색계

rūpa-dhātu의 번역 | |
---|---|
한국어 | 색계 |
영어 | form realm |
산스크리트어 | rūpa-dhātu, rūpā-vacara, rūpa-loka |
팔리어 | rūpa-loka |
중국어 | 色界(T) / 色界(S) (한어 병음: sèjiè) |
일본어 | 色界 / シキカイ (로마자: shikikai) |
티베트어 | gzugs kyi khams |
불교 용어 목록 |
불교 |
---|
![]() |
색계(色界)는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다.[1][2][3][4][5][6]
- 불교의 우주론에서 욕계(欲界) · 색계(色界) · 무색계(無色界)의 3계(三界) 가운데 하나이다.
- 불교의 우주론에서 색계(色界) · 무색계(無色界) · 멸계(滅界)의 3계(三界) 가운데 하나이다. 이들 중 멸계는 진계(盡界)라고도 한다.
- 초기불교의 법체계인 18계 가운데 하나이다. 이 경우의 색계(色界)는 5온 가운데 색온(色蘊)의 일부이며, 12처 가운데 색처(色處)에 해당하고 6경 가운데 색경(色境)에 해당한다.
이 문서에서는 첫 번째와 두 번째 경우의 색계에 대해 다룬다. 세 번째 경우는 "색경" 문서에서 다루고 있다.
색계(色界, 산스크리트어: rūpa-dhātu)에서 색(色, 산스크리트어: rūpa)은 물질을 뜻하는데, 불교에서 물질은 변괴성(變壞性)과 대애성(對礙性)을 가진 법, 즉, 변하고 허물어지는 성질[變壞性]과 공간을 점유하고 있을 때 동일 유형의 다른 사물이 그 공간을 점유하는 것을 장애하는 성질[對礙性]을 가진 사물이라고 정의된다. 대애성은 질애성(質礙性)이라고도 한다.[7][8] 따라서 문자 그대로의 뜻으로는 색계는 물질[色]로 이루어진 세계를 뜻한다.
한편, 욕계(欲界)라는 명칭은 식욕(食欲) · 수면욕(睡眠欲) · 음욕(淫欲)의 욕계 3욕(欲界三欲)과 외적 대상인 5경에 대한 탐욕인 5욕(五欲) 등을 비롯한 각종 욕구[欲] 혹은 탐욕[欲]이 지배적인 세계라는 뜻에서 붙여진 명칭이다. 그리고, 색계와 마찬가지로 욕계도 욕계의 물질로 이루어진 소의신을 가지고서 욕계의 기세간에 거주하고 있는 유정들도 통칭하는 개념이다.[9][10][11]
색계(色界)는 욕유(欲有) · 색유(色有) · 무색유(無色有)의 3유(三有) 가운데 '색계의 존재[有]'라는 뜻의 색유(色有)와 동의어이다. 다만 '유(有)'라고 할 때는 '윤회하는 존재' 즉 '아직 완전한 깨달음에 도달하지 못해 이 경지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하여 윤회하면서 배움[學: 특히, 8정도, 계정혜 3학, 6바라밀]을 완성시켜야 하는 경지 또는 상태에 처해 있는 존재'라는 뜻이 강하다.[12][13][14][15]
불교에서 색계는 흔히 3계9지(三界九地)의 관점, 즉 선정(禪定)의 관점, 즉 수행의 관점에서 세분되어 초선(初禪) · 2선(二禪) · 3선(三禪) · 4선(四禪)의 4가지 하늘[天], 즉 4선천(四禪天) 또는 4선(四禪)으로 나뉘어 다루어진다. 또한, 색계를 구성하고 있는 구체적인 세계들 또는 처소[處]인 하늘 즉 천(天)이 몇 개인가의 관점에서 색계 17천(色界十七天) · 색계 18천(色界十八天) · 색계 22천(色界二十二天) 등으로도 불리는데, 색계를 이루고 있는 하늘[天]들의 개수에 대해서는 경전과 논서에 따라 차이가 있다.[16][17][18]
3계9지와 색계
[편집]불교의 우주론 또는 세계관에서 3계 또는 3유는 6도(六道) 28천(二十八天) 등으로 나뉘지만, 수행론과 번뇌론에서는 흔히 9지(九地)로 나뉜다. 9지 중 색계 또는 색유에 해당하는 것은 제2지인 이생희락지(離生喜樂地)부터 제5지인 사념청정지(捨念淸淨地)까지의 4가지 지(地)이다.[19][20][21]
이들 4지(四地)의 각각을 순서대로 초선(初禪) · 2선(二禪) · 3선(三禪) · 4선(四禪)이라고도 한다. 또는 초선천(初禪天) · 제2선천(第二禪天) · 제3선천(第三禪天) · 제4선천(第四禪天)이라고도 하며, 혹은 초정려(初靜慮) · 제2정려(第二靜慮) · 제3정려(第三靜慮) · 제4정려(第四靜慮)라고도 한다. 그리고 이들 4가지를 통칭하여 4선(四禪) · 4선천(四禪天) · 4정(四定) · 4정려(四靜慮) · 4정려천(四靜慮天) · 4정려처(四靜慮處) · 4생정려(四生靜慮) 또는 생정려(生靜慮)라고 한다.[22][23][24][25][26][27]
3계9지(三界九地)와 색계(色界) |
---|
색계의 구조
[편집]개요
[편집]색계가 몇 가지 처소[處] 즉 하늘[天]로 구성되어 있는가에 대해서 경전과 논서들의 의견이 한 가지로 일치하지 않는다.
대체로 말하자면,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와 경량부에서는 색계에 열일곱 하늘[天]이 있다는 색계 17천(色界十七天)을 설하고 있고, 상좌부와 대승불교에서는 색계에 열여덟 하늘[天]이 있다는 색계 18천(色界十八天)을 설하고 있다. 이 두 견해 간의 차이는 색계의 4선천(四禪天) 가운데 제4선천(第四禪天)에 속한 무상천(無想天)을 제4선천의 제3천인 광과천(廣果天)에 속한 특정한 영역에 부여된 명칭일 뿐이라고 보는가, 혹은, 무상천(無想天)을 광과천(廣果天) 위에 존재하는 별도의 처소[處] 즉 하늘[天]로 보는가에 의한 것이다. 전자의 입장에서는 색계 17천(色界十七天)을 설하고, 후자의 입장에서는 색계 18천(色界十八天)을 설한다.[30][31][32][33][34]
구성하고 있는 하늘[天]의 개수가 많은 것에서 적은 것의 순으로 몇몇 경전과 논서들을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35][36][37] 경전과 논서들은 가나다 순으로 나열되어 있다.
색계의 구조 | 경전과 논서 |
---|---|
색계 22천(色界二十二天) | |
색계 21천(色界二十一天) | |
색계 18천(色界十八天) | |
색계 17천(色界十七天) | |
색계 16천(色界十六天) |
구조 비교표
[편집]색계 16천
[편집]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논서 《아비달마대비바사론》 제193권,[85] 《아비달마구사론》 제8권,[92][93] 《아비달마순정리론》 제21권,[94][95] 《아비달마장현종론》 제12권,[96][97] 《천태사교의집주》 제3권[90] 등에 기술된 비바사사의 견해에 따르면, 색계는 총 16가지의 처소[處]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을 16천(十六天) 또는 16처(十六處), 즉 열여섯 하늘[十六天] 또는 즉 열여섯 처소[十六處]라고 한다. 그리고 색계의 이러한 구성을 색계 16천(色界十六天) 또는 색계 16처(色界十六處)라고 한다. 한편, 초기불교 경전인 《중아함경》 제9권에서도 색계의 하늘[天]로 열여섯 하늘(十六天)을 열거하고 있다.[98][99]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와 경량부 등에서는 색계에 흔히 17천이 있다고 말하는데, 위의 논서들에 따르면 16천이 있다는 것이 설일체유부의 정통파인 비바사사의 견해이다. 《구사론》에 따르면, 색계에 17천이 아니라 16천이 있다고 주장하는 이유는 이래 인용문에 나타난 바와 같다.[100][101]
《중아함경》 제9권과 《현종론》 제12권의 색계 16천 그리고, 비교를 위해, 《구사론》 제8권의 색계 17천을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아래 목록의 용어와 표현은 모두 해당 경전과 논서에 따른 것이다. 다만, 《중아함경》의 해당 부분에서는 16천을 초정려처 · 제2정려처 · 제3정려처 · 제4정려처로 구분하고 있지 않으며 그냥 쭉 나열하고 있다. 비교의 편의를 위해 편집자가 구분하였다.
중아함경의 색계 16천[102][103] | 현종론의 색계 16천[104][105] | 구사론의 색계 17천[106][107] |
---|---|---|
색계 17천
[편집]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논서 《아비달마구사론》 제8권 등에 따르면, 색계는 총 17가지의 처소[處]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을 17천(十七天) 즉 열일곱 하늘[十七天]이라고 한다. 그리고 색계의 이러한 구성을 전통적인 용어로 색계 17천(色界十七天)이라고 한다.[108][109]
《아비달마구사론》 제8권에 따른 3계의 구조에서의 색계 17천의 위치는 다음과 같다. 아래 목록의 용어와 표현은 모두 현장의 한역 《아비달마구사론》에 따른 것이다. 욕계에 총 20가지의 처소[處]가, 색계에 총 17가지의 처소가, 무색계에 총 4가지의 처소가 있다. 《아비달마구사론》에 따르면, 엄밀히 말하면, 무색계는 상하로 구분된 처소가 없으며 무색계의 4가지 처소는 이숙생에 따른 뛰어남과 열등함의 차이에 따른 구분일 뿐이다.[110][111] 《아비달마순정리론》 제21권에서도 동일하게 설명하고 있다.[77][78]
구사론의 3계[112][113] (5취 · 6욕천 · 색계 17천 · 무색계 4천) |
---|
|
색계 17천(色界十七天)을 설하고 있는 논서들 가운데 몇몇의 목록들은 아래 표와 같다. 비교를 위해, 《천태사교의》에서 설하고 있는 색계 18천(色界十八天)이 표에 포함되어 있다.
구사론의 색계 17천 [120][121] | 금광명최승왕경의 색계 17천 [66][67] | 아비담심론경의 색계 17천 [79] | 창소지론의 색계 17천 [81] | 천태사교의의 색계 18천 [122] |
---|---|---|---|---|
색계 18천
[편집]대승불교의 천태종의 논서인 제관의 《천태사교의》 등에 따르면, 색계는 총 18가지의 처소[處]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을 18천(十八天) 즉 열여덟 하늘[十八天]이라고 한다. 18생처(十八生處)라고도 한다.[123] 그리고 색계의 이러한 구성을 전통적인 용어로 색계 18천(色界十八天)이라고 한다.[124][125][126][127][128]
《천태사교의》에 따른 3계의 구조에서의 색계 18천의 위치는 다음과 같다. 해당 목록의 용어와 표현은 모두 《천태사교의》에 따른 것이다. 욕계에 지옥도(地獄道) · 축생도(畜生道) · 아귀도(餓鬼道) · 아수라도(阿修羅道) · 인도(人道)의 5도와 6욕천이 있으며, 색계에 총 18가지의 하늘[天]이 있으며, 무색계에 총 4가지의 하늘[天]이 있다. 6욕천과 색계 18천과 무색계 4천을 합하여 총 28천(二十八天)이 있으며, 이 28천이 6도 가운데 천도(天道)를 이룬다.[129][130]
천태사교의의 3계[131][132] (6도 · 6욕천 · 색계 18천 · 무색계 4천) | |
---|---|
색계 18천(色界十八天)을 설하고 있는 논서들 가운데 몇몇의 목록들은 아래 표와 같다. 비교를 위해, 《구사론》에서 설하고 있는 색계 17천(色界十七天)이 표에 포함되어 있다.
천태사교의의 색계 18천 [141] | 집론 · 잡집론의 색계 18천 [142][143][144][145] | 불설입세아비담론의 색계 18천 [146][147] | 구사론의 색계 17천 [148][149] |
---|---|---|---|
색계 21천
[편집]대승불교 경전인 《60권 화엄》 제13권과 《80권 화엄》 제21권 등에 따르면, 색계의 하늘에 21가지가 있으며, 이것을 21천(二十一天) 즉 스물하나 하늘[二十一天]이라고 한다. 그리고 색계의 이러한 구성을 색계 21천(色界二十一天)이라고 한다.[150][151]
《60권 화엄》 제13권과 《80권 화엄》 제21권 등에 따른 색계 21천의 목록은 다음과 같다.[152][153][154][155] 아래 목록의 용어와 표현은 모두 해당 경전에 따른 것이다. 《장아함경》 제20권의 색계 22천과 비교해 보면,[156][157] 색계 21천의 목록 모두에는 무상천(無想天)이 제외되어 있다.[158]
60권 화엄의 색계 21천[159][160] | 80권 화엄의 색계 21천[161][162] | 대반야경의 색계 21천[163] | 장아함경의 색계 22천[164][165] |
---|---|---|---|
60권 화엄의 색계 21천[166][167] | 불본행집경의 색계 21천[51][168] | 대반야경의 색계 21천[169] | 장아함경의 색계 22천[170][171] |
---|---|---|---|
색계 22천
[편집]초기불교 경전인 《장아함경》 제20권과 《기세경(起世經)》[172] 제8권 등에 따르면, 색계의 중생에 22종류가 있으며, 이것을 22천(二十二天) 즉 스물둘 하늘[二十二天]이라고 한다. 그리고 색계의 이러한 구성을 전통적인 용어로 색계 22천(色界二十二天) 또는 색계 22종(色界二十二種)이라고 한다.
《장아함경》과 《기세경》에 따른 3계의 구조에서의 색계 22천의 위치는 다음과 같다. 아래 목록의 용어와 표현은 모두 《장아함경》과 《기세경》에 따른 것이다. 욕계의 중생에 총 12종이 있으며, 색계의 중생에 총 22종이 있고, 무색계의 중생에 총 4종이 있어, 총 38종의 중생(三十八種衆生)이 있다.[173][174][175][176]
장아함경의 3계[177][178] (6도 · 7욕천 · 색계 22천 · 무색계 4천) | 기세경의 3계[179][180] (6도 · 7욕천 · 색계 22천 · 무색계 4천) |
---|---|
색계 22천(色界二十二天)을 설하고 있는 경전과 논서들 가운데 몇몇의 목록들은 다음과 같다.
장아함경의 색계 22천[181][182] | 기세경의 색계 22천[183][184] | 대반야경의 색계 22천[41] | 대승의장의 색계 22천[185] |
---|---|---|---|
용어 표
[편집]다음은 《구사론》의 색계 17천, 《천태사교의》의 색계 18천 그리고 《장아함경》의 색계 22천을 중심으로 한, 색계의 하늘들에 대한 용어 표이다. 아래표에서 예를 들어 '사교의: (1)'에서 '(1)'은 《천태사교의》의 색계 18천에서의 해당 하늘의 순서를 나타낸다.
