | +0.70 |
6 | 8 | 안나 페른슈테트 | ![]() | 51.99 | 5 | 52.17 | 5 | 51.88 | 3 | 52.00 | 6 | 3:28.04 | +0.76 |
7 | 13 | 렐데 프리에둘레나 | ![]() | 52.14 | 7 | 52.17 | 5 | 52.09 | 9 | 52.09 | 8 | 3:28.49 | +1.21 |
8 | 17 | 킴벌리 보스 | ![]() | 52.33 | 8 | 52.26 | 7 | 51.99 | 6 | 52.01 | 7 | 3:28.59 | +1.31 |
9 | 4 | 엘리자베스 배티 | ![]() | 52.45 | 12 | 52.01 | 1 | 52.37 | 14 | 51.82 | 2 | 3:28.65 | +1.37 |
10 | 5 | 제인 섀널 | ![]() | 52.42 | 11 | 52.28 | 8 | 52.28 | 10 | 52.09 | 8 | 3:29.07 | +1.79 |
11 | 16 | 마리나 질라르도니 | ![]() | 52.34 | 10 | 52.35 | 12 | 52.28 | 10 | 52.46 | 13 | 3:29.43 | +2.15 |
12 | 11 | 미렐라 라네바 | ![]() | 52.48 | 14 | 52.33 | 11 | 52.06 | 8 | 52.65 | 15 | 3:29.52 | +2.24 |
13 | 12 | 케이티 얼랜더 | ![]() | 52.33 | 8 | 52.40 | 13 | 52.33 | 12 | 52.55 | 14 | 3:29.61 | +2.33 |
14 | 15 | 킴 멜르망 | ![]() | 52.56 | 16 | 52.54 | 14 | 52.34 | 13 | 52.26 | 11 | 3:29.70 | +2.42 |
15 | 2 | 정소피아 | ![]() | 52.47 | 13 | 52.67 | 15 | 52.47 | 15 | 52.28 | 12 | 3:29.89 | +2.61 |
16 | 19 | 재키 내러콧 | ![]() | 52.53 | 15 | 52.76 | 16 | 52.62 | 17 | 52.82 | 17 | 3:30.73 | +3.45 |
17 | 18 | 켄델 워센버그 | ![]() | 52.77 | 17 | 52.96 | 17 | 52.54 | 16 | 52.65 | 15 | 3:30.92 | +3.64 |
18 | 1 | 마리아 마리넬라 마질루 | ![]() | 53.31 | 18 | 53.47 | 19 | 53.48 | 18 | 53.66 | 19 | 3:33.92 | +6.64 |
19 | 3 | 오구치 다카오 | ![]() | 53.82 | 19 | 53.41 | 18 | 53.62 | 19 | 53.11 | 18 | 3:33.96 | +6.68 |
20 | 20 | 시미델 아데아보 | ![]() | 54.19 | 20 | 54.58 | 20 | 53.73 | 20 | 54.28 | 20 | 3:36.78 | +9.50 |
TR – 트랙 신기록
각주
[편집]- ↑ “Quota Allocation PyeongChang Olympic Winter Games 2018 - Men's Skeleton - IBSF 14 January 2018” (PDF). 《www.ibsf.org》. 국제 봅슬레이 스켈레톤 연맹 (IBSF). 2018년 1월 15일. 2018년 1월 16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월 15일에 확인함.
- ↑ “Qualification Systems for XXIII Olympic Winter Games, PyeonChang 2018 Skeleton” (PDF). 국제 봅슬레이 스켈레톤 연맹 (IBSF). 2017년 11월 7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월 20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