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제19대 대통령 선거 대구광역시
![]() | |||||||||||||||||||||||||||||||||||||||||
대한민국 제19대 대통령 선거 대구광역시 | |||||||||||||||||||||||||||||||||||||||||
| |||||||||||||||||||||||||||||||||||||||||
| |||||||||||||||||||||||||||||||||||||||||
|
이 문서는 대한민국 제19대 대통령 선거의 대구광역시 지역 개표 결과이다.
개표 결과
[편집]중구
[편집]후보 | 정당 | 득표 | 득표율 | 당락 | 비고 | |||
---|---|---|---|---|---|---|---|---|
홍준표 | 자유한국당 | 24,698표 |
| |||||
문재인 | 더불어민주당 | 11,477표 |
| |||||
안철수 | 국민의당 | 7,170표 |
| |||||
유승민 | 바른정당 | 5,931표 |
| |||||
심상정 | 정의당 | 2,369표 |
| |||||
조원진 | 새누리당 | 157표 |
| |||||
윤홍식 | 홍익당 | 42표 |
| |||||
김민찬 | 무소속 | 37표 |
| |||||
장성민 | 국민대통합당 | 22표 |
| |||||
김선동 | 민중연합당 | 21표 |
| |||||
이경희 | 한국국민당 | 10표 |
| |||||
이재오 | 늘푸른한국당 | 9표 |
| |||||
오영국 | 경제애국당 | 5표 |
| |||||
합계 | 51,948표 |
동구
[편집]후보 | 정당 | 득표 | 득표율 | 당락 | 비고 | |||
---|---|---|---|---|---|---|---|---|
홍준표 | 자유한국당 | 100,166표 |
| |||||
문재인 | 더불어민주당 | 47,350표 |
| |||||
유승민 | 바른정당 | 35,819표 |
| |||||
안철수 | 국민의당 | 31,351표 |
| |||||
심상정 | 정의당 | 9,509표 |
| |||||
조원진 | 새누리당 | 609표 |
| |||||
김민찬 | 무소속 | 185표 |
| |||||
윤홍식 | 홍익당 | 157표 |
| |||||
김선동 | 민중연합당 | 132표 |
| |||||
장성민 | 국민대통합당 | 84표 |
| |||||
이경희 | 한국국민당 | 61표 |
| |||||
이재오 | 늘푸른한국당 | 41표 |
| |||||
오영국 | 경제애국당 | 40표 |
| |||||
합계 | 225,504표 |
서구
[편집]후보 | 정당 | 득표 | 득표율 | 당락 | 비고 | |||
---|---|---|---|---|---|---|---|---|
홍준표 | 자유한국당 | 68,782표 |
| |||||
문재인 | 더불어민주당 | 22,004표 |
| |||||
안철수 | 국민의당 | 17,808표 |
| |||||
유승민 | 바른정당 | 12,259표 |
| |||||
심상정 | 정의당 | 5,373표 |
| |||||
조원진 | 새누리당 | 266표 |
| |||||
김민찬 | 무소속 | 164표 |
| |||||
윤홍식 | 홍익당 | 111표 |
| |||||
김선동 | 민중연합당 | 78표 |
| |||||
장성민 | 국민대통합당 | 69표 |
| |||||
이경희 | 한국국민당 | 44표 |
| |||||
이재오 | 늘푸른한국당 | 27표 |
| |||||
오영국 | 경제애국당 | 25표 |
| |||||
합계 | 127,010표 |
남구
[편집]후보 | 정당 | 득표 | 득표율 | 당락 | 비고 | |||
---|---|---|---|---|---|---|---|---|
홍준표 | 자유한국당 | 50,304표 |
| |||||
문재인 | 더불어민주당 | 19,862표 |
| |||||
안철수 | 국민의당 | 13,978표 |
| |||||
유승민 | 바른정당 | 10,365표 |
| |||||
심상정 | 정의당 | 4,486표 |
| |||||
조원진 | 새누리당 | 284표 |
| |||||
김민찬 | 무소속 | 88표 |
| |||||
윤홍식 | 홍익당 | 78표 |
| |||||
김선동 | 민중연합당 | 43표 |
| |||||
장성민 | 국민대통합당 | 36표 |
| |||||
이경희 | 한국국민당 | 26표 |
| |||||
이재오 | 늘푸른한국당 | 22표 |
| |||||
오영국 | 경제애국당 | 15표 |
| |||||
합계 | 99,587표 |
북구
[편집]후보 | 정당 | 득표 | 득표율 | 당락 | 비고 | |||