순서 | 구사론 천태사교의 장아함경 | 산스크리트어 [186][187] | 음역어 | 의역어 | 영어 [188] | 개별 출처 |
---|---|---|---|---|---|---|
1 | 구사론: 사교의: 장아함: (1) 범신천(梵身天) | Brahmakāyika | 범중천(梵衆天) | retinue of Brahma | [189] | |
2 | 구사론: (1) 범중천(梵衆天) 사교의: (1) 범중천(梵衆天) 장아함: (3) 범중천(梵衆天) | Brahma-pārisadya Brahma-pāriṣadya Brahmapārṣadya | 범바리사천(梵波梨沙天) | 범신천(梵身天) | heaven of Brahma followers | [190][191][192] |
3 | 구사론: (2) 범보천(梵輔天) 사교의: (2) 범보천(梵輔天) 장아함: (2) 범보천(梵輔天) | Brahma-purohita | 범부루천(梵富樓天) 범부루혜(梵富樓醯) 범선행천(梵先行天) 범전익천(梵前益天) | 정사(淨師) | heaven of Brahma's ministers | [193][194] |
4 | 구사론: (3) 대범천(大梵天) 사교의: (3) 대범천(大梵天) 장아함: (4) 대범천(大梵天) | Mahā-brahman Mahābrahma | 마하범(摩訶梵) 범마삼발(梵摩三鉢) | 대범(大梵) 범동자(梵童子) 범왕(梵王) 범천(梵天) 범천왕(梵天王) 사바세계주(娑婆世界主) 세주천(世主天) | great Brahma heaven | [195][196] |
5 | 구사론: 사교의: 장아함: (5) 광천(光天) | [197] | ||||
6 | 구사론: (4) 소광천(少光天) 사교의: (4) 소광천(少光天) 장아함: (6) 소광천(少光天) | Parīttābha | 바리타(波梨陀) 바율아바(波栗阿婆) 바이답(波利答) | 광요천(光曜天) 소범천(少梵天) 수행천(水行天) | heaven of limited light | [198][199][200] |
7 | 구사론: (5) 무량광천(無量光天) 사교의: (5) 무량광천(無量光天) 장아함: (7) 무량광천(無量光天) | Apramānābhā Apramāṇābha | 아바마나아바 (阿波摩那阿婆) 아발라마나바발리다바 (阿鉢羅摩那婆鉢利多婆) 압바마나 ([疒@盍]波摩那) | 묘광천(妙光天) 무량광음천(無量光音天) 무량수천(無量水天) 수무량천(水無量天) | heaven of limitless light | [201][202] |
8 | 구사론: (6) 극광정천(極光淨天) 사교의: (6) 광음천(光音天) 장아함: (8) 광음천(光音天) | Ābhāsvara | 아바나천(阿波羅天) 아바최라차천(阿波嘬羅遮天) 아바회(阿波會) 아바회리바(阿波會提婆) 아바회천(阿波會天) 아바호수천(阿波互羞天) 아회호수천(阿會互修天) | 광요천(光曜天) 광음천(光陰天) 광정천(光淨天) 극광천(極光天) 무량수천(無量水天) 변승광천(遍勝光天) 수무량천(水無量天) 황욱천(晃昱天) | heaven of ultimate light and purity | [203][204][205][206][207][208] |
9 | 구사론: 사교의: 장아함: (9) 정천(淨天) | Viśuddhi Viśuddha | pure heaven | [209][210] | ||
10 | 구사론: (7) 소정천(少淨天) 사교의: (7) 소정천(少淨天) 장아함: (10) 소정천(少淨天) | Parītta-śubha Pārītta-śubha | 바리다수(波利多首) 바율다수바(波栗多首婆) 바율수하(波栗羞訶) | 약정천(約淨天) | heaven of limited purity | [211][212][213] |
11 | 구사론: (8) 무량정천(無量淨天) 사교의: (8) 무량정천(無量淨天) 장아함: (11) 무량정천(無量淨天) | Apramāna-śubha Apramāṇā-śubha | 아바라마나(阿波羅摩那) 아바마수(阿波摩羞) 아바마수하(阿波摩首訶) | 무량선천(無量善天) 무량정과천(無量淨果天) | heaven of limitless purity | [214][215] |
12 | 구사론: (9) 변정천(遍淨天) 사교의: (9) 변정천(遍淨天) 장아함: (12) 변정천(遍淨天) | Śubha-krtsna Śubha-kṛtsna Samanta-śubha | 마수(摩首) 수바흘율나(首波訖栗那) 수하기나(首訶既那) 수흘(羞訖) | 광선천(廣善天) 무량정천(無量淨天) 변정천(徧淨天) 정난체천(淨難逮天) | heaven of pervasive purity | [216][217][218][219] |
13 | 구사론: 사교의: 장아함: (13) 엄식천(嚴飾天) | |||||
14 | 구사론: (10) 무운천(無雲天) 사교의: (10) 무운천(無雲天) 장아함: (14) 소엄식천(小嚴飾天) | Anabhraka | 아나바가(阿那婆伽) 아나바가(阿那婆迦) 아나바하(阿那婆訶) | 무괘애천(無罣礙天) 무음천(無陰天) 무음행천(無陰行天) | cloudless heaven | [220][221] |
15 | 구사론: (11) 복생천(福生天) 사교의: (11) 복생천(福生天) 장아함: (15) 무량엄식천(無量嚴飾天) | Punya-prasava Puṇyaprasava | 바율추하(波栗推訶) 유가(維呵) | 광묘(廣妙) 득복(得福) 무량광(無量光) 무량밀신(無量密身) 무량엄식(無量嚴飾) 생복(生福) 수복(受福) 용과(用果) | heaven of blessed birth | [222][223][224][225] |
16 | 구사론: (12) 광과천(廣果天) 사교의: (12) 광과천(廣果天) 장아함: (16) 엄식과실천(嚴飾果實天) | Brhat-phala Bṛhatphala | 비의가파라(鞞疑呵破羅) 비이바라(比伊波羅) 유아발(維阿鉢) 유어번(惟于幡) 유어파라(惟于頗羅) | 과실천(果實天) 광천(廣天) 극묘천(極妙天) 대과천(大果天) 밀과천(密果天) 엄식과실천(嚴飾果實天) | heaven of extensive fruition | [226][227][228] |
17 | 구사론: 사교의: (13) 무상천(無想天) 장아함: (17) 무상천(無想天) | Asaṃjñika | 무상계(無想界) 무상유정천(無想有情天) 무상중생천(無想眾生天) 무상처(無想處) 복덕천(福德天) 소광천(少廣天) | nonconceptual heaven | [229][230][231][232] | |
18 | 구사론: (13) 무번천(無煩天) 사교의: (14) 무번천(無煩天) 장아함: (18) 무조천(無造天) | Avrha Avṛha | 아부하나(阿浮訶那) 아비려사(阿鞞麗舍) 아비바(阿毘波) 아비화(阿卑和) | 무광천(無廣天) 무광천(無誑天) 무대구천(無大求天) 무번천(無繁天) 무소촉천(無所觸天) 무희망천(無希望天) | heaven of no affliction | [233][234][235] |
19 | 구사론: (14) 무열천(無熱天) 사교의: (15) 무열천(無熱天) 장아함: (19) 무열천(無熱天) | Atapa | 아답바(阿答波) 아답화(阿答和) 아타바(阿陀波) | 무뇌천(無惱天) 무소천(無燒天) 무숙천(無熟天) 불뇌천(不惱天) 불소천(不燒天) 불열천(不熱天) | heaven of no heat | [236][237][238] |
20 | 구사론: (15) 선현천(善現天) 사교의: (17) 선현천(善現天) 장아함: (20) 선견천(善見天) | Sudrśa Sudṛśa | 수리사(修提舍) 수무(須武) | 선관천(善觀天) 선호견천(善好見天) 묘견천(妙見天) 쾌견천(快見天) 무비천(無比天) 가사천(假使天) | heaven of skillful manifestation | [239][240][241][242] |
21 | 구사론: (16) 선견천(善見天) 사교의: (16) 선견천(善見天) 장아함: (21) 대선견천(大善見天) | Sudarśana | 수달리사나(須達梨舍那) 수리사나(修提舍那) 수타시(須陀尸) 수타시니(須陀施尼) | 대선견천(大善見天) 묘견천(妙見天) 선관천(善觀天) 선호견천(善好見天) 쾌견천(快見天) | heaven of skillful vision | [243][244][245] |
22 | 구사론: (17) 색구경천(色究竟天) 사교의: (18) 색구경천(色究竟天) 장아함: (22) 아가니타천(阿迦尼吒天) | Akanistha Akaniṣṭha | 아가니사타(阿迦尼師吒) 아가니슬체(阿迦抳瑟搋) 아가니타(阿迦尼吒) 아가니타(阿迦膩吒) | 무결애천(無結愛天) 무소천(無小天) 애구경천(礙究竟天) 일구경천(一究竟天) 일선천(一善天) 질애구경천(質閡究竟天) | heaven of the most rarefied form | [246][247][248][249][250] |
같이 보기
[편집]참고 문헌
[편집]- 고려대장경연구소. 《고려대장경 전자 불교용어사전》. 고려대장경 지식베이스 / (사)장경도량 고려대장경연구소. 2013년 6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6월 8일에 확인함.
- 곽철환 (2003).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 네이버 지식백과.
- 무착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K.572,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572(16-157), T.1605(31-663).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불타발타라 한역, 이운허 번역 (K.79, T.278). 《대방광불화엄경》.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79(8-1), T.278(9-395).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60권 화엄》《구화엄(舊華嚴)》《진경(晉經)》 또는 《진본(晉本)》
- 불타야사·축불념 한역, 번역자 미상 (K.647, T.1). 《장아함경》.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647(17-815), T.1(1-1).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사나굴다 한역, 번역자 미상 (K.660, T.24). 《기세경》.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660(19-263), T.24(1-310).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사나굴다 한역, 번역자 미상 (K.802, T.190). 《불본행집경》.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802(20-586), T.190(3-655).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K.955, T.1558). 《아비달마구사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955(27-453), T.1558(29-1).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승가제바(僧伽提婆) 한역. 《중아함경》.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실차난타 한역, 이운허 번역 (K.80, T.279). 《대방광불화엄경》.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80(8-425), T.279(10-1).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80권 화엄》《신화엄(新華嚴)》《당경(唐經)》 또는 《당본(唐本)》
- 안혜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K.576, T.1605). 《대승아비달마잡집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576(16-228), T.1606(31-694).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운허. 동국역경원 편집, 편집. 《불교 사전》. 2016년 3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1월 17일에 확인함.
- 의정 한역, 장용서 번역 (K.127, T.665). 《금광명최승왕경》.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127(9-1291), T.665(16-403).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중현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K.957, T.1563). 《아비달마장현종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957(28-1), T.1563(29-777).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진제 한역, 조환기 번역 (K.962, T.1641). 《불설입세아비담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962(28-555), T.1641(32-158).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영어) DDB. 《Digital Dictionary of Buddhism (電子佛教辭典)》. Edited by A. Charles Muller.
- (중국어) 몽윤 집 (P.1629). 《천태사교의집주(天台四教儀集註)》. 영락북장(永樂北藏). P189, No. 1629, CBETA. 2018년 10월 3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6월 9일에 확인함.
- (중국어) 무착 조, 현장 한역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大乘阿毘達磨集論)》. 대정신수대장경. T31, No. 1605, CBETA. 2014년 3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6월 10일에 확인함.
- (중국어) 佛門網. 《佛學辭典(불학사전)》. 2015년 3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6월 8일에 확인함.
- (중국어) 법승 론, 우파선다 석, 나련제야사 한역 (T.1551). 《아비담심론경(阿毘曇心論經)》. 대정신수대장경. T28, No. 1551, CBETA.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중국어) 불타발타라 한역 (T.278). 《대방광불화엄경(大方廣佛華嚴經)》. 대정신수대장경. T9, No. 278, CBETA. 2016년 3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6월 8일에 확인함. - 《60권 화엄》《구화엄(舊華嚴)》《진경(晉經)》 또는 《진본(晉本)》
- (중국어) 불타야사·축불념 한역 (T.1). 《장아함경(長阿含經)》. 대정신수대장경. T1, No. 1, CBETA. 2012년 6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6월 8일에 확인함.
- (중국어) 사나굴다 한역 (T.24). 《기세경(起世經)》. 대정신수대장경. T1, No. 24, CBETA. 2015년 4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6월 8일에 확인함.
- (중국어) 사나굴다 한역 (T.190). 《불본행집경(佛本行集經)》. 대정신수대장경. T3, No. 190, CBETA.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중국어)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3판. 2011년 3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1월 17일에 확인함.
- (중국어) 세친 조, 현장 한역 (T.1558). 《아비달마구사론(阿毘達磨俱舍論)》. 대정신수대장경. T29, No. 1558, CBETA. 2012년 10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6월 8일에 확인함.
- (중국어) 승가제바(僧伽提婆) 한역 (T.26). 《중아함경(中阿含經)》. 대정신수대장경. T1, No. 26, CBETA.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중국어) 실차난타 한역 (T.279). 《대방광불화엄경(大方廣佛華嚴經)》. 대정신수대장경. T10, No. 279, CBETA.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80권 화엄》《신화엄(新華嚴)》《당경(唐經)》 또는 《당본(唐本)》
- (중국어) 안혜 조, 현장 한역 (T.1606). 《대승아비달마잡집론(大乘阿毘達磨雜集論)》. 대정신수대장경. T31, No. 1606, CBETA. 2014년 3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6월 10일에 확인함.
- (중국어) 의정 한역 (T.665). 《금광명최승왕경(金光明最勝王經)》. 대정신수대장경. T16, No. 665, CBETA.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중국어) 제관 록 (T.1931). 《천태사교의(天台四教儀)》. 대정신수대장경. T46, No. 1931, CBETA.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중국어) 중현 조, 현장 한역 (T.1563). 《아비달마장현종론(阿毘達磨藏顯宗論)》. 대정신수대장경. T29, No. 1563, CBETA. 2016년 3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6월 9일에 확인함.
- (중국어) 진제 한역 (T.1644). 《불설입세아비담론(佛說立世阿毘曇論)》. 대정신수대장경. T32, No. 1644, CBETA. 2016년 3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6월 9일에 확인함.
