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동계 올림픽 스켈레톤 예선
![]() ![]() ![]() |
2018년 동계 올림픽 스켈레톤 |
다음은 2018년 동계 올림픽 스켈레톤 종목 출전 예선에 관한 규칙과 출전권 배정 현황에 관한 것이다.[1]
배정 규칙
[편집]이번 대회에서는 총 50명의 선수에게 출전권이 부여되며, 남자 30명에 여자 20명이다. 출전권 배정은 2018년 1월 14일 스위스 생모리츠의 제7차 월드컵 대회까지의 결과를 종합한 세계랭킹에 따라 이뤄진다. 각 참가자들은 2016/17 시즌이나 2017/18 시즌에서 적어도 세 곳의 트랙에서 다섯 번의 레이스를 펼쳤어야 한다.
남자의 경우 세계랭킹 60위까지, 여자의 경우 세계랭킹 45위에 들어야 하며, 여기서 한 국가가 최대 출전권수를 달성한 경우 해당국가의 나머지 선수들을 제하고 나서 평가한다. 아시아, 아메리카, 아프리카, 유럽, 오세아니아의 다섯 대륙과 개최국은 위 기준을 충족하는 경우라면 선수 한명씩은 내보낼 수 있다. 혹시 이 중에 해당되는 선수가 없어 출전권이 남게 되면 랭킹 순서에 따라 출전권이 돌아가지 않은 국가들을 대상으로 재부여한다. 이렇게 남자는 3명 선수 3개국, 2명 선수 6개국으로 총 20명, 여자는 3명 선수 2개국, 2명 선수 4개국으로 20명을 채우게 된다.
일정
[편집]2017년 10월 15일부터 2018년 1월 14일까지의 경기 결과가 올림픽 출전을 결정한다. 이 기간은 2017-18 스켈레톤 월드컵의 1차부터 7차 대회까지 진행되며, 그말인즉슨 월드컵 경기 결과가 올림픽 출전무대가 된다는 것이다. 하지만 그밖에도 국제대회, 유럽대회, 아메리카대회 등의 경기 결과도 포함할 수 있다. 경기결과에 따라 출전권이 배분된 뒤에는 출전권 4쿼터를 추가로 배정하는데 하나는 올림픽 개최국 (출전권을 못 땄을 경우), 나머지 셋은 이전에 참가하지 못한 국가들에게 돌아간다. 이 과정에서도 반납되거나 배정되지 못한 쿼터가 있다면, 2018년 1월 19일자로 이전에 참가하지 못한 국가에게 출전권을 부여해준다.
출전권 배정
[편집]다음 현황은 국제 봅슬레이 스켈레톤 연맹 최종랭킹과 추가 부여, 재부여에 따른 올림픽 출전 국가의 목록이다.[2][3] 국명 옆에 써있는 숫자는 해당 국가의 최종랭킹을 뜻한다.
현황
[편집]국가 | 남자 | 여자 | 선수 |
---|---|---|---|
![]() | 1 | 1 | 2 |
![]() | 1 | 1 | 2 |
![]() | 0 | 1 | 1 |
![]() | 3 | 3 | 6 |
![]() | 1 | 0 | 1 |
![]() | 3 | 3 | 6 |
![]() | 1 | 0 | 1 |
![]() | 2 | 2 | 4 |
![]() | 1 | 0 | 1 |
![]() | 1 | 0 | 1 |
![]() | 1 | 0 | 1 |
![]() | 2 | 1 | 3 |
![]() | 2 | 1 | 3 |
![]() | 0 | 1 | 1 |
![]() | 1 | 0 | 1 |
![]() | 0 | 1 | 1 |
![]() | 1 | 0 | 1 |
![]() | 2 | 0 | 2 |
![]() | 1 | 1 | 2 |
![]() | 2 | 1 | 3 |
![]() | 0 | 1 | 1 |
![]() | 1 | 0 | 1 |
![]() | 2 | 2 | 4 |
총 23개국 | 30 | 20 | 50 |
남자
[편집]국가별 최종랭킹.[4]
출전 팀수 | 국가수 | 총 선수 | 국가 |
---|---|---|---|
3 | 2 | 6 | ![]() ![]() ![]() |
2 | 6 | 12 | ![]() ![]() ![]() ![]() ![]() ![]() ![]() |
1 | 11 | 11 | ![]() ![]() ![]() ![]() ![]() ![]() ![]() ![]() ![]() ![]() ![]() ![]() ![]() |
30 | 19 | 30 |
여자
[편집]국가별 최종 랭킹.[5]
출전 팀수 | 국가수 | 총 선수 | 국가 |
---|---|---|---|
3 | 2 | 6 | ![]() ![]() |
2 | 2 | 4 | ![]() ![]() ![]() ![]() |
1 | 10 | 10 | ![]() ![]() ![]() ![]() ![]() ![]() ![]() ![]() ![]() ![]() |
20 | 12 | 20 |
각주
[편집]- ↑ “Qualification Systems for XXIII Olympic Winter Games, PyeonChang 2018” (PDF). 국제 봅슬레이 스켈레톤 연맹. 2017년 11월 7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1월 6일에 확인함.
- ↑ “IBSF publishes Olympic list”. 국제 봅슬레이 스켈레톤 연맹. 2018년 1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월 16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XXIII Olympic Winter Games PyeongChang 2018 Skeleton – Participation” (PDF). 《www.ibsf.org》 (영국 영어). 2018년 1월 31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2월 1일에 확인함.
- ↑ “Quota Allocation PyeongChang Olympic Winter Games 2018 - Men's Skeleton - IBSF 14 January 2018” (PDF). 《www.ibsf.org》. International Bobsleigh and Skeleton Federation (IBSF). 2018년 1월 15일. 2018년 1월 16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월 15일에 확인함.
- ↑ “Quota Allocation PyeongChang Olympic Winter Games 2018 - Women's Skeleton - IBSF 14 January 2018” (PDF). 《www.ibsf.org》. 국제 봅슬레이 스켈레톤 연맹 (IBSF). 2018년 1월 15일. 2018년 1월 16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월 15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