---|---|---|---|---|---|---|---|---|
홍준표 | 자유한국당 | 121,368표 |
| |||||
문재인 | 더불어민주당 | 62,526표 |
| |||||
안철수 | 국민의당 | 42,369표 |
| |||||
유승민 | 바른정당 | 33,915표 |
| |||||
심상정 | 정의당 | 13,833표 |
| |||||
조원진 | 새누리당 | 626표 |
| |||||
김민찬 | 무소속 | 293표 |
| |||||
윤홍식 | 홍익당 | 165표 |
| |||||
김선동 | 민중연합당 | 128표 |
| |||||
장성민 | 국민대통합당 | 85표 |
| |||||
이경희 | 한국국민당 | 81표 |
| |||||
이재오 | 늘푸른한국당 | 55표 |
| |||||
오영국 | 경제애국당 | 48표 |
| |||||
합계 | 275,492표 |
수성구
[편집]후보 | 정당 | 득표 | 득표율 | 당락 | 비고 | |||
---|---|---|---|---|---|---|---|---|
홍준표 | 자유한국당 | 123,074표 |
| |||||
문재인 | 더불어민주당 | 64,922표 |
| |||||
안철수 | 국민의당 | 43,698표 |
| |||||
유승민 | 바른정당 | 38,613표 |
| |||||
심상정 | 정의당 | 12,778표 |
| |||||
조원진 | 새누리당 | 718표 |
| |||||
김민찬 | 무소속 | 194표 |
| |||||
김선동 | 민중연합당 | 127표 |
| |||||
윤홍식 | 홍익당 | 121표 |
| |||||
장성민 | 국민대통합당 | 81표 |
| |||||
이재오 | 늘푸른한국당 | 58표 |
| |||||
이경희 | 한국국민당 | 43표 |
| |||||
오영국 | 경제애국당 | 30표 |
| |||||
합계 | 284,457표 |
달서구
[편집]후보 | 정당 | 득표 | 득표율 | 당락 | 비고 | |||
---|---|---|---|---|---|---|---|---|
홍준표 | 자유한국당 | 165,781표 |
| |||||
문재인 | 더불어민주당 | 82,726표 |
| |||||
안철수 | 국민의당 | 57,956표 |
| |||||
유승민 | 바른정당 | 45,593표 |
| |||||
심상정 | 정의당 | 18,805표 |
| |||||
조원진 | 새누리당 | 1,155표 |
| |||||
김민찬 | 무소속 | 346표 |
| |||||
김선동 | 민중연합당 | 195표 |
| |||||
윤홍식 | 홍익당 | 194표 |
| |||||
장성민 | 국민대통합당 | 138표 |
| |||||
이경희 | 한국국민당 | 90표 |
| |||||
이재오 | 늘푸른한국당 | 72표 |
| |||||
오영국 | 경제애국당 | 62표 |
| |||||
합계 | 373,113표 |
달성군
[편집]후보 | 정당 | 득표 | 득표율 | 당락 | 비고 | |||
---|---|---|---|---|---|---|---|---|
홍준표 | 자유한국당 | 60,032표 |
| |||||
문재인 | 더불어민주당 | 31,753표 |
| |||||
안철수 | 국민의당 | 21,427표 |
| |||||
유승민 | 바른정당 | 15,964표 |
| |||||
심상정 | 정의당 | 7,287표 |
| |||||
조원진 | 새누리당 | 242표 |
| |||||
김민찬 | 무소속 | 194표 |
| |||||
윤홍식 | 홍익당 | 118표 |
| |||||
김선동 | 민중연합당 | 80표 |
| |||||
장성민 | 국민대통합당 | 48표 |
| |||||
이경희 | 한국국민당 | 46표 |
| |||||
이재오 | 늘푸른한국당 | 40표 |
| |||||
오영국 | 경제애국당 | 34표 |
| |||||
합계 | 137,265표 |
전체 결과
[편집]후보 | 정당 | 득표 | 득표율 | 당락 | 비고 | |||
---|---|---|---|---|---|---|---|---|
홍준표 | 자유한국당 | 714,205표 |
| |||||
문재인 | 더불어민주당 | 342,620표 |
| |||||
안철수 | 국민의당 | 235,757표 |
| |||||
유승민 | 바른정당 | 198,459표 |
| |||||
심상정 | 정의당 | 74,440표 |
| |||||
조원진 | 새누리당 | 4,057표 |
| |||||
김민찬 | 무소속 | 1,501표 |
| |||||
윤홍식 | 홍익당 | 986표 |
| |||||
김선동 | 민중연합당 | 804표 |
| |||||
장성민 | 국민대통합당 | 563표 |
| |||||