- (중국어) 혜원 찬 (T.1851). 《대승의장(大乘義章)》. 대정신수대장경. T44, No. 1851, CBETA.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각주
[편집]- ↑ 운허, "色界(색계) 1". 2013년 6월 8일에 확인
"色界(색계): 3계의 하나. 욕계(欲界)의 위에 있으며, 욕계와 같은 음욕ㆍ식욕(食欲) 등의 탐욕은 여의었으나, 아직 무색계와 같이 완전히 물질을 여의어, 순정신적인 것은 되지 못한 중간의 물적(物的)인 세계. 선정(禪定)의 얕고ㆍ깊고ㆍ거칠고ㆍ묘함에 의하여 크게 나누어 4선(禪)으로 하고, 다시 18천(天)으로 나눔." - ↑ 星雲, "色界 1". 2013년 6월 8일에 확인
"色界: (一)梵語 rūpa-dhātu,巴利語同。色,變礙、示現之義。色界,意為色所屬之界。三界之一。又作色天、色行天。乃有淨妙之色質的器世界及其眾生之總稱,位於「欲界」上方,乃天人之住處。此界之眾生雖離淫欲,不著穢惡之色法,然尚為清淨微細之色法所繫縛,故為別於其下之欲界及其上之無色界,而稱色界。此界之天眾無男女之別,其衣係自然而至,而以光明為食物及語言。此界又依所入定之淺深次第而分四地(即四禪天、四靜慮處)。初禪諸天總稱為離生喜樂地,二禪諸天總稱為定生喜樂地,三禪諸天總稱為離喜妙樂地,四禪諸天總稱為捨念清淨地。 據俱舍論卷八載,初禪、二禪、三禪等三地各有三天,第四禪有八天,共十七天,即:(一)初禪三天:(1)梵眾天(梵 Brahma-pārisadya),(2)梵輔天(梵 Brahma-purohita),(3)大梵天(梵 Mahā-brahman)。(二)二禪三天:(1)少光天(梵 Parīttābha),(2)無量光天(梵 Apramānābhā),(3)極光淨天(梵 Ābhāsvara)。(三)三禪三天:(1)少淨天(梵 Parītta-śubha),(2)無量淨天(梵 Apramāna-śubha),(3)遍淨天(梵 Śubha-krtsna)。(四)四禪八天:(1)無雲天(梵 Anabhraka),(2)福生天(梵 Punya-prasava),(3)廣果天(梵 Brhat-phala),(4)無煩天(梵 Avrha),(5)無熱天(梵 Atapa),(6)善現天(梵 Sudrśa),(7)善見天(梵 Sudarśana),(8)色究竟天(梵 Akanistha)。 順正理論卷二十一釋其名義謂(大二九‧四五六中):「廣善所生,故名為梵。此梵即大,故名大梵。由彼獲得中間定故、最初生故、最後歿故、威德等勝故,名為大。大梵所有、所化、所領,故名梵眾。於大梵前,行列侍衛,故名梵輔。自地天內光明最小,故名少光。光明轉勝,量難測故,名無量光。淨光遍照自地處故,名極光淨。意地受樂,說名為淨,於自地中此淨最劣,故名少淨。此淨轉增,量難測故,名無量淨。此淨周普,故名遍淨。意顯更無樂能過此以下空中天所居地,如雲密合,故說名雲。此上諸天,更無雲地,在無雲首,故說無雲。更有異生勝福方所可往生故,說名福生。居在方所,異生果中,此最殊勝,故名廣果。離欲諸聖,以聖道水,濯煩惱垢,故名為淨,淨身所止,故名淨居;或住於此,窮生死邊,如還債盡,故名為淨,淨者所住,故名淨居;或此天中,無異生雜,純聖所止,故名淨居。繁謂繁雜,或謂繁廣,無繁雜中,此最初故,繁廣天中,此最劣故,說名無繁,或名無求,不求趣入無色界故。已善伏除雜脩靜慮上中品障,意樂調柔,離諸熱惱,故名無熱;或令下生煩惱名熱,此初離遠,得無熱名;或復熱者,熾盛為義,謂上品脩靜慮及果,此猶未證,故名無熱。已得上品雜修靜慮,果德易彰,故名善現。雜修定障,餘品至微,見極清澈,故名善見。更無有處於有色中能過於此,名色究竟;或此已到眾苦所依身最後邊,名色究竟;有言色者,是積集色,至彼後邊,名色究竟。此十七處,諸器世間,并諸有情,總名色界。」 然色界諸天之廢立,諸經論頗有異說。長阿含經卷二十舉出二十二天,即:梵身天、梵輔天、梵眾天、大梵天、光天、少光天、無量光天、光音天、淨天、少淨天、無量淨天、遍淨天、嚴飾天、小嚴飾天、無量嚴飾天、嚴飾果實天、無想天、無造天、無熱天、善見天、大善見天、阿迦尼吒天。起世經卷八、大般若經卷四○三等持相同說法。舊華嚴經卷十三、新華嚴經卷二十一、大般若經卷四○二、佛本行集經卷九等則刪除無想天,而僅列舉二十一天。大毘婆沙論卷一三六、立世阿毘曇論卷六、大乘阿毘達磨雜集論卷六等刪除梵身、光天、淨天、嚴飾等四天,而立十八天之說。金光明最勝王經卷三、順正理論卷二十一、彰所知論卷上等更除去無想天而立十七天之說;阿毘曇心論經卷五刪除大梵天,另加無想天,亦立十七天之說;中阿含卷九地動經復刪除無想天,而僅舉出十六天之名。 關於色界四禪天眾生之依處(所居之處)、身量、壽量,於長阿含經卷二十、大佛頂首楞嚴經卷九、立世阿毘曇論卷三、大毘婆沙論卷一三四、卷一三六、俱舍論卷十一、順正理論卷三十一等,皆詳加敘述,然所說略異。〔仁王般若波羅蜜經卷上、菩薩地持經卷二、大智度論卷十六、成實論卷十二、俱舍論卷五、卷二十八、仁王般若經疏卷一、法華經玄贊卷二、大乘義章卷八末〕(參閱「三界」584、「天」1330、「四禪」1843) (二)即十八界之色界。(參閱「色境」2549)p2545" - ↑ 佛門網, "三界 1". 2013년 6월 8일에 확인
"三界:
sān jiè
出處: 漢譯阿含經辭典,莊春江編(1.4版)
解釋:
1.欲界、色界、無色界。2.色界、無色界、滅界(盡界)。3.欲界、恚界、害界。4.出離界、無恚界、無害界。5.過去界、未來界、現在界。6.妙界、不妙界、中界。7.善界、不善界、無記界。8.學界(初果以上的聖者)、無學界(阿羅漢)、非學非無學界(凡夫)。
出處: 朱芾煌《法相辭典》字庫
解釋:
顯揚一卷十六頁云:欲等三界者:一、欲界。謂未離欲地雜眾煩惱諸蘊差別。二、色界。謂已離欲地雜眾煩惱諸蘊差別。三、無色界。謂離色慾地雜眾煩惱諸蘊差別。
二解 瑜伽二十七卷十三頁云:云何諸界?所謂三界。一者、斷界,二者、離欲界,三者、滅界。見道所斷一切行斷,名為斷界。修道所斷一切行斷,名離欲界。一切依滅,名為滅界。
三解 瑜伽九十六卷十三頁云:又即由此內外二事,出離增上,聽聞正法,或不正法,如理思惟,或不如理思惟,依處三種言事差別義故;當知建立有餘三界。謂過去界,未來界,現在界。
四解 瑜伽九十六卷十四頁云:又由遠離此因緣義,及由修習此對治義;當知建立有餘三界。謂善界,不善界,無記界。
五解 瑜伽九十六卷十四頁云:又由善修清淨差別,缺縛義故,無縛義故,具縛義故;當知建立有餘三界。謂學界,無學界,非學非無學界。
六解 瑜伽九十六卷十三頁云:又由所染所淨清淨,即此不淨清淨增上,如前所說外不出離出離義故;當知建立有餘三界。謂欲界色界無色界。
七解 瑜伽九十六卷十三頁云:如前所說內不出離出離義故;當知建立有餘三界。謂色界,無色界,滅界。
八解 瑜伽九十六卷十三頁云:又由所知諸苦煩惱多中少義,當知建立有餘三界。謂劣界、中界、妙界。若有上苦,及上煩惱;是名劣界。若有中苦,及中煩惱;是名中界。若有少苦,及少煩惱;是名妙界。如是遍知劣中妙界。
九解 俱舍論二十五卷十八頁云:經說三界,謂斷離滅。以何為體?差別云何?頌曰:無為說三界。離界唯離貪。斷界斷餘結。滅界滅彼事。論曰:斷等三界,即分前說無為解脫以為自體。言離界者,謂但離貪。言斷界者,謂斷餘結,言滅界者,謂滅所餘貪等隨眠所隨增事。故經說三界即無為解脫。
十解 謂斷界、離界、滅界,是名三界。大毗婆沙論二十九卷五頁云:云何斷界?答:除愛結,餘結斷,名斷界。云何離界?答:愛結斷,名離界。云何滅界?答:諸餘順結法斷,名滅界。此中先約阿毘達磨,依世俗理,說三界別。近對治道,有差別故。餘結斷者:餘八結斷。順結法者:謂除九結,餘有漏法。是名一種三界差別。復有說者:若八結,及此相應,并生等斷;名斷界。若愛結,及此相應,并生等斷;名離界。若諸餘順結法,及此相應,并生等斷;名滅界。即有漏善,及諸有為,無覆無記,名順結法。復有說者,若無明結斷,名斷界。若愛結斷,名離界。若諸餘結斷,名滅界。復有說者,或有諸法,能縛非能染,彼斷、名斷界。或有諸法,能縛亦能染,彼斷、名離界。或有諸法,非能縛非能染,而是所縛,是所染,彼斷、名滅界。復有說者,或有諸法,是能繫;非能染。彼斷、名斷界。或有諸法,是能繫;是能染。彼斷、名離界。或有諸法,非能繫,非能染;而是所繫,所染。彼斷、名滅界。有餘師說:唯諸隨眠,有自性斷。問:契經所說,當云何通?如說:一切行斷,故名斷界。一切行離,故名離界。一切行滅,故名滅界。品類足說,復云何通?如說:云何所斷法?答:一切有漏法。云何遍知法?答:一切有漏法。彼作是答:若諸隨眠,緣八結起;彼斷、名斷界。若諸隨眠,緣愛結起;彼斷、名離界。若諸隨眠,緣餘法起;彼斷、名滅界。評曰:彼不應作是說。諸有漏法,先被繫縛。離繫縛時,皆得斷故。有作是說:唯愛隨眠,有自性斷。問:若爾;前說契經及論,當云何通?彼作是答:若愛隨眠,緣八結起;彼斷、名斷界。若愛隨眠,緣愛結起;彼斷、名離界。若愛隨眠,緣餘法起;彼斷、名滅界。評曰:彼不應作是說。諸有漏法,先被繫縛。離繫縛時,皆得斷故。尊者妙音,作如是說:煩惱體斷,名斷界。於境離繫,名離界。棄諸重擔,名滅界。脅尊者言:無繫縛,繫縛息;名斷界。無染污,染污息;名離界。無彼果,彼果息;名滅界。尊者設摩達多說曰:諸煩惱斷,名斷界。無貪治貪,名離界。果相續滅,名滅界。尊者左取,作是說言:相續斷故,名斷界。於緣離繫,名離界。離執受故,名滅界。復有說者,過去煩惱斷故,名斷界。現在煩惱斷故,名離界。未來煩惱斷故,名滅界。如煩惱斷,蘊斷、亦爾。復有說者,苦受斷故,名斷界。樂受斷故,名離界。不苦不樂受斷故,名滅界。如三受斷,順三受法斷,亦爾。復有說者,若苦苦斷,名斷界。若壞苦斷,名離界。若行苦斷,名滅界。復有說者,若欲界斷,名斷界。若色界斷,名離界。若無色界斷,名滅界。如是等說,皆依世俗,隨就一門,辯三界別;皆非勝義。
十一解 入阿毗達磨論下二頁云:前說諸界諸趣諸生諸地受苦,應說云何界趣生地?界有三種。謂欲界、色界、無色界。欲界有二十處。謂八大地獄。一、等活,二、黑繩,三、眾合,四、號叫,五、大號叫,六、炎熱,七、極炎熱,八、無間。并傍生、鬼界、為十。有四洲人。一、贍部洲。二、勝身洲。三、牛貨洲。四、俱盧洲。有六欲天。一、四大王眾天。二、三十三天。三、夜摩天。四、睹史多天。五、樂變化天。六、他化自在天。合二十處。色界有十六處。謂初靜慮有二處。一、梵眾天。二、梵輔天。第二靜慮有三天。一、少光天。二、無量光天。三、極光淨天。第三靜慮有三天。一、少淨天。二、無量淨天。三、遍淨天。第四靜慮有八天。一、無雲天。二、福生天。三、廣果天。四、無煩天。五、無熱天。六、善現天。七、善見天。八、色究竟天。合十六處。大梵、無想、無別處,故非十八。無色界,雖無上下處所,而有四種生處差別。一、空無邊處。二、識無邊處。三、無所有處。四、非想非非想處。
出處: A Dictionary of Chinese Buddhist Terms, William Edward Soothill and Lewis Hodous
解釋:
Trailokya or Triloka; the three realms; also 三有. It is the Buddhist metaphysical equivalent for the Brahmanic cosmological bhuvanatraya, or triple world of bhūr, bhuvaḥ, and svar, earth, atmosphere, and heaven. The Buddhist three are 欲, 色, and 無色界, i.e. world of sensuous desire, form, and formless world of pure spirit. (a) 欲界 Kāmadhātu is the realm of sensuous desire, of 婬 and 食 sex and food; it includes the six heavens of desire, the human world, and the hells. (b) 色界 Rūpadhātu is the realm of form, meaning 質礙 that which is substantial and resistant: it is above the lust-world and contains (so to speak) bodies, palaces, things, all mystic and wonderful一a semi-material conception like that in Revelation; it is represented in the 四禪天, or Brahmalokas. (c) 無色界 Arūpadhātu, or ārūpyadhātu, is the formless realm of pure spirit, where there are no bodies, places, things, at any rate none to which human terms would apply, but where the mind dwells in mystic contemplation; its extent is indefinable, but it is, conceived of in four stages, i,e. 四空處 the four "empty" regions, or regions of space in the immaterial world, which are 四無色 the four "formless" realms, or realms beyond form; being above the realm of form, their bounds cannot be defined. v. 倶舍論世間品.
