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연소 등판 기록 추이
# | 나이 | 선수 | 소속 | 날짜 | 구장 | 상대팀 | 상대 선발 투수 | 경기 결과 | 주석 및 기타 |
1 | 22세 8개월 12일 | 이길환 | MBC | 1982. 03. 27 | 동대문 | 삼성 | | 7 -11 (연장) | 한국 프로 야구 첫 경기 선발 등판. 2이닝 2자책점[1] |
2 | 28세 11개월 3일 | 황규봉 | 삼성 | 1982. 03. 27 | 동대문 | MBC | | 7 -11 (연장) | 선발 등판. 6과 2/3이닝 7자책점[1] |
- 최고령 등판 기록 추이
# | 나이 | 선수 | 소속 | 날짜 | 구장 | 상대팀 | 상대 선발 투수 | 경기 결과 | 주석 및 기타 |
| 40세 5개월 23일 | 박철순 | OB | 1996.09. 04 | 대전 | 한화 | | | 선발 등판, 1996년 은퇴 |
| *40세 8개월 14일 | 김정수 | 한화 | 2004. 04. 08 | 대전 | LG | | 1 -6 | 7회 구원 등판 한 타자 상대함 |
41세 2개월 8일 | SK | 2003. 10. 02 | 문학 | KIA | | | |
| 41세 3개월 10일 | 송진우 | 한화 | 2007. 05. 26 | 대전 | 두산 | | | 9회 구원 등판. 두 타자 범타 처리 |
| 43세 7개월 7일 | 한화 | 2009. 09. 23 | 대전 | LG | | | 선발 등판, 2009년 은퇴 |
- 최연소 선발 등판 기록 추이
# | 나이 | 선수 | 소속 | 날짜 | 구장 | 상대팀 | 상대 선발 투수 | 경기 결과 | 주석 및 기타 |
1 | 22세 8개월 12일 | 이길환 | MBC | 1982. 03. 27 | 동대문 | 삼성 | | 7 -11 (연장) | 한국 프로 야구 첫 경기 선발 등판. 2이닝 2자책점[1] |
- 최고령 선발 등판 기록 추이
# | 나이 | 선수 | 소속 | 날짜 | 구장 | 상대팀 | 상대 선발 투수 | 경기 결과 | 주석 및 기타 |
1 | 22세 8개월 12일 | 이길환 | MBC | 1982. 03. 27 | 동대문 | 삼성 | | 7 -11 (연장) | 한국 프로 야구 첫 경기 선발 등판. 2이닝 2자책점[1] |
2 | 28세 11개월 3일 | 황규봉 | 삼성 | 1982. 03. 27 | 동대문 | MBC | | 7 -11 (연장) | 선발 등판. 6과 2/3이닝 7자책점[1] |
| 40세 5개월 23일 | 박철순 | OB | 1996.09. 04 | 대전 | 한화 | | | 선발 등판, 1996년 은퇴 |
| 43세 7개월 7일 | 송진우 | 한화 | 2009. 09. 23 | 대전 | LG | | | 선발 등판, 2009년 은퇴 |
- 최연소 승리 투수 기록 추이
# | 나이 | 선수 | 소속 | 날짜 | 구장 | 상대팀 | 상대 선발 투수 | 경기 결과 | 주석 및 기타 |
1 | 25세 6개월 13일 | 유종겸 | MBC | 1982. 03. 27 | 동대문 | 삼성 | | 7 -11 (연장) | 한국 프로 야구 첫 경기. 3회 구원 등판[1] |
2 | 23세 10개월 23일 | 노상수 | 롯데 | 1982. 03. 28 | 부산 | 해태 | | 2 - 13 | 선발 등판. 이날 인호봉도 완투승[2] |
| 18세 6개월 12일 | 안병원 | LG | 1992. 04. 14 | 인천 | LG | | 5 -6 | 9회 1사 후 구원등판[3] |
| 18세 1개월 18일 | 주형광 | 롯데 | 1994. 04. 19 | 대전 | 한화 | | | [4] |
- 최고령 승리 투수 기록 추이
일본 프로 야구 역대 최고령 승리 투수 기록은 주니치 드래건스의 야마모토 마사가 중간 계투로 출전해 세운 49세이다.
