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송생명과학단지
오송생명과학단지(五松生命科學團地)는 대한민국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에 2010년 조성된 생명과학단지이다. 국내 최초로 기업체와 대학, 연구소, 국책기관이 연계되어 인력양성 및 연구개발, 인·허가, 제조, 판매에 이르기까지 모든 과정을 지원하도록 집적되었으며, 바이오 산업 전문 단지로서 대한민국 정부가 보건의료 및 생명과학기술 분야를 국가전략사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추진한 것이다.
2009년 8월 대구 신서 혁신도시와 함께 첨단의료복합단지로 지정됨에 따라, 향후 30년간 총 5조 6,000억원이라는 천문학적인 정부 예산이 투입되어 세계적인 보건의료산업지역으로 자리매김할 예정이다.[1] 첨단의료복합단지 지정에 따라 신약 개발지원센터 및 의료기기 개발센터, 임상시험센터 등 의료사업에 필수적인 기간시설들이 갖춰지게 되며 혁신신약과 첨단의료기기 개발등이 중점 육성될 예정이다.[2][3]
오송생명과학단지는 바이오 의약품 연구개발, 오송화장품산업단지는 융합 바이오 소재 조제, 오송바이오산업단지는 바이오 의약품 소부장 제조를 담당한다.
역사
[편집]전체적인 생명과학단지 조성 사업은 1997년에 시작하여 2010년에 완성되었다.[4] 식품의약품안전청(現 식품의약품안전처)과 질병관리본부(現 질병관리청)를 비롯한 6개 국책기관의 이전 공사는 2007년 착공되어 조성 사업이 끝나는 2010년 완료되었다. 기업의 연구개발과 산업화를 지원할 국립인체자원중앙은행, 전임상·임상시설 등 연구지원시설을 유치 또는 건립되었다. 그리고 KTX 경부고속선 오송역이 건설되었다. 호남고속선 분리역 지정과 오송제2단지 건립도 추진된다.[5] 또한 단지에는 4,574세대 약 14,200명이 주거할 아파트와 단독주택이 건설 중이며, 이후 초·중·고등학교와 공공시설까지 들어서 주거형 첨단 복합단지로 자리매김 하게 된다.[6]
첨단의료복합단지 지정과 함께 대한민국 정부는 이 지역을 조속한 시일 내 지정·고시한 뒤 연내 단지별 세부 조성계획 및 재원조달 방안 등을 마련, 2012년까지 단지가 완공되도록 할 계획이다. 오송 첨단의료복합단지 유치위원회는 기본설계를 거쳐 내년이면 첨복단지 주요 시설의 건축공사가 착공될 수 있어 머지않아 대한민국 보건의료산업의 수준을 세계적인 수준으로 끌어 올리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기대를 모으고 있으며,[7] 충청북도는 오송 단지에 첨단의료복합단지를 유치하게 돼 앞으로 제약 회사나 바이오 업체들의 자발적인 투자가 예상된다고 밝혔다.[8] 이 단지 내에 공장을 둔 많은 제약 회사 관계자들은 2010년에 오송보건의료행정타운에 입주한 식품의약품안전청을 비롯한 국책기관과 대학 및 연구기관 등과의 시너지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9] 첨단의료복합단지가 조성 사업 완료시 의료산업과 여타산업의 파급효과가 매우 클 것이고, 많은 인원의 고용창출이 전망되고 있다.[10]
제1생명과학단지
[편집]국책 기관
[편집]6대 국책기관은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오송생명2로 187 오송보건의료행정타운 내에 위치한다.
입주기관 | 관할 기관 | 기관 형태 | 이전 사유 | 구 청사 |
---|---|---|---|---|
식품의약품안전처 | 보건복지부 | 보건복지부 산하 외청 | 오송생명과학산업단지 | 서울특별시 은평구 녹번동 5(통일로 684) |
국립보건연구원 |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소속 기관 | |||
질병관리본부 | 보건복지부 소속 기관 | 혁신도시 |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보건복지부 산하 위탁집행형 준정부기관 | 서울특별시 동작구 노량진2동 311-27(장승배기로 99) | ||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 | 보건복지부 산하 위탁집행형 준정부기관 | 서울특별시 은평구 녹번동 5(통일로 684) | ||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 식품의약품안전처 | 식품의약품안전처 소속 기관 |
입지 여건과 교통 시설
[편집]오송생명과학단지를 지원하기 위해 2011년 12월 30일 보건복지부 소속기관으로 오송생명과학단지지원센터가 설립되었다.
제2생명과학단지
[편집]제3생명과학단지
[편집]흥덕구 오송읍 일원에 조성되며, 단일 면적은 4,139,753 m2 (44,559,930 ft2)로, 단일 면적 기준 충북에서 오창 국가산업단지에 이은 두 번째 규모의 국가산단에 해당한다.[12] 원래 6,769,091 m2 (72,861,889 ft2) 규모로 추진이 시작되어 2020년 9월, 기획재정부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하였다. 하지만 이어진 예타에서 사업비 등의 이유로 면적이 축소되었다.[13]
바이오 의약품 소재 부품 실증지원 테스트 베드 구축 사업이 산업통상자원부 소재 부품 산업기술개발기반 구축 사업에 최종 선정되었다. 충북도는 2028년까지 국비 200억 원 등 431억 8천만 원을 투입하여 소재·부품 성능 비교 시험 실증지원센터, 인공지능 기반 세포 배양 배지 개발 플랫폼, 소재·부품 성능 비교 시험 장비 등을 구축할 계획이다.[14]
외부 링크
[편집]각주
[편집]- ↑ 충북도 사진공동취재단 (2009년 8월 10일). “첨복단지 들어설 충북 오송”. 연합뉴스 보도자료.
- ↑ 강성일 (2009년 8월 10일). “충북 오송 첨단의료복합단지 '선정'”. 충청일보.[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첨단의료복합단지, 사업 배경·기대 효과는?”. 2009년 8월 10일.
- ↑ “청주 오송생명과학단지서 도로 확장 등 재생사업 추진”. 《연합뉴스》. 2024년 8월 8일.
- ↑ 박재천 (2009년 8월 10일). “충북 오송 '의료산업 메카'로 뜬다”. 연합뉴스.
- ↑ “사업개요”. 2009년 8월 13일에 확인함.[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유광준 (2009년 8월 12일). “첨복단지 오송, 이제 시작이다”. 충청일보.[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전영신 (2009년 8월 11일). “충북도 오송 첨복단지 연관업체 유치에 나서”. 불교방송. 2016년 3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5월 3일에 확인함.
- ↑ 박형수 (2009년 8월 11일). “대구서 오창까지…첨단의료단지 수혜 '함박웃음'”. 아시아경제.
- ↑ 신진호 (2009년 8월 10일). “첨단의료복합단지 후보지 충북 오송·대구 신서 확정”. 세계일보.
- ↑ “오송 첨복 공식 홈페이지”. 2015년 8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8월 20일에 확인함.
- ↑ “오송 제3 생명과학단지 조성 본격화…“2025년 착공””. 《KBS 뉴스》. 2022년 1월 7일.
- ↑ “오송·충주 국가산단 면적 줄이고 기간 연장…"사업성 강화"”. 《연합뉴스》. 2020년 7월 15일.
- ↑ “충북에 국내 유일 바이오 의약품 소재·부품·장비 실증센터”. 《한겨레》. 2024년 11월 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