出處: 佛光電子大辭典
解釋:
梵語 trayo dhātavah,巴利語 tisso dhātuyo。
(一)指眾生所居之欲界、色界、無色界。此乃迷妄之有情在生滅變化中流轉,依其境界所分之三階級;係迷於生死輪迴等生存界(即有)之分類,故稱作三有生死,或單稱三有。又三界迷苦之領域如大海之無邊際,故又稱苦界、苦海。(一)欲界(梵 kāma-dhātu),即具有婬欲、情欲、色欲、食欲等有情所居之世界。上自第六他化自在天,中包括人界之四大洲,下至無間地獄等二十處;因男女參居,多諸染欲,故稱欲界。(二)色界(梵 rūpa-dhātu),色為變礙之義或示現之義,乃遠離欲界婬、食二欲而仍具有清淨色質等有情所居之世界。此界在欲界之上,無有欲染,亦無女形,其眾生皆由化生;其宮殿高大,係由色之化生,一切均殊妙精好。以其尚有色質,故稱色界。此界依禪定之深淺粗妙而分四級,從初禪梵天,終至阿迦膩吒天,凡有十八天。(三)無色界(梵 ārūpya-dhātu),唯有受、想、行、識四心而無物質之有情所住之世界。此界無一物質之物,亦無身體、宮殿、國土,唯以心識住於深妙之禪定,故稱無色界。此界在色界之上,共有四天(空無邊處天、識無邊處天、無所有處天、非想非非想處天),又稱四無色、四空處。
三界可細分為二十五有(界),若將色界之那含天析而為五(即五那含天),則共為「二十九有」。其與九地之關係,如下表所示:
此三界之果報雖有優劣、苦樂等差別,但屬迷界,係眾生生死輪迴之趣,故為聖者所厭棄。法華經譬喻品(大九‧一四下):「三界無安,猶如火宅;眾苦充滿,甚可怖畏。」又化城喻品(大九‧二四下):「能於三界獄,勉出諸眾生。」即勸三界諸有情莫以三界為安,當勤求解脫。〔南本大般涅槃經卷十三、俱舍論卷八、品類足論卷五、大毘婆沙論卷七十五、瑜伽師地論卷四、大智度論卷二十一、華嚴經孔目章卷二〕(參閱「九地」132、「色界」2545、「欲界」4653、「無色界」5083)
(二)指斷界、離界、滅界等三種無為解脫之對治道。(一)斷界,即斷除九結(九種煩惱)中除貪以外之其餘八種煩惱,或斷除無明結。(二)離界,謂斷離貪煩惱或斷除愛結。(三)滅界,謂斷滅有漏善及諸有為、無覆無記等煩惱。即除九種煩惱外之其餘有漏法。大毘婆沙論卷二十九(大二七‧一四八中):「一切行斷,故名斷界;一切行離,故名離界;一切行滅,故名滅界。」〔順正理論卷七十二、俱舍論卷二十五〕
(三)指色界、無色界、盡界。〔長阿含經卷八、品類足論卷五〕
(四)指法界、心界、眾生界。此係基於華嚴經心、佛、眾生三無差別之說而立。〔大日經疏卷三〕
(五)薩滿教基本觀念之一。主張宇宙分為上、中、下三界。依各族而說法稍異。如蒙古族薩滿教認為上層世界為神靈世界,中層世界為人類、動物之居地,下層世界為死神與魔鬼聚集之世界,即地獄。在中層世界與下層世界間,復有一不可知之世界,為人死後之去處。
頁數: p584
出處: 陳義孝編, 竺摩法師鑑定, 《佛學常見辭彙》
解釋:
欲界、色界、無色界。欲界是有淫食二欲的眾生所住的世界,上自六欲天,中自人畜所居的四大洲,下至無間地獄皆屬之;色界是無淫食二欲但還有色相的眾生所住的世界,四禪十八天皆屬之;無色界是色相俱無但住心識於深妙禪定的眾生所住的世界,四空天屬之。此三界都是凡夫生死往來的境界,所以佛教行者是以跳出三界為目的。
出處: 漢英-英漢-英英佛學辭典字庫
解釋:
Three Realms 三界 Sanskrit word is Trailokya. It is Buddhist metaphysical equivalence for the triple world of earth, atmosphere and heaven. 1.Realm of Sensusous Desire (Sanskrit word is Kamadhātu) of sex and food. It includes the Six Hevens of Desire, the Human World and the Hells. 2.Realm of Form (Sanskrit word is Rūpadhātu) of matter which is substantial and resistant. It includes the Heavens of Four Zen (Sanskrit word is Brahmalokas). 3.Realm of Formlessness (Sanskrit word is ārūpyadhātu) of pure spirit, where there are no bodies and matters to which human terms would apply, but where the mind dwells in mystic contemplation; its extent is indefinable, but it is conceived of in Four Stages/Places of Emptiness in the immaterial world.
出處: 明,一如《三藏法數》字庫
解釋:
三界===﹝出華嚴孔目
界,限也、別也。謂三界分限各別不同,故名界也。
〔一、欲界〕,欲有四種:一者情欲,二者色欲,三者食欲,四者婬欲。下極阿鼻地獄,上至第六他化天,男女相參,多諸染欲,故名欲界。(梵語阿鼻,華言無間。第六他化天者,假他所化而自娛樂也。
〔二、色界〕,色即色質,謂雖離欲界穢惡之色,而有清淨之色,始從初禪梵天,終至阿迦膩吒天,凡有一十八天,並無女形,亦無欲染,皆是化生,尚有色質,故名色界。(梵語阿迦膩吒,華言質礙究竟。一十八天者,梵眾天、梵輔天、大梵天、少光天、無量光天、光音天、少淨天、無量淨天、遍淨天、無雲天、福生天、廣果天、無想天、無煩天、無熱天、善見天、善現天、色究竟天也。)
〔三、無色界〕,謂但有心識而無色質也。始從空處,終至非非想處,凡有四天。但有受想行識四心,而無形質,故名無色界。(四天者,空無邊處天、識無邊處天、無所有處天、非非想處天也。)
頁數: 出華嚴孔目
出處: 丁福保《佛學大辭典》
解釋:
(術語)凡夫生死往來之世界分為三:一、欲界,有婬欲與食欲二欲之有情住所也。上自六欲天,中自人界之四大洲,下至無間地獄。謂之欲界。二、色界,色為質礙之義,有形之物質也。此界在欲界之上,離婬食二欲之有情住所也。謂為身體,謂為宮殿,物質的物,總殊妙精好。故名色界。此色界由禪定之淺深麤妙分四級,稱為四禪天,新曰靜慮。此中或立十六天,或立十七天,或立十八天(【參見: 四禪天】)。三、無色界,此界無一色,無一物質的物,無身體,亦無宮殿國土,唯以心識住於深妙之禪定。故謂之無色。此既為無物質之世界。則其方所,非可定。但就果報勝之義,謂在色界之上。是有四天。名為四無色。又曰四空處(【參見: 四空處】),說出俱舍論世間品,三界義。圖表三界則如圖。
【圖像: T00019a.JPG 刪減】
【圖像: T00019b.JPG 刪減】
【圖像: T00019c.JPG 刪減】
出處: 佛教漢梵大辭典, 平川彰 Buddhist Chinese-Sanskrit Dictionary, Akira Hirakawa
解釋:
traidhātuka, trayo dhātavaḥ, dhātu-traya, trailokya; kāma-rūpārūpya-dhātu, kāma-rūpārūpyāvacarin, jagat, tisra-loka, tri-dhātu, tri-dhātuka, tri-dhātu-saṃkleśa, tri-bhava, tribhuva, tri-bhuvana, tri-loka, triṣu dhātuṣu
頁數: p6
出處: A Digital Edition of A Glossary of Dharmarakṣa translation of the Lotus Sutra by Seishi Karashima, 1998
解釋:
三界 (sān jiè) ( “the triple universe” ) Cf. 三處(sān chù) ;
{《漢語大詞典》1.213b(東晉代)} ; {《大漢和辞典》1.113a(雜阿含經)} ;
Dharmarakṣa: {64b19}
{K.11.1} traidhātuka~
Kumārajīva: {L.3a11} 三界
Dharmarakṣa: {73c1}
{K.61.13} do.
Kumārajīva: {not found at L.10c25}
Dharmarakṣa: {75c15} 愍哀三界大火熾然(p)
{K.77.9} do.
Kumārajīva: {L.13a16} 三界
Dharmarakṣa: {75c25} 復見燒然三界衆生勤苦之患(p)
{K.78.4} do.
Kumārajīva: {L.13a25} 三界
Dharmarakṣa: {77c24} 爲三界欲 所見纏縛(v)
{K.89.12} do.
Kumārajīva: {L.14c21} 世
Dharmarakṣa: {80c27} 勉濟吾等三界勤苦(p)
{K.108.17-}
Kumārajīva: {not found at L.17b19}
Dharmarakṣa: {81a12} 畏三界法及生老死……之事(p)
{K.110.2-}
Kumārajīva: {not found at L.17c2}
Dharmarakṣa: {82c11} 解脱三界 勤苦之惱(v)
{K.117.8} traidhātuka-
Kumārajīva: {L.18c3} 三界
Dharmarakṣa: {85a3} 無數菩薩 志開總智 周旋三界(v)
{K.131.3} traidhātuka~
Kumārajīva: {L.20b14} 三界
Dharmarakṣa: {85c3} 是以世尊愍傷其人升降三界,輪轉無際,不能自拔(p)
{K.136.3} do.
Kumārajīva: {not found at L.20b24}
《添品妙華蓮華經》Taishō, Vol. 9, No. 264, {Ten.154a12} 三界
etc." - ↑ 佛門網, "色界 2". 2013년 6월 8일에 확인
"色界:
sèjiè
出處: A Dictionary of Chinese Buddhist Terms, William Edward Soothill and Lewis Hodous
解釋:
rūpadhātu, or rūpāvacara, or rūpaloka, any material world, or world of form; it especially refers to the second of the Trailokya 三界, the brahmalokas above the devalokas, comprising sixteen or seventeen or eighteen 'Heavens of Form', divided into four dhyānas, in which life lasts from one-fourth of a mahākalpa to 16,000 mahākalpas, and the average stature is from one-half a yojana to 16,000 yojanas. The inhabitants are above the desire for sex or food. The rūpadhātu, with variants, are given as— 初禪天 The first dhyāna heavens: 梵衆天 Brahmapārisadya, 梵輔天 Brahmapurohita or Brahmakāyika, 大梵天 Mahābrahmā. 二禪天 The second dhyāna heavens: 少光天 Parīttābha, 無量光天 Apramānābha, 光音天 Ābhāsvara. 三禪天 The third dhyāna heavens: 少淨天 Parīttaśubha, 無量淨天 Apramānaśubha, 徧淨天 Śubhakrtsna. 四禪天 The fourth dhyāna heavens: 無雲天 Anabhraka, 福生天 Punyaprasava, 廣果天 Brhatphala, 無想天 Asañjñisattva, 無煩天 Avrha, 無熱天 Atapa, 善現天 Sudrśa, 善見天 Sudarśana, 色究竟天 Akanistha, 和音天 ? Aghanistha, 大自在天 Mahāmaheśvara.
出處: 陳義孝編, 竺摩法師鑑定, 《佛學常見辭彙》
解釋:
三界之一,在欲界之上,因此界的眾生,但有色相,而無男女諸欲,故名色界,色界的範圍包括初禪至四禪等一共十八層天。
出處: 漢譯阿含經辭典,莊春江編(1.4版)
解釋:
無男女欲或感官之欲,但還有物質之欲特性的眾生界,在欲界之上。
出處: 佛教漢梵大辭典, 平川彰 Buddhist Chinese-Sanskrit Dictionary, Akira Hirakawa
解釋:
rūpa-dhātu, rūpāvacara; rūpa, rūpa-ja, rūpa-bhava, rūpāpta, rūpāyatana, rūpin.
頁數: P.3107
出處: 朱芾煌《法相辭典》字庫
解釋:
色界===瑜伽五十六卷八頁云:問:何等是色界?答:若色根增上所生,若彼於此為增上;是名色界。如色界,乃至觸界,當知亦爾。
二解 瑜伽一百卷十四頁云:言色界者:謂四靜慮,並靜慮中間。有十七地。
三解 顯揚一卷十六頁云:二、色界。謂已離欲地雜眾煩惱諸蘊差別。
四解 俱舍論八卷一頁云:此欲界上,處有十七。謂三靜慮,處各有三。第四靜慮,處獨有八。器及有情,總名色界。第一靜慮處有三者:一、梵眾天,二、梵輔天,三、大梵天。第二靜慮處有三者:一、少光天,二、無量光天,三、極光淨天。第三靜慮處有三者:一、少淨天,二、無量淨天,三、遍淨天。第四靜慮處有八者:一、無雲天,二、福生天,三、廣果天,四、無煩天,五、無熱天,六、善現天,七、善見天,八、色究竟天。迦濕彌羅國諸大論師皆言:色界處但有十六。彼謂即於梵輔天處,有高臺閣,名大梵天。一生所居。非有別地。如尊處座,四眾圍繞。
五解 大毗婆沙論七十一卷十頁云:問:色界云何?答:諸色為眼已正當見,及彼同分;是名色界。已所見者:謂過去色。正所見者:謂現在色。當所見者:謂未來色。及彼同分者:謂有四種彼同分色。一者、過去彼同分色。謂色界,不為眼所見已滅。二者、現在彼同分色。謂色界,不為眼所見正滅。三者、未來彼同分色。謂色界,不為眼所見當滅。四者、未來畢竟不生色界。或有色界,於一有情,是同分;於二三四乃至百千諸有情等,亦是同分。謂此色界,是一有情眼所見;亦是二三四乃至百千諸有情等眼所見故。如百千人同觀初月。然此色界,於諸緣彼生眼識者,名同分。於不緣彼生眼識者,名彼同分。又如眾中,有一伎女,形容端正,眾具莊嚴;諸有緣之起眼識者,彼色界,名同分。諸有不緣起眼識者,即彼色界,名彼同分。又如法師,昇座說法,言辭清辯,形貌端嚴;諸有緣之起眼識者,彼色界,名同分。諸有不緣起眼識者,即彼色界,名彼同分。或有色界,於一有情,名彼同分;於二三四乃至百千諸有情等,亦名彼同分。謂彼色界,在隱映處。無量有情,不能見故。或有色界,一切有情眼所不見。即彼色界,於一切時,名彼同分。如妙高山中心之色,及大地中大海下色,一切有情,無有見者。問:彼色豈非天眼境界?答:彼色雖是天眼境界;而無用故,此不觀之。復次非一切時天眼現起;故有彼色,天眼不見。問:彼色豈非佛眼境界?答:彼色雖是佛眼境界;而無用故,佛不觀之。復次非一切時有佛出世;如今無佛,既無佛眼;故有彼色,非佛眼見。問:何故見色眼,於自有情,名同分;於餘有情,亦名同分。而所見色,於見者,名同分;於不見者,名彼同分耶?答:容一色界,多有情見。無一眼界,二有情用故。謂有色界,一有情見;容二三四,乃至百千有情亦見。是共見故;諸有見者,此色界於彼,名同分。諸不見者,此色界於彼,名彼同分。無一眼界二有情用;況多有情。是不共故;諸用此眼,能見色者,此眼與彼,名同分。諸餘有情,眼若見色,若不見色,此眼與彼,亦名有作用。眼既是不共;於一切時,相恆定故。如色界,聲香味觸界,亦爾。同分彼同分品類差別,皆相似故。
六解 此是十八界中之色界。法蘊足論九卷十七頁云:云何色界?謂如色處。
七解 法蘊足論九卷二十三頁云:云何色界?謂有諸法,色貪隨增;是名色界。復次色界繫十四界,十處,五蘊,是名色界。復次下從梵眾天,上至色究竟天,於中所有色受想行識,是名色界。又云:云何色界?謂欲色界,總名色界。又云:諸有色法,總名色界。
八解 此十八界中之色界。品類足論二卷十三頁云:色界云何?謂色,為眼已正當見,及彼同分。
九解 品類足論六卷十六頁云:色界云何?謂色貪隨增法。
十解 品類足論六卷十六頁云:色界云何?謂欲界色界,總名色界。
十一解 品類足論六卷十六頁云:一切色法,總名色界。
出處: 明,一如《三藏法數》字庫
解釋:
色即色質,謂雖離欲界穢惡之色,而有清淨之色,始從初禪梵天,終至阿迦膩吒天,凡有一十八天,並無女形,亦無欲染,皆是化生,尚有色質,故名色界。(梵語阿迦膩吒,華言質礙究竟。一十八天者,梵眾天、梵輔天、大梵天、少光天、無量光天、光音天、少淨天、無量淨天、遍淨天、無雲天、福生天、廣果天、無想天、無煩天、無熱天、善見天、善現天、色究竟天也。)
出處: 明,一如《三藏法數》字庫
解釋:
謂眼所見一切色境,名為色界。
出處: 漢英-英漢-英英佛學辭典字庫
解釋:
Realm of Form 色界 【參照: Three Realms】" - ↑ DDB, "色界 3". 2013년 6월 8일에 확인
"色界:
Pronunciations: [py] sèjiè [wg] se-chieh [hg] 색계 [mc] saekgye [mr] saekkye [kk] シキカイ [hb] shikikai [qn] sắc giới
Basic Meaning: form realm
Senses:
# The second of the three realms 三界. Existence constituted of pure materiality, free from the afflictions of the desire realm 欲界. Although the desires have subsided, one still possesses a body. It is the locus of the four meditation heavens. Specifically speaking, in cosmological terms, these are the brahmalokas above the devalokas, comprising sixteen or seventeen or eighteen 'Heavens of Form' 色界十七天. (Skt. rūpa-dhātu; Tib. gzugs kyi khams). [Charles Muller; source(s): Yokoi, Stephen Hodge, JEBD]
# Objects of vision—form elements. One of the eighteen factors of cognition 十八界. [Charles Muller]
# (Skt. rūpaloka, rūpâvacara; rūpa, rūpa-ja, rūpa-bhava, rūpâpta, rūpâyatana, rūpin; Tib. gzugs khams, gzugs) [Charles Muller; source(s): Hirakawa, YBh-Ind]
# [fr] le monde de la forme [Paul Swanson]
# [fr] correspondant aux quatre degrés de méditation [Paul Swanson]
# Also in: CJKV-E
# Cf. Karashima (Lokakṣema Glossary): view / hide
[Dictionary References]
Bukkyō jiten (Ui) 444
Bulgyo sajeon 438a
Zengaku daijiten (Komazawa U.) 419d
Iwanami bukkyō jiten 343
A Glossary of Zen Terms (Inagaki) 302, 337
Japanese-English Buddhist Dictionary (Daitō shuppansha) 279a/309
Japanese-English Zen Buddhist Dictionary (Yokoi) 643
Bukkyōgo daijiten (Nakamura) 575a
Fo Guang Dictionary 2545
Ding Fubao
Buddhist Chinese-Sanskrit Dictionary (Hirakawa) 1006
Bukkyō daijiten (Mochizuki) (v.1-6)1740a,1467b,1735a,2356a
Bukkyō daijiten (Oda) 607-2-19*691-2
Sanskrit-Tibetan Index for the Yogâcārabhūmi-śāstra (Yokoyama and Hirosawa)
Lokakṣema's Aṣṭasāhasrikā Prajñāpāramitā (Karashima) 404" - ↑ 星雲, "色界 4". 2013년 6월 8일에 확인.