- 최고령 완투승 기록 추이
최고령 완봉승
# | 나이 | 선수 | 소속 | 날짜 | 구장 | 상대팀 | 상대 선발 투수 | 경기 결과 | 주석 및 기타 |
1 | 28세 1개월 18일 | 천창호 | 롯데 | 1982. 03. 31 | 부산 | OB | 황태환 | 0 - 4 | 이 경기가 프로 내내 유일한 완봉승이었다. 같은 날 김용남도 완봉승[5] |
2 | 29세 3개월 8일 | 황규봉 | 삼성 | 1982. 08. 01 | 대구 | 해태 | | 0 - 8 | 8월 15일에도 완봉승 거둠(1982년 시즌 2완봉승)[17] |
3 | 29세 4개월 5일 | 계형철 | OB | 1982. 08. 08 | 대전 | MBC | | 0 -5 | 프로 첫 완봉승. 1982년 유일한 완봉승 |
| 36세 4개월 6일 | 계형철 | OB | 1989. 08. 09 | 잠실 | 해태 | | 0 -2 | |
| 36세 5개월 | 박철순 | OB | 1992. 08. 12 | 잠실 | 해태 | 송유석 | 0 - 5 | [18] |
38세 5개월 | OB | 1994. 08. 12 | | 태평양 | | | 1996년 은퇴 |
| 39세 6개월 23일 | 송진우 | 한화 | 2005. 09. 08 | 문학 | Sk | | 12 - 0 | 2009년 은퇴[19] |
- 최연소 세이브
# | 나이 | 선수 | 소속 | 날짜 | 구장 | 상대팀 | 경기 결과 | 주석 및 기타 |
| 18세 1개월 14일 | 주형광 | 롯데 | 1994. 04. 15 | 사직 | LG | | [11] |
- 최고령 세이브 기록 추이
# | 나이 | 선수 | 소속 | 날짜 | 구장 | 상대팀 | 경기 결과 | 주석 및 기타 |
| 40세 4개월 18일 | 박철순 | OB | 1996. 07. 30 | 잠실 | LG | 4 - 6 | 9회초 1사 1,3루 등판, 두 타자 범타 처리 |
| 41세 3개월 15일 | 송진우 | 한화 | 2007. 05. 31 | 사직 | 롯데 | 5 - 2 | 9회말 등판. 무실점 |
| 41세 3개월 27일 | 최향남 | KIA | 2012. 07. 25 | 광주 | 넥센 | 1 - 3 | 9회 등판, 1이닝을 무실점으로 막음. 시즌 4세이브 |
| | | | | | 시즌 5세이브 |
| 41세 4개월 8일 | 2012. 08. 05 | 잠실 | 두산 | 6 - 4 | 시즌 6세이브 |
| | | | | | 시즌 7세이브 |
| 41세 4개월 25일 | 2012. 08. 22 | 광주 | LG | 4 - 5 | 1이닝 무실점, 시즌 8세이브 |
| 41세 5개월 9일 | 2012. 09. 06 | 광주 | SK | 0 - 2 | 1이닝 무안타 무실점, 시즌 9세이브 |
| 41세 10개월 27일 | 최영필 | KIA | 2016. 04. 09 | 수원 | kt | 6 - 3 | 9회말 1이닝 1피안타 무사사구 무실점 |
| 41세 10개월 30일 | 최영필 | KIA | 2016. 04. 12 | | | | |
| 41세 11개월 9일 | 임창용 | KIA | 2018. 05. 13 | 대구 | 삼성 | 7 - 8 | 9회말 8-7, 1볼넷 1이닝 무실점 |
- 최고령 홀드 투수 기록 추이
나이 | 선수 | 소속 | 날짜 | 구장 | 상대팀 | 경기 결과 | 주석 및 기타 |
41세 3개월 20일 | 송진우 | 한화 | 2007. 06. 05 | 수원 | 현대 | | 4-1로 앞서던 6회 등판해 1⅔이닝을 2피안타 2삼진 1볼넷 무실점[20] |
43세 1개월 26일 | 송진우 | 한화 | 2009. 09. 23 | 대전 | 롯데 | | 2009년 은퇴 |
- 최연소 개인 통산 1000 탈삼진
# | 나이 | 선수 | 소속 | 날짜 | 구장 | 상대팀 | 상대 타자 | 경기 결과 | 주석 및 기타 |
| 24세 2개월 25일 | 류현진 | 한화 | 2011. 6. 19 | 대전 | 두산 | 최준석 | 2 - 1 한화 승 | 최소 경기 1000탈삼진(153경기)과 6년연속 세자리수 탈삼진 기록도 동시에 세움, 완투승 |
| 24세 3개월 14일 | 주형광 | 롯데 | 2000. 6. 15 | 부산 | 두산 | | | |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청룡이 사자를 물었다'[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서울신문》1982,3,28
- ↑ 가 나 다 "박철순 첫 완투승",《동아일보》, 1982,3,29
- ↑ '안병원(새끼 돌고래) 최연소 승리 투수'] 《경향신문》1992,4,15
- ↑ (사)한국야구위원회, 2008 Korean Baseball Record Book, 148쪽
- ↑ 가 나 다 "타향 설움 톡톡히 보여줬다",《동아일보》, 1982,4,1
- ↑ 가 나 '프로야구 이정훈 타격선두 재탈환',《동아일보》,1991,9,14
- ↑ '마흔, 200승... 전설을 던지다' 《한겨레신문》2006,08,30
- ↑ '거인 - 곰 연장 14회 5시간 2분 대접전'] 《동아일보》1989,4,15
- ↑ '고졸 김원형 (쌍방울) 최연소 완투승'] 《경향신문》1991,4,27
- ↑ '거인 - 곰 연장 14회 5시간 2분 대접전'] 《동아일보》1992,4,17
- ↑ 가 나 (사)한국야구위원회, 2008 Korean Baseball Record Book,148쪽
- ↑ '21살 신동수 최연소 완봉승' 《동아일보》1987,07,22
- ↑ '신인, 박정현 MBC에 완봉승',《한겨레신문》,1989,05,17
- ↑ '19세 김원형 선동렬 꺾었다' 《경향신문》1991,8, 15
- ↑ '태평양 안병원 최연소 완봉승' 《경향신문》1992,8,27
- ↑ '롯데 주형광 최연소 완봉' 《한겨레신문》1994,6,9
- ↑ "프로야구 黃圭奉,띄엄띄엄7안타…해태 완봉",《동아일보》, 1982,8,2
- ↑ "해태 OB에 발목 잡혀",《한겨레신문》, 1982,8,13
- ↑ 사한국야구위윈회,《2008 한국프로야구연감》, 120쪽"
- ↑ (사)한국야구위윈회,《2008 한국프로야구연감》, 123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