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대서양 조약 기구의 확장

북대서양 조약 기구의 확장(영어: Enlargement of NATO, 프랑스어: Élargissement de l'OTAN)은 북대서양 조약 기구 회원국의 숫자가 늘어나는 것을 의미한다. 현재 32개 국가로 이뤄진 북대서양 조약 기구는 냉전과 탈냉전 시대를 겪으면서 그 숫자가 변화해왔다. 특히 소련이 붕괴하고 벨라루스, 몰도바 그리고 우크라이나를 제외한 동유럽 국가들이 북대서양 조약 기구에 가입하면서 크게 확장되었다. 중립 노선을 따르고 있는 아일랜드, 스위스, 몰타, 오스트리아 등은 가입하지 않으나 개별 프로그램을 통해서 협력 중이다.[1]
이는 나토의 동진(영어: Eastward NATO expansion)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러시아는 이를 국가 안보에 대한 위협이라고 보며, 주변 국가들의 나토 가입에 대해 여러 번 반발해왔다.[2][3] 2000년에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조지 로버트슨 나토 사무총장에게 러시아의 나토 가입 의사를 넌지시 밝힌 바가 있다.[4][5] 그러나 오렌지 혁명 이후 러시아가 서방에 대한 의구심 및 적개심을 키워가며 이는 없던 일이 되었다.[6][7] 러시아는 인접 국가가 나토에 가입하는 것을 강력하게 반대해왔으며, 조지아의 경우 러시아‒조지아 전쟁에서 러시아가 이를 개입하는 결과를 맞았다.[8][9]
2022년부터 발생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국면에서, 러시아는 전쟁의 원인 중 하나가 바로 우크라이나의 북대서양 조약 기구 가입 시도라고 주장하고 있다.[10]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발생하며, 중립 노선을 지키고 있었던 핀란드와 스웨덴이 차례대로 가입하였다. 이들 중 우크라이나는 여러 차례 우크라이나의 나토 가입을 강조해왔다.[11][12]
연혁
[편집]- 1949년: 미국, 캐나다, 프랑스, 벨기에, 영국, 네덜란드, 덴마크, 이탈리아, 포르투갈, 아이슬란드, 룩셈부르크가 북대서양 조약 기구 창설
- 1952년: 그리스, 튀르키예(당시 터키)[13][14][15]
- 1955년: 서독[16]
- 1982년: 스페인[17]
- 1999년: 체코, 헝가리, 폴란드[18]
- 2004년: 슬로바키아, 불가리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에스토니아, 루마니아[19][20][21]
- 2009년: 크로아티아, 알바니아[22][23]
- 2017년: 몬테네그로[24]
- 2020년: 북마케도니아[25]
- 2023년: 핀란드[26]
- 2024년: 스웨덴[27][28]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Knorr-Evans, Maite; Roche, Calum; Heilman, Greg (2025년 3월 1일). “Which European countries are not NATO members? Updated list of non-members” (미국 영어). 2025년 3월 27일에 확인함.
- ↑ Tsygankov, Andrei P. (2018). “The sources of Russia's fear of NATO”. 《Communist and Post-Communist Studies》 51 (2): 101–111. ISSN 0967-067X.
- ↑ Gidadhubli, R. G. (2004). “Expansion of NATO: Russia's Dilemma”. 《Economic and Political Weekly》 39 (19): 1885–1887. ISSN 0012-9976.
- ↑ NATO. “Lord Robertson, 1999 - 2003” (영어). 2025년 3월 27일에 확인함.
- ↑ Rankin, Jennifer (2021년 11월 4일). “Ex-Nato head says Putin wanted to join alliance early on in his rule”. 《The Guardian》 (영국 영어). ISSN 0261-3077. 2025년 3월 27일에 확인함.
- ↑ Umland, Andreas (2012년 11월 1일). “Russia's New "Special Path" After the Orange Revolution: Radical Anti-Westernism and Paratotalitarian Neo-Authoritarianism in 2005-8”. 《Russian Politics & Law》 50 (6): 19–40. doi:10.2753/RUP1061-1940500602. ISSN 1061-1940.