- ↑ 운허, ""色(색)". 2013년 6월 8일에 확인
"色(색): 【범】 rūpa 【팔】 rūpa (1) 심법(心法)에 대하여 물질을 색법이라 함. 변괴(變壞)ㆍ질애(質礙)의 두 뜻이 있는 물질의 총칭. 5위(位)의 하나. 5온(蘊)의 하나. 구사론(俱舍論)에서는 5근(根)ㆍ5경(境)ㆍ무표색(無表色)의 11로 나누고, 유식종에서는 5근(根)ㆍ5경(境)ㆍ법처소섭색(法處所攝色)의 11로 나눔. (2) 최근의 해석으로는 형상과 색채를 합한 것으로서 감각적 직관적인 일반을 가리킴이라 함. 곧 정신적 요소에 대립한 물질이 아니고, 존재한 한 방면인 물질적 성질을 말함." - ↑ 운허, "欲界(욕계)". 2013년 6월 8일에 확인
"欲界(욕계): 3계(界)의 하나. 지옥ㆍ아귀(餓鬼)ㆍ축생(畜生)ㆍ아수라ㆍ인간ㆍ6욕천의 총칭. 이런 세계는 식욕ㆍ수면욕(睡眠欲)ㆍ음욕이 있으므로 욕계라 함." - ↑ 星雲, "欲界". 2013년 6월 8일에 확인
"欲界: 梵語 kāma-dhātu,巴利語同。指有情生存狀態之一種,又指此有情所住之世界。欲界與色界、無色界合稱三界。即合地獄、餓鬼、畜生、阿修羅、人、六欲天之稱。此世界之有情以有食欲、淫欲、睡眠欲等,故稱欲界。欲界包含有情世間與器世間。相對於色界與無色界之為定心(入禪定三昧不散動之心)之地,以欲界為散心(散動之平常心)之地,故稱欲界散地。然就欲界是否有定,鞞婆沙論卷十、大乘義章卷十一等載有諸說。若將三界分為九地,有所謂欲界五趣地,欲界全體即屬九地之最初地。
此外,有關欲界所包括的範圍及類別,諸經論中各有記載,如雜阿毘曇心論卷八修多羅品列八大地獄、畜生、餓鬼、四大洲、六欲天等二十處;長阿含經卷二十忉利天品則分地獄、畜生、餓鬼、人、阿須倫、四天王、忉利天、焰魔天、兜率天、化自在天、他化自在天、魔天等十二種;瑜伽師地論卷四列有八大地獄、四大洲、八中洲、六欲天、餓鬼及非天,計有三十六處。俱舍論卷十一詳述其位置、身長、壽命等。〔長阿含經卷十九、起世經卷一至卷九、舍利弗阿毘曇論卷七、大毘婆沙論卷一三六、卷一三七、俱舍論卷三〕 p4653" - ↑ 星雲, "欲界三欲". 2013년 6월 8일에 확인
"欲界三欲: 據翻譯名義集卷三舉出欲界凡夫之三欲,指:(一)飲食欲,即凡夫於種種美味之飲食,多生貪愛之心。(二)睡眠欲,即凡夫之心多暗塞,耽著於睡眠而不能勤修道業。(三)淫欲,即一切男女由互相之貪染,而起造諸種欲事。 p4654"" - ↑ 星雲, "三有". 2012년 10월 24일에 확인
"三有: 有,梵語 bhava,其義分類如下:(一)欲有、色有、無色有。義同三界。(一)欲有,欲界天、人、修羅、畜生、餓鬼、地獄,各隨其業因而受果報,稱為欲有。(二)色有,色界四禪諸天,雖離欲界粗染之身,而有清淨之色,稱為色有。(三)無色有,無色界四空諸天,雖無色質為礙,亦隨所作之因,受其果報,稱為無色有。〔大智度論卷三、集異門足論卷四、大毘婆沙論卷六十〕
(二)有情一生之始終分為生有、本有、死有。(一)生有,指託生之最初一剎那。(二)本有,指由生至死之間。(三)死有,指死之瞬間。小乘有部宗則以此三有,加上「中有」,而主張四有之說。〔異部宗輪論〕(參閱「四有」1688)
(三)有漏之異名。漏,為煩惱之異名。煩惱自有情眾生之六根門漏泄無窮,而令其流轉於生死之間,故謂有漏乃三有之因,為其所依、所攝。(參閱「有漏」2452)
(四)善成有、性得有、變異有。乃數論外道所立。(一)善成有,如數論之祖迦毘羅仙人,初生時具法、智、離欲、自在等四德,此四德係因善而得成就,故稱善成有。(二)性得有,如昔時梵王生娑那歌、娑難陀那、娑那多那、娑難鳩摩羅等四子,此四子十六歲時自然成就法、智、離欲、自在等四德,以無因而得,故稱自性有。(三)變異有,師身名變異,因師身故,弟子恭敬親近聽聞得智慧,因智慧得離欲,因離欲得善法,因善法得自在;如是,弟子四德從師身得,故稱變異有。此三有相當於佛法之等起善、生得善、加行善。〔金七十論卷中〕 p548" - ↑ 운허, "三有(삼유)". 2012년 10월 24일에 확인
"三有(삼유): 【범】 trayo-bhava (1) 유(有)는 존재한다는 뜻으로 욕유(欲有)ㆍ색유(色有)ㆍ무색유(無色有). 삼계(三界)와 같음. (2) ① 생유(生有). 처음 나는 일찰나. ② 본유(本有). 나서부터 죽을때까지의 존재. ③ 사유(死有). 죽는 일찰나. (3) 유루(有漏)의 다른 이름. (4) 수론(數論) 외도가 세우는 선성유(善成有)ㆍ성득유(性得有)ㆍ변이유(變異有)." - ↑ 星雲, "有". 2012년 10월 24일에 확인
"有: 梵語 bhava,巴利語同。即存在、生存之義。於佛教典籍或各家主張中,「有」之使用範圍極廣,其意義與分類亦有多種不同之說法。據大毘婆沙論卷六十所舉,「有」之義有多種,然主要指有情眾生之異熟果體,及能招感此異熟果體之諸業。亦即由善惡之業因,能招感苦樂之果報,此種因果報應,相續而不亡失,故稱為「有」。又據俱舍論卷九、成唯識論卷八等所舉,能牽引當來果報之業,稱為「有」,此有即指「有支」,為十二因緣之一。
就諸法之存在與否而言,「有」係表示諸法之存在,為「無」、「空」之對稱。說一切有部認為,諸法存在,三世實有。然唯識家則以「依他起性」之諸法為「假有」,以「圓成實性」為「實有」,但此「實有」與說一切有部之「三世實有」等意義不同,乃指諸法之實性(真如)常存、遍存,無有生滅,故唯識家特稱之為妙有、真有。
此外,凡夫因執著色、無色二界為解脫之境界,常易於生起解脫之念,而妄求生於此二界,為遮止此一執情,故於此二界設立諸種之「有」,以顯示其非真解脫之境界;如稱色、無色二界之貪為「有貪」,稱煩惱為「有漏」,或稱無色界之愛為「有愛」等,皆為其例。
另關於「有」之種類,可分為下列數種:(一)三有,指三界,亦即指欲有、色有、無色有。(二)七有,指地獄有、餓鬼有、傍生有、天有、人有、業有、中有。(三)二十五有,包括:(1)地獄、惡鬼、畜生、阿修羅等四惡趣。(2)東勝身洲、南贍部洲、西牛貨洲、北俱盧洲等四洲。(3)四天王天、夜摩天、忉利天、兜率天、化樂天、他化自在天等六欲天。(4)初禪天、大梵天、第二禪天、第三禪天、第四禪天、無想天、五淨居天等色界諸天。(5)空無邊處天、識無邊處天、無所有處天、非想非非想處天等無色界諸天。(四)二十九有,即將上述二十五有中之五淨居天,細分為無煩天、無熱天、善見天、善現天、色究竟天等五天,總合為二十九有。
此外,初果之聖者,尚須於人界、天界間往返七次(各受生七次),合之則為十四生,而每一生復分為生有、中有,故共為「二十八有」,此二十八有又稱二十八生,為初果聖者受生之極度,故更無第二十九有可言。準此,若言「二十九有」者,則多表示事物之絕無者,猶如謂「六陰」、「十三入」、「十九界」等。
又以一切萬有因存在之狀態不同,而有諸種之分類,此總稱為「諸有」;而「諸有」廣大無邊猶如大海,故亦稱「諸有海」。於大智度論卷十二中,將存在之法分為三種,稱為三種有,即:(一)相待有,謂有大小、長短等相對之存在。(二)假名有,謂由眾多因緣集合而成者,如由四大假合之人等,係有假名而無實體者。(三)法有,謂由因緣而生之法,雖無自性,然非如兔角、龜毛等之有名無實,故稱法有。〔集異門足論卷四、大毘婆沙論卷一九二、俱舍論卷十九、順正理論卷四十五、成唯識論卷二、卷九、大智度論卷三、大乘義章卷八〕(參閱「十二因緣」337、「三有」548、「四有」1668、「無」5068) p2426" - ↑ 운허, "有(유)". 2012년 10월 24일에 확인
"有(유):
[1] 있다는 것. ↔ 공(空)ㆍ무(無). 여기에 실유(實有)ㆍ가유(假有)ㆍ묘유(妙有)가 있음.
[2] 12인연의 하나. 유지(有支)라고도 함. 미계(迷界)에 태어나는 원인인 업을 짓는 자리.
[3] 선ㆍ악의 업인(業因)에 따라 받게 되는 고와 낙이 제각기 다른 생(生). 3유ㆍ25유 등.
[4] 색계(色界)ㆍ무색계(無色界)의 자체. 정심(定心) 또는 의신(依身). 색계ㆍ무색계의 중생은 욕계의 중생이 바깥 대상물에 대하여 번뇌를 일으키듯이, 내계(內界)의 정심(定心)에 애착하므로 유탐(有貪)이라 함. 외도들은 이 경계를 해탈 경계라고 생각함에 대하여, 이것은 생사하는 경계인 줄을 알게 하기 위하여 특히 유탐(有貪)이라 이름." - ↑ 星雲, "色界 6". 2013년 6월 8일에 확인.
- ↑ 佛門網, "色界 7". 2013년 6월 8일에 확인.
- ↑ DDB, "色界 8". 2013년 6월 8일에 확인.
- ↑ 운허, "三界九地(삼계구지)". 2012년 10월 24일에 확인.
- ↑ 운허, "九地(구지)". 2012년 10월 24일에 확인.
- ↑ 운허, "色界(색계) 2". 2013년 6월 8일에 확인.
- ↑ 星雲, "色界 9". 2013년 6월 8일에 확인.
- ↑ 佛門網, "四禪". 2013년 6월 9일에 확인
"四禪:
sì chán
出處: 丁福保《佛學大辭典》
解釋:
四禪 ===(術語)分貫練薰修之四種為四禪也。【參見: 觀練薰修】。【又】四禪天四禪定也。【又】四禪中之第四禪天也。三代實錄曰:「四禪不壞於三災。」【參見: 四禪天】
出處: A Dictionary of Chinese Buddhist Terms, William Edward Soothill and Lewis Hodous
解釋:
The four dhyāna heavens, 四靜慮 (四靜慮天), i. e. the division of the eighteen brahmalokas into four dhyānas: the disciple attains to one of these heavens according to the dhyāna he observes: (1) 初禪天 The first region, 'as large as one whole universe' comprises the three heavens, Brahmā-pāriṣadya, Brahmā-purohita, and Mahābrahmā, 梵輔, 梵衆, and 大梵天; the inhabitants are without gustatory or olfactory organs, not needing food, but possess the other four of the six organs. (2) 二禪天 The second region, equal to 'a small chiliocosmos' 小千界, comprises the three heavens, according to Eitel, 'Parīttābha, Apramāṇābha, and Ābhāsvara, ' i. e. 少光 minor light, 無量光 infinite light, and 極光淨 utmost light purity; the inhabitants have ceased to require the five physical organs, possessing only the organ of mind. (3) 三禪天 The third region, equal to 'a middling chiliocosmos '中千界, comprises three heavens; Eitel gives them as Parīttaśubha, Apramāṇaśubha, and Śubhakrtsna, i. e. 少淨 minor purity, 無量淨 infinite purity, and 徧淨 universal purity; the inhabitants still have the organ of mind and are receptive of great joy. (4) 四禪天 The fourth region, equal to a great chiliocosmos, 大千界, comprises the remaining nine brahmālokas, namely, Punyaprasava, Anabhraka, Brhatphala, Asañjñisattva, Avrha, Atapa, Sudrśa, Sudarśana, and Akanistha (Eitel). The Chinese titles are 福生 felicitous birth, 無雲 cloudless, 廣果 large fruitage, 無煩 no vexations, atapa is 無熱 no heat, sudrśa is 善見 beautiful to see, sudarśana is 善現 beautiful appearing, two others are 色究竟 the end of form, and 無想天 the heaven above thought, but it is difficult to trace avrha and akanistha; the inhabitants of this fourth region still have mind. The number of the dhyāna heavens differs; the Sarvāstivādins say 16, the 經 or Sūtra school 17, and the Sthavira school 18. Eitel points out that the first dhyāna has one world with one moon, one mem, four continents, and six devalokas; the second dhyāna has 1, 000 times the worlds of the first; the third has 1, 000 times the worlds of the second; the fourth dhyāna has 1, 000 times those of the third. Within a kalpa of destruction 壞劫 the first is destroyed fifty-six times by fire, the second seven by water, the third once by wind, the fourth 'corresponding to a state of absolute indifference' remains 'untouched' by all the other evolutions; when 'fate (天命) comes to an end then the fourth dhyāna may come to an end too, but not sooner'.
