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

대전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
제작 및 운영
주 용도 도시철도 운송용 차량
제작사 대한민국로템
운영 회사 대전교통공사
제작 연도 2004년 ~ 2006년
제원
대차 관절대차
궤간 (mm) (표준궤) 1,435
성능
동력 방식 동력분산식
전기 방식 직류 1500V
제어 방식 VVVF-IGBT PWM(현대로템)1C4M제어
영업 최고 속도 LZB/ATC/ATO 구간 80 km/h
설계 최고 속도 100 km/h
감속도 상용 3.5 km/h/s
비상 4.5 km/h/s
전동기 출력 1,130[1] kW
편성 출력 13,560[2] kW
견인력 158.4 kN (300km/h)
구동 장치 교류동기전동기
MT비 4M 16T
보안 장치 LZB/ATC/ATO [수동운전.반자동운전]

대전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대전 도시철도 1호선에 사용되는 차량으로, 기술적 사양은 한국형 표준전동차에 기준한다. 현재 총 4량 21개 편성(84량)이 운행하고 있다.

전량 판암기지에 배속되어 있다. 반대편의 외삼기지에 배속된 차량은 없고, 야간 주박용으로만 이용하고 있다.

편성

[편집]
◇◇ ◇◇
10XX 15XX 12XX 11XX
선두차 동력차 동력차 선두차
반석 ※XX는 편성 번호 판암

↑ 반석

  1. 10XX - 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2. 15XX - 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VVVF, IM)
  3. 12XX - 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VVVF, IM)
  4. 11XX - 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 판암

  • 15XX는 초기 도입시엔 13XX였으나, 추후 6량 증결 운행에 대비하여 현재 차번으로 개정됐다.

배속

[편집]

구분

[편집]

1차 도입분 (101~112)

[편집]

2006년 3월 16일 1차 개통을 위해 로템 창원공장에서 제작되었다. 2004년 12월 27일 101편성이 대전역까지 갑종회송된 후 트레일러에 적재되어 12월 29일 판암차량사업소에 도착했고[3], 102~112편성이 2005년 여름까지 같은 방법으로 도입되었다.

2차 도입분 (113~121)

[편집]

2007년 4월 17일 2차 개통을 위해 로템 창원공장에서 제작되어 2006년 1차 도입분과 같은 방식으로 판암차량사업소에 도입되었다.

추진빈장치 교체현황

VVVF-IGBT(IPM)->도시바 VVVF-GBT(PMSM)

VVVF-IGBT(IPM)~도시바 VVVF Hybrid-SIC

VVVF-IGBT(IPM)~도시바 VVVF-IGBT

현재 운행구간

[편집]

현황

[편집]

현재 운행 중인 차량은 굵은 글씨로 표시했다.

차호 도입 시기 운행 중단 시기 비고
101 편성 2004년 운행 중
102 편성 2005년 운행 중
103 편성 운행 중
104 편성 운행 중
105 편성 운행 중
106 편성 운행 중
107 편성 운행 중
108 편성 운행 중
109 편성 운행 중
110 편성 운행 중
111 편성 운행 중
112 편성 운행 중
113 편성 운행 중
114 편성 운행 중
115 편성 2006년 운행 중
116 편성 운행 중
117 편성 운행 중
118 편성 운행 중 전조등 전구색 LED와 백색 LED가 혼합된 차량이다.
119 편성 운행 중
120 편성 운행 중 1020호는 전조등 전구색 LED와 백색 LED가 혼합된 차량이다.
121 편성 운행 중

특이사항

[편집]

측면 행선 표시기 가동 중단

[편집]
  • 개통 당시부터 전역사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었으나, 측면 행선 표시기는 가동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스크린도어 상판에 가려서 효율성이 떨어지고 에너지가 낭비된다는 지적이 있어 현재 모든 차량의 측면 행선 표시기를 끄고 운행한다.
  • 차량당 2개씩 전자노선도가 설치되어 있다. 열차의 진행 방향은 빨간색, 현재 위치는 초록색으로 표시된다.

같이 보기

[편집]
  1. 연속정격출력 1,100kw
  2. 연속정격출력 13,200kw(18,200마력)
  3. “대전 도시철도 1호선 전동차 첫 반입”. 2025년 4월 26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