이경희 | 한국국민당 | 401표 |
| |||||
이재오 | 늘푸른한국당 | 324표 |
| |||||
오영국 | 경제애국당 | 259표 |
| |||||
합계 | 1,574,376표 |
자유한국당 홍준표 후보가 45.36%의 득표율을 기록하면서 대구광역시에서 승리를 거두었다. 다만 그동안 대구광역시가 보수정당에게 높은 지지도를 보여주었던 지역이었던 것을 보았을 때 이번 선거에서 홍준표 후보는 과반 이하의 득표율을 기록하면서 부진하였다. 이와 함께 민주화 이후 처음으로 대구광역시에서 과반 미만의 득표율을 기록한 보수정당 후보가 되었다.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는 21.76%의 득표율을 기록하면서 2위를 차지했다. 문재인 후보는 지난 대선에 비해 약간 오른 득표율을 기록하였으며 득표율 20%를 돌파했다.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는 14.97%의 득표율로 3위를 차지했다. 안철수 후보는 15% 미만의 득표율을 기록하면서 상대적으로 부진하였다.
바른정당 유승민 후보는 12.60%의 득표율을 기록하면서 4위를 차지했다. 유승민 후보는 전국에서 유일하게 대구광역시에서 두 자릿수 득표율을 기록하였다.
정의당 심상정 후보는 4.72%의 득표율로 5위를 차지했다.
주요 후보 결과
[편집]지역 | 문재인 | 홍준표 | 안철수 | 유승민 | 심상정 |
---|---|---|---|---|---|
중구 | 11,477 (22.09%) | 24,698 (47.54%) | 7,170 (13.80%) | 5,931 (11.41%) | 2,369 (4.56%) |
동구 | 47,350 (20.99%) | 100,166 (44.41%) | 31,351 (13.90%) | 35,819 (15.88%) | 9,509 (4.21%) |
서구 | 22,004 (17.32%) | 68,782 (54.15%) | 17,808 (14.02%) | 12,259 (9.65%) | 5,373 (4.23%) |
남구 | 19,862 (19.94%) | 50,304 (50.51%) | 13,978 (14.03%) | 10,365 (10.40%) | 4,486 (4.50%) |
북구 | 62,526 (22.69%) | 121,368 (44.05%) | 42,369 (15.37%) | 33,915 (12.31%) | 13,833 (5.02%) |
수성구 | 64,922 (22.82%) | 123,074 (43.26%) | 43,698 (15.36%) | 38,613 (13.57%) | 12,778 (4.49%) |
달서구 | 82,726 (22.17%) | 165,781 (44.43%) | 57,956 (15.53%) | 45,593 (12.21%) | 18,805 (5.04%) |
달성군 | 31,753 (23.13%) | 60,032 (43.73%) | 21,427 (15.60%) | 15,964 (11.63%) | 7,287 (5.30%) |
자유한국당 홍준표 후보가 대구광역시 내 전 지역에서 1위를 차지했다. 다만 50% 이상의 득표율을 기록한 지역은 서구와 남구 뿐으로 그동안 한 보수정당에 높은 득표율을 몰아주었던 양상은 이번 선거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럼에도 전 지역에서 2위를 차지한 문재인 후보에 20%p 이상의 격차를 벌리는데 성공하면서 압승을 거두었다.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는 전 지역에서 2위를 차지했다. 문재인 후보는 서구와 남구를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20% 이상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는 동구를 제외한 전 지역에서 3위를 차지했다. 안철수 후보는 원도심권인 중구, 서구 등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득표율을 기록하면서 부진했지만 나머지 지역에서는 득표율 15%를 달성했다.
바른정당 유승민 후보는 전 지역에서 두 자릿수대 득표율을 기록했다. 특히 국회의원 지역구인 동구에서는 15.88%의 득표율을 기록하면서 최고 득표율을 기록했으며 안철수 후보를 누르고 3위를 차지하기도 했다.
정의당 심상정 후보는 전 지역에서 4~5%대 득표율에 머물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