出處: 陳義孝編, 竺摩法師鑑定, 《佛學常見辭彙》
解釋:
見四禪天條。
出處: A Digital Edition of A Glossary of Dharmarakṣa translation of the Lotus Sutra by Seishi Karashima, 1998
解釋:
四禪 (sì chán) ( “the four meditations, the four stages of meditation” )
{《漢語大詞典》3.599b(唐代)} ; {《大漢和辞典》3.29c(摩訶止觀)} ;
Dharmarakṣa: {85a5} 無數菩薩 志開總智……… 修進神足 專達四禪 若聞空慧 心則解達(v)
{K.131.5} catu-dhyāna-
Kumārajīva: {L.20b15} 禪" - ↑ 佛門網, "四禪天 1". 2013년 6월 9일에 확인
"四禪天:
出處: 佛光電子大辭典
解釋:
梵名 Caturdhyānabhūmi。又稱四靜慮天、四靜慮處、四生靜慮、生靜慮。指修習四禪定所得報果之色界天,或指居於此界之眾生。即色界之初禪天、第二禪天、第三禪天、第四禪天。據俱舍論卷八、卷二十八載:(一)初禪天,此處已不食人間煙火,故無鼻、舌二識,但有眼、耳、身、意四識生起之喜、樂二受和尋伺思惟能力。(二)第二禪天,更無眼、耳、身三識,亦無尋、伺思惟,唯有意識及喜受、捨受(非苦非樂之感受)相應。(三)第三禪天,唯有意識活動,與樂受、捨受相應。(四)第四禪天,唯有與捨受相應之意識活動。前三禪天各有三天,第四禪天則有八天,合為色界十七天。其一一天之名稱及名義之由來,分載於俱舍論卷八、順正理論卷二十一。然關於色界諸天之廢立,其他經論亦有舉出十六天、十八天、二十一天、二十二天者。又狹義之四禪天僅指第四禪天,包含無雲、福生、廣果、無煩、無熱、善現、善見、色究竟等八天。〔長阿含經卷二十、佛本行集經卷九、大般若經卷四○三、大毘婆沙論卷九十八、卷一三六、立世阿毘曇論卷六、大智度論卷九、俱舍論光記卷八、卷十一〕(參閱「四禪」1843、「色界」2545)
頁數: p1846
出處: 陳義孝編, 竺摩法師鑑定, 《佛學常見辭彙》
解釋:
色界諸天分為四禪,即初禪、二禪、三禪、四禪。一、清淨心中,諸漏不動,名為初禪,即梵眾、梵輔、大梵等三天,此三天已不須段食,故無鼻舌二識,惟有樂受,與眼耳身三受相應,喜受與意識相應。二、清淨心中,粗漏已伏,名為二禪,即少光、無量光、光音等三天,此三天無前五識,僅有意識,因之惟有喜捨二受,與意識相應。三、安穩心中,歡喜畢具,名為三禪,即少淨、無量淨、遍淨等三天,此三天識受皆與二禪略同,但意識怡悅之相,較為淨妙。四、前五識俱無,亦無喜受,僅有捨受,與意識相應,名為四禪,即無雲、福生、廣果、無想、無煩、無熱、善見、善現、色究竟等九天。根据大涅槃經說,初禪天人,因他們心中有粗細的思想,所以外面有火災;二禪天人,他們對於禪定,生喜樂心,所以外面有水災;三禪天人,他們呼吸粗重,所以外面有風災;惟獨第四禪,所有內外過患,一切均無,所以諸災不能到達那裡。
出處: 丁福保《佛學大辭典》
解釋:
(界名)新云四靜慮天,修四種禪定所生之色界四天處也。分別之以受與觀覺(新曰尋伺):一、初禪天,初禪已上,不須分段食,故無鼻舌二識,唯就眼耳身意四識有喜受,而與意識相應,有樂受而與三識相應,且有覺觀之二者。此地薩婆多部立梵眾梵輔之二天,經部與上座部,加大梵天為三天(薩婆多以之於梵輔天中攝),故初禪天有三天。二、二禪天,二禪已上,亦無眼耳身之三識,僅有意識之一,因而惟有喜捨二受,與意識相應,無眼等五識,故無樂受,又意識之怡悅麤大,故是喜受而非樂受。但無覺觀二者,此地有少光,無量光,極光淨(光音)之三天。三、三禪天,是亦僅有意識。有樂捨二受與上相應。此地意識怡悅之相,至極淨妙,故立為樂受。此地亦有少淨,無量淨,遍淨之三天。四、四禪天,此亦僅有意識,唯有捨受與之相應。此地薩,經二部立無雲,福生,廣果,無煩,無熱,善見,善現,色究竟之八天,上座部於此加無想天為九天(薩經二部攝之於廣果中),故薩婆多部有十六天,經部有十七天,上座部有十八天,大乘唯識與上座部之義同為十八天。" - ↑ 佛門網, "四定". 2013년 6월 9일에 확인
"四定:
出處: A Dictionary of Chinese Buddhist Terms, William Edward Soothill and Lewis Hodous
解釋:
The four dhyāna heavens of form, and the four degrees of dhyāna corresponding to them.
出處: 丁福保《佛學大辭典》
解釋:
(術語)色界天之四禪定也。寄歸傳曰:「敬修四定,善護七篇。」
出處: 佛教漢梵大辭典, 平川彰 Buddhist Chinese-Sanskrit Dictionary, Akira Hirakawa
解釋:
catur-dhyāna, catvāri dhyānāni, dhyāna-catuṣṭaya.
頁數: p 623" - ↑ 佛門網, "四靜慮". 2013년 6월 9일에 확인
"四靜慮:
出處: 丁福保《佛學大辭典》
解釋:
四靜慮===(名數)有二種:一定靜慮,一生靜慮。定靜慮者,生於四靜慮天之禪定也,舊云四禪定(【參見: 四禪定】)生靜慮者,其天處也,舊云四禪天。禪者梵語禪那Dhya%na之略,舊譯曰思惟,新譯曰靜慮。靜息心慮之義。易言之,即禪定者得靜息心慮之人之天處,故謂之靜慮。其靜慮有四種之淺深,故生處亦有四處之高下,是色界之四禪四靜慮也,此四靜慮又有諸天之別。【參見: 四禪天】
出處: 佛教漢梵大辭典, 平川彰 Buddhist Chinese-Sanskrit Dictionary, Akira Hirakawa
解釋:
catur-dhyāna, catvāri dhyānāni, dhyāna-catuṣṭaya, catur-dhyāna-bhūmika, caturtha-dhyāna-bhūmika.
頁數: p 623
出處: 朱芾煌《法相辭典》字庫
解釋:
俱舍論二十八卷一頁云:且諸定內靜慮云何?頌曰:靜慮四各二,於中生已說。定謂善一境,並伴五蘊性,初具伺喜樂,後漸離前支。論曰:一切功德多依靜慮,故應先辯靜慮差別。此總有四種,謂初、二、三、四,四各有二,謂定及生。生靜慮體,世品已說,謂第四八,前三各三。定靜慮體,總而言之,是善性攝心一境性,以善等持為自性故。若並助伴,五蘊為性,何名一境性?謂專一所緣。若爾,即心專一境位,依之建立三摩地,名不應別有餘心所法,別法令心於一境轉,名三摩地,非體即心,豈不諸心剎那滅故,皆一境轉,何用等持?若謂令心於第二念不散亂故,須有等持,則於相應等持無用。又由此故,三摩地成,寧不即由斯心於一境轉?又三摩地是大地法,應一切心皆一境轉。不爾,餘品等持劣故。有餘師說,即心一境相續轉時,名三摩地,契經說此,為增上心學故。心清淨最勝,即四靜慮故。依何義故,立靜慮名?由此寂靜,能審慮故。審慮即是實了知義。如說心在定,能如實了知。審慮義中,置地界故。此宗審慮,以慧為體。若爾,諸等持皆應名靜慮。不爾,唯勝方立此名。如世間言,發光名日,非螢燭等亦得日名。靜慮如何獨名為勝?諸等持內,唯此攝支。止觀均行,最能審慮,得現法樂住及樂通行名,故此等持獨名靜慮。若爾,染污寧得此名,由彼亦能邪審慮故。是則應有太過之失。無太過失,要相似中,方立名故,如敗種等,世尊亦說有惡靜慮。若一境性,是靜慮體,依何相立初、二、三、四?具伺喜樂,建立為初;由此已明,亦具尋義。必俱行故,如煙與火。非伺有喜樂,而不與尋俱。漸離前支,立二、三、四。離伺有二,離二有樂,具離三種,如其次第。故一境性分為四種。
二解 法蘊足論五卷十四頁云:一時薄伽梵在室羅筏住逝多林給孤獨園,爾時世尊告苾芻眾:有四天道,令諸有情未淨者淨,淨者鮮白。何等為四?謂有一類離欲惡不善法,有尋有伺,離生喜樂。初靜慮具足住,是名第一天道。復有一類,尋伺寂靜,內等淨心一趣性,無尋無伺,定生喜樂。第二靜慮具足住,是名第二天道。復有一類,離喜住捨,正念正知,身受樂,聖說應捨。第三靜慮具足住,是名第三天道。復有一類,斷樂斷苦,先喜懮沒,不苦不樂,捨念清淨。第四靜慮具足住,是名第四天道。如是四種,皆令有情未淨者淨,淨者鮮白。如彼卷十四頁至六卷七頁廣釋。
三解 集異門論六卷十二頁云:四靜慮者,謂初靜慮,第二靜慮,第三靜慮,第四靜慮。云何初靜慮?答:初靜慮所攝善五蘊,是名初靜慮。云何第二靜慮?答:第二靜慮所攝善五蘊,是名第二靜慮。云何第三靜慮?答:第三靜慮所攝善五蘊,是名第三靜慮。云何第四靜慮?答:第四靜慮所攝善五蘊,是名第四靜慮。
四解 如大毗婆沙論八十卷一頁至八十一卷十四頁廣說:彼云:問:此四靜慮自性云何?答:各以自地五蘊為自性,是名靜慮自性,我物自體,相分本性。已說自性,所以今當說。問:何故名靜慮?為能斷結,故名靜慮;為能正觀,故名靜慮。若能斷結,故名靜慮,則無色定亦能斷結,應名靜慮。若能正觀,故名靜慮,則欲界三摩地亦能正觀,應名靜慮。有作是說,以能斷結,故名靜慮。問:諸無色定亦能斷結,應名靜慮?答:若定能斷不善、無記二種結者,名為靜慮。諸無色定,唯斷無記,非不善故,不名靜慮。問:若作是說,唯未至定可名靜慮,上地不斷不善結故?答:上地雖無彼斷對治,而有不善厭壞對治。以能厭壞,亦名能斷。問:若作是說,上地滅道法智品,及彼一切類智品,應非靜慮?皆非欲界斷及厭壞二對治故。答:彼於欲界雖無全界全地對治,而彼界地容有不善厭壞對治。由此勢力,餘亦得名。復次,四靜慮中有能對治不善結者,無色全無,故靜慮名不通無色。尊者妙音作如是說,色界六地於欲界結,皆有斷對治及厭壞對治。然未至定,已斷彼結。餘地對治,無彼可斷。雖無彼可斷,而有對治用。如日三分,皆能破暗。初分已破,餘無可破。又如六人,共一怨家,一人已殺,餘無可殺。又如六燈,皆能破暗,持一入室,其暗已除,餘五入時,無暗可破。如是六地於欲界結,皆有斷能,非唯未至。若不爾者,依上五地入見道時,應不證得欲見所斷諸結離系。既能證得,故知六地於欲界結有斷對治。復次,若定能斷見修所斷二結盡者,名為靜慮;諸無色定,唯能斷修所斷結盡,故非靜慮。復次,若能斷結,五蘊俱生,能為所依,起多功德,能具攝受四支五支,能發六通,具四通行、三種變現、三明、三根、三道、三地、四沙門果、九遍知道、見修二道、法類二智,及忍智者,名為靜慮。諸無色定雖能斷結,而不具上所說功德,故非靜慮。復有說者,以能正觀,故名靜慮。問:若爾,欲界有三摩地,亦能正觀,應名靜慮?答:若能正觀,亦能斷結,名為靜慮。欲界三摩地,雖有能正觀,而不能斷結,故不名靜慮。復次,若能正觀,堅固難壞,相續久住,於所緣境,長時注意而不捨者,名為靜慮。欲界三摩地無如是德,故非靜慮。復次,若三摩地具有定名定用,能正觀者,名為靜慮。欲界三摩地,雖有定名,而無定用,如泥椽梁,有名無用,故非靜慮。復次,若三摩地非散亂風之所搖動,如密室燈,能正觀者,名為靜慮。欲界三摩地,多散亂風之搖動,如四衢燈,故非靜慮。如是說者,要具二義方名靜慮,謂能斷結,及能正觀。欲界三摩地,雖能正觀而不能斷結;諸無色定,雖能斷結,而不能正觀,故非靜慮。復次,若能遍觀、遍斷結者,名為靜慮。欲界三摩地,雖能遍觀,而不能遍斷結;諸無色定,二義俱無,故非靜慮。復次,若能靜息一切煩惱,及能思慮一切所緣,名為靜慮。欲界三摩地,雖能思慮一切所緣,不能靜息一切煩惱;諸無色定,兩義都無,故非靜慮。復次,諸無色定,有靜無慮;欲界三摩地,有慮無靜。色定俱有,故名靜慮。靜謂等引,慮謂遍觀,故名靜慮。
五解 大毗婆沙論一百十一卷十頁云:四靜慮者,謂初靜慮,乃至第四靜慮。有說尋、喜、樂、捨相應靜慮,如次為四。此有二種,一修得,二生得。修得者,即彼地攝心一境性。若並助伴,即五蘊性。生得者,隨地所繫,餘五蘊為性。已說自性,當說所以。問:此四何緣,說為靜慮?答:靜謂寂靜,慮謂籌慮。此四地中,定慧平等,故稱靜慮。餘隨有闕,不得此名。此四廣如餘處分別。
六解 品類足論七卷三頁云:初靜慮云何?謂初靜慮所攝善五蘊。第二靜慮云何:謂第二靜慮所攝善五蘊。第三靜慮云何?謂第三靜慮所攝善五蘊。第四靜慮云何?謂第四靜慮所攝善五蘊。" - ↑ 운허, "欲界散地(욕계산지". 2013년 6월 8일에 확인
"欲界散地(욕계산지): 욕계를 말함. 색계(色界)ㆍ무색계(無色界)는 정지(定地)이지만, 욕계는 산심(散心)의 땅이란 뜻." - ↑ 佛門網, "散地". 2013년 6월 8일에 확인
"散地:
出處: A Dictionary of Chinese Buddhist Terms, William Edward Soothill and Lewis Hodous
解釋:
The stage of distraction, i.e. the world of desire.