- ↑ Saari, Sinikukka (2014). “Russia's Post-Orange Revolution Strategies to Increase its Influence in Former Soviet Republics: Public Diplomacy po russkii”. 《Europe-Asia Studies》 66 (1): 50–66. ISSN 0966-8136.
- ↑ 丁世眞 (2021년 2월). “조지아 대외정책의 방향성 : 조지아의 對 EU, 러시아 관계 및 나토 가입 이슈를 중심으로”. 《중소연구》 44 (4): 285–327. ISSN 1012-3563.
- ↑ NATO. “Relations with Georgia” (영어). 2025년 3월 27일에 확인함.
- ↑ 임소정 (2022년 2월 24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왜?”. 2025년 3월 27일에 확인함.
- ↑ “Zelensky pleads for Ukraine NATO membership, Europeans look for another solution” (영어). 2024년 12월 3일. 2025년 3월 27일에 확인함.
- ↑ “Zelensky: No NATO membership without Russian-occupied territories” (미국 영어). 2024년 12월 1일. 2025년 3월 27일에 확인함.
- ↑ “Turkey- NATO Together for Peace and Security Since 60 Years / Republic of Türkiy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25년 3월 27일에 확인함.
- ↑ Jeong, Ki-Hyuk (정기혁) (2023년 9월). “The Korean War and its Impact on NATO Expansion, Focusing on Greece and Turkey (6‧25전쟁이 NATO의 확대에 미친 영향 - 그리스와 터키를 중심으로 -)”. 《military history (군사)》 (영어) (128): 299–334. doi:10.29212/mh.2023..128.299. ISSN 1598-317X.
- ↑ K., D. J. (1952). “Greece, Turkey, and N.A.T.O.”. 《The World Today》 8 (4): 162–169. ISSN 0043-9134.
- ↑ 권오중 (2009년 1월). “서독의 NATO 가입과 SEATO의 창설 그리고 한국 내 핵무기 배치를 통한 미국의 봉쇄적 안보정책1949-1958”. 《독일연구 - 역사·사회·문화》 (17): 141–178. ISSN 1598-4184.
- ↑ NATO. “Spain and NATO - 1982” (영어). 2025년 3월 27일에 확인함.
- ↑ “[오늘의 세계] 동유럽 3국 나토 공식 가입”. 2025년 3월 27일에 확인함.
- ↑ guillermo. “The Baltic States Mark Two Decades of NATO Membership - Foreign Policy Research Institute” (미국 영어). 2025년 3월 27일에 확인함.
- ↑ “Romania - NATO | Ministry of Foreign Affairs” (영어). 2025년 3월 27일에 확인함.
- ↑ “MFA :: NATO” (영어). 2025년 3월 27일에 확인함.
- ↑ “알바니아가 NATO에 가입한 지 15년”. 2025년 3월 27일에 확인함.
- ↑ 서수민 (2008년 4월 3일). “나토, 알바니아·크로아티아 가입합의”. 2025년 3월 27일에 확인함.
- ↑ 박현 (2015년 12월 2일). “몬테네그로, 나토 29번째 회원국 된다”. 2025년 3월 27일에 확인함.
- ↑ 뉴스, SBS (2020년 3월 30일). “북마케도니아, 북대서양조약기구 정식 가입…30번째 회원국”. 2025년 3월 27일에 확인함.
- ↑ 서현수 (2022년 6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핀란드 외교안보정책 노선의 변화: 패러다임 전환과 새로운 정치적 합의의 탄생?”. 《스칸디나비아 연구》 (29): 145–176. ISSN 1229-8646.
- ↑ 임태훈 (2023년 8월). “스웨덴과 핀란드의 중립외교와 나토(NATO) 가입영향에 관한 연구 - 양국 중립외교의 모순분석을 중심으로 -”. 《유럽연구》 41 (3): 157–176. ISSN 1226-895X.
- ↑ “NATO란 무엇이며 스웨덴은 왜 지금 가입했나”. 2024년 2월 27일. 2025년 3월 27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