出處: 陳義孝編, 竺摩法師鑑定, 《佛學常見辭彙》
解釋:
指具散亂心的眾生所住的地方,即欲界。
出處: 佛光電子大辭典
解釋: 為「定地」之對稱。即指欲界。與之相對者,色界與無色界並稱為定地。於欲界得入禪定者,乃依後天之努力,修色界、無色界之定心;然欲界之果報無有定心,故欲界中之六欲天、四大洲、地獄等皆稱為散地。〔止觀輔行傳弘決卷六〕
頁數: p4973" - ↑ 고려대장경연구소, "무상천 無想天". 2013년 2월 2일에 확인
"무상천 無想天:
ⓟ
ⓣ’du shes med pa’i lha
ⓢasaṃjñi-devānām
ⓔthe non-conception heaven
1]무상정(無想定)을 수행한 결과로써 나게 되는 곳. 설일체유부와 경량부에서는 무상천이 색계(色界)의 제4선(禪) 중 광과천(廣果天)의 일부라고 하지만, 상좌부에서는 광과천 위에 있다고 함.
[동]무상유정천(無想有情天), 소광천(少廣天), 복덕천(福德天), 무상계(無想界), 무상처(無想處).
[약]무상(無想)." - ↑ 운허, "無想天(무상천)". 2013년 1월 9일에 확인
"無想天(무상천): 색계 4선천(禪天)의 제4선천에 8천이 있는데, 그중 제3 광과천(廣果天) 가운데 있는 하늘을 말한다. 이 하늘에 태어나면 모든 생각이 없으므로 이같이 이름한 것임." - ↑ 星雲, "無想天". 2013년 1월 9일에 확인
"無想天: 無想,梵名 Asajjñisattvāh。又作無想有情天、無想眾生天、少廣天、福德天。色界天之一。即修無想定所感之異熟果報。生此天者,念想滅盡,僅存色身及不相應行蘊,故稱無想天。此天為外道婆羅門之最高涅槃處,亦為異生凡夫以「出離想」作意,修無想定,所感得的異熟之果報,稱為無想果,或無想異熟、無想事、無想報。此天之位置,有部與經部攝之於第四禪天之廣果天,不另立別處;上座部則於廣果天之上,別立無想天一處。此外,此天眾生之身長有五百由旬,壽命為五百大劫(立世阿毘曇論卷七謂一千大劫),壽終之時,再生念想,而墮欲界。〔起世經卷八、俱舍論卷五、瑜伽師地論卷四〕" - ↑ 星雲, "色界 10". 2013년 6월 8일에 확인
"色界: (一)梵語 rūpa-dhātu,巴利語同。色,變礙、示現之義。色界,意為色所屬之界。三界之一。又作色天、色行天。乃有淨妙之色質的器世界及其眾生之總稱,位於「欲界」上方,乃天人之住處。此界之眾生雖離淫欲,不著穢惡之色法,然尚為清淨微細之色法所繫縛,故為別於其下之欲界及其上之無色界,而稱色界。此界之天眾無男女之別,其衣係自然而至,而以光明為食物及語言。此界又依所入定之淺深次第而分四地(即四禪天、四靜慮處)。初禪諸天總稱為離生喜樂地,二禪諸天總稱為定生喜樂地,三禪諸天總稱為離喜妙樂地,四禪諸天總稱為捨念清淨地。 據俱舍論卷八載,初禪、二禪、三禪等三地各有三天,第四禪有八天,共十七天,即:(一)初禪三天:(1)梵眾天(梵 Brahma-pārisadya),(2)梵輔天(梵 Brahma-purohita),(3)大梵天(梵 Mahā-brahman)。(二)二禪三天:(1)少光天(梵 Parīttābha),(2)無量光天(梵 Apramānābhā),(3)極光淨天(梵 Ābhāsvara)。(三)三禪三天:(1)少淨天(梵 Parītta-śubha),(2)無量淨天(梵 Apramāna-śubha),(3)遍淨天(梵 Śubha-krtsna)。(四)四禪八天:(1)無雲天(梵 Anabhraka),(2)福生天(梵 Punya-prasava),(3)廣果天(梵 Brhat-phala),(4)無煩天(梵 Avrha),(5)無熱天(梵 Atapa),(6)善現天(梵 Sudrśa),(7)善見天(梵 Sudarśana),(8)色究竟天(梵 Akanistha)。 順正理論卷二十一釋其名義謂(大二九‧四五六中):「廣善所生,故名為梵。此梵即大,故名大梵。由彼獲得中間定故、最初生故、最後歿故、威德等勝故,名為大。大梵所有、所化、所領,故名梵眾。於大梵前,行列侍衛,故名梵輔。自地天內光明最小,故名少光。光明轉勝,量難測故,名無量光。淨光遍照自地處故,名極光淨。意地受樂,說名為淨,於自地中此淨最劣,故名少淨。此淨轉增,量難測故,名無量淨。此淨周普,故名遍淨。意顯更無樂能過此以下空中天所居地,如雲密合,故說名雲。此上諸天,更無雲地,在無雲首,故說無雲。更有異生勝福方所可往生故,說名福生。居在方所,異生果中,此最殊勝,故名廣果。離欲諸聖,以聖道水,濯煩惱垢,故名為淨,淨身所止,故名淨居;或住於此,窮生死邊,如還債盡,故名為淨,淨者所住,故名淨居;或此天中,無異生雜,純聖所止,故名淨居。繁謂繁雜,或謂繁廣,無繁雜中,此最初故,繁廣天中,此最劣故,說名無繁,或名無求,不求趣入無色界故。已善伏除雜脩靜慮上中品障,意樂調柔,離諸熱惱,故名無熱;或令下生煩惱名熱,此初離遠,得無熱名;或復熱者,熾盛為義,謂上品脩靜慮及果,此猶未證,故名無熱。已得上品雜修靜慮,果德易彰,故名善現。雜修定障,餘品至微,見極清澈,故名善見。更無有處於有色中能過於此,名色究竟;或此已到眾苦所依身最後邊,名色究竟;有言色者,是積集色,至彼後邊,名色究竟。此十七處,諸器世間,并諸有情,總名色界。」 然色界諸天之廢立,諸經論頗有異說。長阿含經卷二十舉出二十二天,即:梵身天、梵輔天、梵眾天、大梵天、光天、少光天、無量光天、光音天、淨天、少淨天、無量淨天、遍淨天、嚴飾天、小嚴飾天、無量嚴飾天、嚴飾果實天、無想天、無造天、無熱天、善見天、大善見天、阿迦尼吒天。起世經卷八、大般若經卷四○三等持相同說法。舊華嚴經卷十三、新華嚴經卷二十一、大般若經卷四○二、佛本行集經卷九等則刪除無想天,而僅列舉二十一天。大毘婆沙論卷一三六、立世阿毘曇論卷六、大乘阿毘達磨雜集論卷六等刪除梵身、光天、淨天、嚴飾等四天,而立十八天之說。金光明最勝王經卷三、順正理論卷二十一、彰所知論卷上等更除去無想天而立十七天之說;阿毘曇心論經卷五刪除大梵天,另加無想天,亦立十七天之說;中阿含卷九地動經復刪除無想天,而僅舉出十六天之名。 關於色界四禪天眾生之依處(所居之處)、身量、壽量,於長阿含經卷二十、大佛頂首楞嚴經卷九、立世阿毘曇論卷三、大毘婆沙論卷一三四、卷一三六、俱舍論卷十一、順正理論卷三十一等,皆詳加敘述,然所說略異。〔仁王般若波羅蜜經卷上、菩薩地持經卷二、大智度論卷十六、成實論卷十二、俱舍論卷五、卷二十八、仁王般若經疏卷一、法華經玄贊卷二、大乘義章卷八末〕(參閱「三界」584、「天」1330、「四禪」1843) (二)即十八界之色界。(參閱「色境」2549)p2545" - ↑ 佛門網, "三界 2". 2013년 6월 8일에 확인.
- ↑ 佛門網, "色界 11". 2013년 6월 8일에 확인
"色界:
sèjiè
出處: A Dictionary of Chinese Buddhist Terms, William Edward Soothill and Lewis Hodous
解釋:
rūpadhātu, or rūpāvacara, or rūpaloka, any material world, or world of form; it especially refers to the second of the Trailokya 三界, the brahmalokas above the devalokas, comprising sixteen or seventeen or eighteen 'Heavens of Form', divided into four dhyānas, in which life lasts from one-fourth of a mahākalpa to 16,000 mahākalpas, and the average stature is from one-half a yojana to 16,000 yojanas. The inhabitants are above the desire for sex or food. The rūpadhātu, with variants, are given as— 初禪天 The first dhyāna heavens: 梵衆天 Brahmapārisadya, 梵輔天 Brahmapurohita or Brahmakāyika, 大梵天 Mahābrahmā. 二禪天 The second dhyāna heavens: 少光天 Parīttābha, 無量光天 Apramānābha, 光音天 Ābhāsvara. 三禪天 The third dhyāna heavens: 少淨天 Parīttaśubha, 無量淨天 Apramānaśubha, 徧淨天 Śubhakrtsna. 四禪天 The fourth dhyāna heavens: 無雲天 Anabhraka, 福生天 Punyaprasava, 廣果天 Brhatphala, 無想天 Asañjñisattva, 無煩天 Avrha, 無熱天 Atapa, 善現天 Sudrśa, 善見天 Sudarśana, 色究竟天 Akanistha, 和音天 ? Aghanistha, 大自在天 Mahāmaheśvara.
出處: 陳義孝編, 竺摩法師鑑定, 《佛學常見辭彙》
解釋:
三界之一,在欲界之上,因此界的眾生,但有色相,而無男女諸欲,故名色界,色界的範圍包括初禪至四禪等一共十八層天。
出處: 漢譯阿含經辭典,莊春江編(1.4版)
解釋:
無男女欲或感官之欲,但還有物質之欲特性的眾生界,在欲界之上。
出處: 佛教漢梵大辭典, 平川彰 Buddhist Chinese-Sanskrit Dictionary, Akira Hirakawa
解釋:
rūpa-dhātu, rūpāvacara; rūpa, rūpa-ja, rūpa-bhava, rūpāpta, rūpāyatana, rūpin.
頁數: P.3107
出處: 朱芾煌《法相辭典》字庫
解釋:
色界===瑜伽五十六卷八頁云:問:何等是色界?答:若色根增上所生,若彼於此為增上;是名色界。如色界,乃至觸界,當知亦爾。
二解 瑜伽一百卷十四頁云:言色界者:謂四靜慮,並靜慮中間。有十七地。
三解 顯揚一卷十六頁云:二、色界。謂已離欲地雜眾煩惱諸蘊差別。
四解 俱舍論八卷一頁云:此欲界上,處有十七。謂三靜慮,處各有三。第四靜慮,處獨有八。器及有情,總名色界。第一靜慮處有三者:一、梵眾天,二、梵輔天,三、大梵天。第二靜慮處有三者:一、少光天,二、無量光天,三、極光淨天。第三靜慮處有三者:一、少淨天,二、無量淨天,三、遍淨天。第四靜慮處有八者:一、無雲天,二、福生天,三、廣果天,四、無煩天,五、無熱天,六、善現天,七、善見天,八、色究竟天。迦濕彌羅國諸大論師皆言:色界處但有十六。彼謂即於梵輔天處,有高臺閣,名大梵天。一生所居。非有別地。如尊處座,四眾圍繞。
五解 大毗婆沙論七十一卷十頁云:問:色界云何?答:諸色為眼已正當見,及彼同分;是名色界。已所見者:謂過去色。正所見者:謂現在色。當所見者:謂未來色。及彼同分者:謂有四種彼同分色。一者、過去彼同分色。謂色界,不為眼所見已滅。二者、現在彼同分色。謂色界,不為眼所見正滅。三者、未來彼同分色。謂色界,不為眼所見當滅。四者、未來畢竟不生色界。或有色界,於一有情,是同分;於二三四乃至百千諸有情等,亦是同分。謂此色界,是一有情眼所見;亦是二三四乃至百千諸有情等眼所見故。如百千人同觀初月。然此色界,於諸緣彼生眼識者,名同分。於不緣彼生眼識者,名彼同分。又如眾中,有一伎女,形容端正,眾具莊嚴;諸有緣之起眼識者,彼色界,名同分。諸有不緣起眼識者,即彼色界,名彼同分。又如法師,昇座說法,言辭清辯,形貌端嚴;諸有緣之起眼識者,彼色界,名同分。諸有不緣起眼識者,即彼色界,名彼同分。或有色界,於一有情,名彼同分;於二三四乃至百千諸有情等,亦名彼同分。謂彼色界,在隱映處。無量有情,不能見故。或有色界,一切有情眼所不見。即彼色界,於一切時,名彼同分。如妙高山中心之色,及大地中大海下色,一切有情,無有見者。問:彼色豈非天眼境界?答:彼色雖是天眼境界;而無用故,此不觀之。復次非一切時天眼現起;故有彼色,天眼不見。問:彼色豈非佛眼境界?答:彼色雖是佛眼境界;而無用故,佛不觀之。復次非一切時有佛出世;如今無佛,既無佛眼;故有彼色,非佛眼見。問:何故見色眼,於自有情,名同分;於餘有情,亦名同分。而所見色,於見者,名同分;於不見者,名彼同分耶?答:容一色界,多有情見。無一眼界,二有情用故。謂有色界,一有情見;容二三四,乃至百千有情亦見。是共見故;諸有見者,此色界於彼,名同分。諸不見者,此色界於彼,名彼同分。無一眼界二有情用;況多有情。是不共故;諸用此眼,能見色者,此眼與彼,名同分。諸餘有情,眼若見色,若不見色,此眼與彼,亦名有作用。眼既是不共;於一切時,相恆定故。如色界,聲香味觸界,亦爾。同分彼同分品類差別,皆相似故。
六解 此是十八界中之色界。法蘊足論九卷十七頁云:云何色界?謂如色處。
七解 法蘊足論九卷二十三頁云:云何色界?謂有諸法,色貪隨增;是名色界。復次色界繫十四界,十處,五蘊,是名色界。復次下從梵眾天,上至色究竟天,於中所有色受想行識,是名色界。又云:云何色界?謂欲色界,總名色界。又云:諸有色法,總名色界。
八解 此十八界中之色界。品類足論二卷十三頁云:色界云何?謂色,為眼已正當見,及彼同分。
九解 品類足論六卷十六頁云:色界云何?謂色貪隨增法。
十解 品類足論六卷十六頁云:色界云何?謂欲界色界,總名色界。
十一解 品類足論六卷十六頁云:一切色法,總名色界。
出處: 明,一如《三藏法數》字庫
解釋:
色即色質,謂雖離欲界穢惡之色,而有清淨之色,始從初禪梵天,終至阿迦膩吒天,凡有一十八天,並無女形,亦無欲染,皆是化生,尚有色質,故名色界。(梵語阿迦膩吒,華言質礙究竟。一十八天者,梵眾天、梵輔天、大梵天、少光天、無量光天、光音天、少淨天、無量淨天、遍淨天、無雲天、福生天、廣果天、無想天、無煩天、無熱天、善見天、善現天、色究竟天也。)
出處: 明,一如《三藏法數》字庫
解釋:
謂眼所見一切色境,名為色界。
出處: 漢英-英漢-英英佛學辭典字庫
解釋:
Realm of Form 色界 【參照: Three Realms】" - ↑ 사나굴다 한역 & T.24, 제8권. p. T01n0024_p0348b07 - T01n0024_p0348b20. 3계의 중생 1
"諸比丘。於三界中。有三十八種眾生種類。何等名為三十八種。諸比丘。欲界中有十二種。色界中有二十二種。無色界中復有四種。諸比丘。何者欲界十二種類。謂地獄。畜生。餓鬼。人。阿修羅。四天王天。三十三天。夜摩天。兜率陀天。化樂天。他化自在天。魔身天等。此名十二。何者色界二十二種。謂梵身天。梵輔天。梵眾天。大梵天。光天。少光天。無量光天。光音天。淨天。少淨天。無量淨天。遍淨天。廣天。少廣天。無量廣天。廣果天。無想天。無煩天。無惱天。善見天。善現天。阿迦膩吒天等。此等名為二十二種。無色界中。有四種者。謂空無邊天。識無邊天。無所有天。非想非非想天。此名四種。" - ↑ 사나굴다 한역, 번역자 미상 & K.660, T.24, 제8권. pp. 153-154 / 222. 3계의 중생 2
"비구들아, 삼계 가운데 서른여덟 가지 중생 종류가 있는데, 무엇이 서른여덟 가지인가. 비구들아, 욕계(欲界)에 열두 가지가 있고, 색계(色界)에 스물두 가지가 있고, 무색계(無色界)에 또 네 가지가 있다.
비구들아, 어느 것이 욕계의 열두 종류인가 하면, 이른바 지옥·축생·아귀·인간·아수라·사천왕천·삼십삼천·야마천·도솔타천·화락천·타화자재천과 마신천이니, 이것이 열두 가지이다.
어 느 것이 색계의 스물 두 가지인가 하면, 이른바 범신천(梵身天)·범보천(梵輔天)·범중천(梵衆天)·대범천(大梵天)·광천(光天)·소광천(少光天)·무량광천(無量光天)·광음천(光音天)· 정천(淨天)·소정천(少淨天)·무량정천(無量淨天)·변정천(遍淨天)·광천(廣天)·소광천(少廣天)·무량광천(無量廣天)·광과천(廣果天)· 무상천(無想天)·무번천(無煩天)·무뇌천(無惱天)·선견천(善見天)·선현천(善現天)과 아가니타천(阿迦膩天) 등이니, 이것이 스물 두 가지이다.
무색계에는 네 가지가 있는데, 이른바 공무변천(空無邊天)·식무변천(識無邊天)·무소유천(無所有天)과 비상비비상천(非想非非想天)이니, 이것이 네 가지이다." - ↑ 운허, "起世經(기세경)". 2013년 6월 9일에 확인
"起世經(기세경):
K-660, T-24. 수(隋)나라 때 사나굴다(闍那崛多, Jñānagupta)가 585년에서 600년 사이에 번역하였다. 부처님께서 사바제성(舍婆提城) 가리라(迦利羅) 석실(石室)에 계실 적에 여러 비구에게 세계와 국토의 조직ㆍ기원ㆍ성립ㆍ파괴 등의 까닭과 그 과정을 말한 것이다. 섬부주품(贍部洲品)ㆍ울단월주품(鬱單越州品)ㆍ전륜성왕품(轉輪聖王品)ㆍ지옥품(地獄品)ㆍ제용금시조품(諸龍金翅鳥品)ㆍ아수라품(阿修羅品)ㆍ 4천왕품(天王品)ㆍ33천품(天品)ㆍ전투품(戰鬪品)ㆍ겁주품(劫住品)ㆍ세주품(世住品)ㆍ최승품(最勝品) 등 12품으로 되어 있다. 그 내용은 『대루탄경(大樓炭經)』과 거의 유사하다. 이역본으로 『기세인본경(起世因本經)』ㆍ『대루탄경』과 『장아함경』의 제4분에 있는 「세기경(世記經)」이 있다. ⇒『대루탄경(大樓炭經)』" - ↑ 가 나 현장 한역 & T.220, 403권. p. T07n0220_p0013a17 - T07n0220_p0013b09. 3계의 구조
"佛言:「舍利子!諸菩薩摩訶薩從初發心,修行六種波羅蜜多,住空、無相、無願之法,乃至坐于妙菩提座,常與一切聲聞、獨覺作真福田。何以故?以依菩薩摩訶薩故,一切善法出現世間,所謂一切十善業道、五近事戒、八近住戒、四靜慮、四無量、四無色定、四聖諦智、四念住、四正斷、四神足、五根、五力、七等覺支、八聖道支、六波羅蜜多、十八空等,及佛十力、四無所畏、四無礙解、大慈、大悲、大喜、大捨、十八佛不共法、一切智、道相智、一切相智,諸如是等無量無數無邊善法出現世間。 「由此菩薩諸善法故,世間便有剎帝利大族、婆羅門大族、長者大族、居士大族、四大王眾天、三十三天、夜摩天、睹史多天、樂變化天、他化自在天、梵眾天、梵輔天、梵會天、大梵天、光天、少光天、無量光天、極光淨天、淨天、少淨天、無量淨天、遍淨天、廣天、少廣天、無量廣天、廣果天、無想有情天、無繁天、無熱天、善現天、善見天、色究竟天、空無邊處天、識無邊處天、無所有處天、非想非非想處天。 「復由菩薩諸善法故,便有預流、一來、不還、阿羅漢、獨覺、菩薩摩訶薩及諸如來、應、正等覺出現世間。」" - ↑ 운허, "大般若波羅蜜多經(대반야바라밀다경". 2013년 6월 9일에 확인
"大般若波羅蜜多經(대반야바라밀다경): 【범】 Mahāprajñāpāramitāsūtra. 600권. K-1, T-220. 당(唐)나라 때 현장(玄奘)이 방주(方州)의 옥화궁사(玉華宮寺)에서 660년 또는 659년에 번역을 시작하여 663년에 완성하였다. 이보다 앞서 구마라집 등이 부분적으로 번역한 것은 많이 있었으나 현장이 전부 다 번역하여 끝마쳤다. 줄여서 『대반야경(大般若經)』이라고 하며, 별칭으로 『대품경(大品經)』ㆍ『대품반야(大品般若)』ㆍ『대품반야경(大品般若經)』ㆍ6백부 반야(般若)라고도 한다. 6백 권 390품 4백 6십여 만 자로 이루어진 이 경전은 화엄ㆍ법화ㆍ열반 등 대승의 5대 경전 중에서도 가장 방대한 양을 담고 있다. 『대반야바라밀다경』은 반야부의 여러 경전들을 집대성한 것으로, 현장 당시까지 번역된 경전과 현장이 새로 번역한 경전을 총체적으로 수록하고 있다. 그 성립 순서를 보면 8천송 반야경 즉 『소품반야경』이 제일 먼저 성립되었고, 그 다음으로 『대품반야경』이 성립되었는데 『금강반야경』도 비슷한 시기에 성립되었다. 그 다음에 『대반야바라밀다경』이 성립되었는데, 이것은 대승경전 성립의 중기에 집대성된 것으로 보인다. 반야바라밀다란 지혜로써 저 언덕에 이른다는 뜻으로, 온갖 부처님 법을 총괄하고 있다. 여섯 가지 바라밀다의 하나이며, 삼세 부처님의 어머니이고 수많은 공덕의 근원이 된다. 대승불교의 근본경전으로 추앙되는 이 경은 모든 법이 다 공(空)하여 얻을 수 없는 실상을 바르게 관찰할 것을 강조한다. 그 구성을 보면, 이 경은 네 곳에서 열 여섯 번의 모임, 즉 4처(處) 16회(會)로 되어 있다. 열 여섯 번의 모임 가운데 제1회에서 제6회까지와 제15회는 왕사성의 영취산에서, 제7회에서 제9회까지와 제11회에서 제14회까지는 사위성의 기원정사에서, 제10회는 타화자재천 왕궁에서, 제16회는 왕사성의 죽림정사에서 이루어졌다. 제1회는 10만송이며, 범어로는 Śatasāhasrikāprajñāpāramitāsūtra(제1권-제400권)이다. 이는 전체의 3분의 2에 달하는 분량으로 품수는 79품이다. 여기서는 모든 존재가 공(空)하다고 설함으로써 중생들이 차별적인 견해에 집착하지 않도록 한다. 제1회는 현장에 의해 처음으로 번역되었으므로 이역본이 없다. 제2회는 2만5천송(大品般若)이며, 범어로는 Pañcaviśatisāhasrikāprajñāpāramitāsūtra(제 401권-제478권)이다. 85품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제1회와 비교하여 「상제보살품(常啼菩薩品)」과 「법용보살품(法涌菩薩品)」의 두 품이 없다. 이역본으로 『방광반야바라밀경(放光般若波羅蜜經)』ㆍ『마하반야바라밀경(摩訶般若波羅蜜經)』ㆍ『광찬경(光讚經)』 등이 있다. 제3회는 1만8천송이며, 범어로는 Aādaśasāhasrikāprajñāpāramitāsūtra(제 479권-제537권)이다. 31품으로 되어 있으며, 제2회와 마찬가지로 「상제보살품」과 「법용보살품」이 없다. 제4회와 제5회는 8천송[小品般若]이다. 제4회는 범어로 Aasāhasrikāprajñāpāramitāsūtra(제538권-제555권)이며, 29품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5회는 범어로 Aasāhasrikāprajñāpāramitāsūtra(제 556권-제565권)이며, 24품으로 되어 있다. 반야경은 큰 위력이 있어서 그 자체가 신비한 주문이라고 하면서 그대로 믿고 외울 것을 강조하였다. 이역본으로 『마하반야초경(摩訶般若鈔經)』ㆍ『도행반야경(道行般若經)』ㆍ『대명도경(大明度經)』ㆍ『마하반야바라밀경(小品般若)』ㆍ『불모출생삼장반야바 라밀다경』(시호 역)ㆍ『불모보덕반야바라밀다경』(법현 역)ㆍ『성팔천송반야바라밀다일백팔명진실원의다라니경』(시호 역)이 있다. 제6회는 범어로 Devarājapravaraprajñāpāramitāsūtra(제566권-제573권)이며, 17품으로 되어 있다. 보살이 불도를 수행함에 있어 삼매가 매우 중요하다고 설한다. 이역본으로 『승천왕반야바라밀경(勝天王般若波羅蜜經)』이 있다. 제7회는 7백송이며, 범어로는 Saptaśatikāprajñāpāramitāsūtra(제574-제575권)이다. 만수실리분(曼殊室利分)이라고도 하는데, 만수실리는 문수사리를 말한다. 여래는 깨달은 마음 즉 진여이며, 이 진여는 본래 차별이 없는 공이므로 그 모양을 그릴 수도, 말로 표현할 수도 없는 것이지만 명상을 통해 이를 수 있다고 하여 삼매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역본으로 『문수사리소설마하반야바라밀경(文殊師利所說摩訶般若波羅蜜經)』ㆍ『문수사리소설반야바라밀경(文殊師利所說般若波羅蜜經)』이 있다. 제8회는 5백송이며, 범어로는 Nāgaśrīparipcchāsūtra(제 576권)이다. 나가실리분(那伽室利分)이라고 하며, 문수보살과 나가실리보살의 대화를 통해 반야사상을 드러내고 있다. 이역본으로 『불설유수보살무상청정분위경(佛說濡首菩薩無上淸淨分衛經)』이 있다. 제9회는 범어로 Vajracchedikāprajñāpāramitāsūtra(제577권)이며, 능단금강분(能斷金剛分)이라 한다. 분량은 적지만 반야부 경전 가운데 가장 널리 읽혔으며, 불교사상 발전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이역본으로 구마라집ㆍ보리유지ㆍ진제가 각각 번역한 『금강반야바라밀경』과 현장이 번역한 『능단금강반야바라밀다경』, 그리고 의정(義淨)이 번역한 『불설능단금강반야바라밀다경』이 있다. 제10회는 1백50송이며, 범어로는 Adhyardhaśatikāprajñāpāramitāsūtra(제578권)이고 반야이취분(般若理趣分)이라 한다. 부처님이 금강수보살에게 반야의 이치를 말씀하는 중에 신비한 주문을 설하면서, 이 주문은 모든 부처님의 어머니라고 하셨다. 여기서는 반야부 경전이면서도 밀교적인 요소가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역본으로 『실상반야바라밀경』ㆍ『금강정유가이취반야경』ㆍ『변조반야바라밀경』ㆍ『최상근본금강불공삼매대교왕경』이 있다. 제11회부터 제15회까지는 1천8백송이며, 범어로는 Pañcapāramitānirdeśa이다. 제16회는 2천1백송이며, 범어로는 Suvikrāntavikramiparipcchāprajñāpāramitāsūtra이다. 이 여섯 모임에서는 차례로 6바라밀을 설하는데, 특히 보시바라밀과 지계바라밀 그리고 반야바라밀에 대해 자세히 언급되어 있다. 그 의미는 궁극적으로 공에 입각하여 육바라밀을 실천해야 한다는 것이며, 그렇게 했을 때 비로소 하나하나의 바라밀이 모두 깨달음으로 회향된다고 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1회는 보시바라밀다분(제579권-제583권)이고, 제12회는 정계바라밀다분(제584권-제588권)이며, 제13회는 안인바라밀다분(제589권)이고, 제14회는 정진바라밀다분(제590권)이며, 제15회는 정려바라밀다분(제591권-제592권)이고, 제16회는 반야바라밀다분(제593권-제600권)이다. 앞에서 살펴본 것처럼, 제1회는 전체 6백 권 가운데 4백 권이나 되는 반면에 제8회나 제9회 등은 1권으로 되어 있어 내용과 형식에서 모임별로 차이가 많다. 이 대반야경 안에는 여러 가지 번역본들이, 현장이 이 경을 번역하기 약 4백년 전부터 번역되기 시작하여 별행되고 있었는데, 제1회와 제11회부터 16회까지는 현장 이전에는 그와 유사한 내용의 이본이 전역(傳譯)된 일이 없는 새로운 것이다. 이 경전은 다른 반야부 경전과 같이 공(空)사상을 천명하고 있으며, 여섯 가지 바라밀 가운데 특히 반야바라밀을 강조한다. 공(空)을 자각하여 널리 중생을 제도하겠다는 서원을 세운 보살의 이념을 가장 분명하게 제시하고 있는 경전이 반야경이며, 그러한 보살의 실천덕목이 6바라밀이다. 공(空)에 대한 인식과 공에 입각한 실천을 반야바라밀이라 하는데, 모든 반야부 경전은 공의 체득과 실천을 그 주된 사상으로 하고 있다. 이 경전은 방대한 내용이어서 같은 반야계 경전인 대품반야경이나 소품반야경 또는 금강반야경과 이 경을 요약한 반야심경 등에 비해서 많이 연구되지는 않았다. 그러나 『대자은사삼장법사전(大慈恩寺三藏法師傳)』 제10회에서 말했듯이, 이 경은 진국(鎭國)의 전(典), 인천(人天)의 대보(大寶)로 여겨 천재ㆍ병란ㆍ질병ㆍ기근 등 어려운 일이 있을 때에는 이 경을 고승들에게 독송시키거나 강설하게 하고, 서사 유포시키고 받들어 공양함으로써 그러한 어려움을 없앨 수 있다고 믿어 종파에 관계없이 전독(轉讀)하는 자, 사유하는 자, 말씀대로 행하는 자는 모두 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