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2년에 시작된 KBO 리그에서 개인 통산 첫 1000경기 출장 기록은 1992년 4월 12일 삼성 라이온즈 신경식 선수가 달성했다. 1500경기는 출범 17년 째인 1998년에 김광림(현대 유니콘스)이 그리고 2000경기는 2008년 전준호 (우리 히어로즈)가 달성했다.
# | 기록 | 선수 | 소속 | 날짜 | 구장 | 상대 팀 | 경기 결과 | 달성 당시 나이 | 달성 당시 시즌 수 | 주석 및 기타 |
1 | 1경기 | 천보성 | 삼성 | 1982. 03. 27 | 서울 | MBC | 7 -11 MBC 승 | | 1 | 한국 프로 야구 최초 경기, 1번 타자[1] |
| 150경기 | 김성한 | 해태 | 1983. 08. 10 | 사직 | 롯데 | | | 2 | [2] |
| 200경기 | 김인식 | MBC | 1984. 05. 03 | 전주 | 해태 | | | 2 | 1982년 원년 개막전 이후 전경기 연속 출장[3] |
| 300경기 | 김인식 | MBC | 1985. 04. 28 | 광주 | 해태 | | | 4 | 1982년 원년 개막전 이후 전경기 연속 출장[4] |
| 400경기 | 김인식 | MBC | 1986. 04. 09 | 잠실 | 삼성 | | | 5 | 1982년 원년 개막전 이후 전경기 연속 출장[5] |
| 500경기 | 김인식 | MBC | 1987. 04. 05 | 서울 | OB | 2 -1 패 | | | 1982년 원년 개막전 이후 전경기 연속 출장[6] |
| 600경기 | 김인식 | MBC | 1987. 09. 28 | 광주 | 해태 | 0 - 2 패 | | 6 | 1982년 원년 개막전 이후 전경기 연속 출장[7] |
| 606경기 | 김인식 | MBC | 1987. 10. 03 | 사직 | 롯데 | | | 6 | 1982년 원년 개막전 이후 전경기 연속 출장 |
| 800경기 | 김성한 | 해태 | 1990. 06. 07 | 광주 | 태평양 | 1 -7 해태 승 | | 9 | [8] |
| 1000경기 | 신경식 | 삼성 | 1992. 04. 12 | 대구 | 태평양 | | 31세 2개월 24일 | | [9] |
| 1364경기 | 신경식 | 쌍방울 | 1995. | | | | | | 이 해에 은퇴함.[10] |
| 1365경기 | 이만수 | 삼성 | 1996. 07. 05 | 대구 | 해태 | | | 16 - 6 해태 승 | 8회 대타로 나와 1타점 적시타 기록.[11] |
| 1500경기 | 김광림 | 현대 | 1998. 06. 04 | 전주 | 쌍방울 | | 37세 2개월 25일 | | [12] |
| 1600경기 | 김광림 | 쌍방울 | 1999. 06. 18 | 전주 | OB | | 37세 3개월 9일 | | DH-2 |
| 1630경기 | 김광림 | 쌍방울 | 1999. | | | | | | 은퇴 경기 |
| 1631경기 | 장종훈 | 한화 | 2001. 06. 25 | 대전 | 해태 | | | | |
| 1700경기 | 장종훈 | 한화 | 2002. 04. 17 | 대전 | KIA | | | -- | |
| 1950경기 | 장종훈 | 한화 | 2005. 9. 15 | 대전 | KIA | | | | 은퇴 경기, 7번 지명타자 선발 출장, 2타석 무안타, 마지막 타석 3루수 땅볼 |
| 1951경기 | 전준호 | 현대 | 2007. 9. 28 | 광주 | KIA | | | | [12] |
| 2000경기 | 전준호 | 히어로즈 | 2008. 6. 7 | 대전 | 한화 | | 39세 3개월 22일 | | [12][13] |
| 2074경기 | 전준호 | 히어로즈 | | | | | | | |
| 2075경기 | 김민재 | 한화 | 2009. 08. 05 | 대구 | 삼성 | 2-13 삼성 승 | | | |
| 2100경기 | 김민재 | 한화 | 2009. 09. 08 | 사직 | 롯데 | | | | 3루수 겸 9번 타자 선발 출장 |
| 2111경기 | 김민재 | 한화 | 2009. 09. 25 | 대전 | 삼성 | 2 - 1 승 | | | 마지막 경기. 3타수 무안타 1타점 |
| 2112경기 | 양준혁 | 삼성 | 2010. 06. 03 | 대구 | KIA | | | | 6회말 2사 1,2루에서 대타 출장. 경기는 팀의 3:8 패[14] |
| 2135경기 | 양준혁 | 삼성 | 2010. 09. 19 | 대구 | SK | | | | |
| 2136경기 | 정성훈 | KIA | 2018. 03 .24 | 광주 | kt | | | | 7회말 대타 출전 |
# | 경기 수 | 선수 | 소속 팀 | 날짜 | 주석 및 기타 |
1 | 1014경기 | 최태원 | SK | 1995. 4.16 (광주, 해태) ~ 2002. 9. 8 (문학, 현대) | [15] |
2 | 622경기 | 김형석 | OB | 1989. 9.24 (인천, 태평양 DH2) ~ 1994. 9. 4 (군산, 쌍방울) | |
3 | 615경기 | 이범호 | 한화 | 2003. 8. 3 (대전, SK) ~ 2008. 6. 3 (광주, KIA) | |
4 | 606경기 | 김인식 | MBC | 1982. 3.27 (동대문, 삼성) ~ 1987.10. 3 (사직, 롯데) | |
기록 | 선수 | 소속 | 날짜 | 구장 | 상대 팀 | 경기 결과 | 기간 | 시즌 수 | 주석 및 기타 |
200경기 | 김인식 | MBC | 1984. 05. 03 | 전주 | 해태 | 3 - 8 패 | 1982.3.27 원년 삼성 전 - | | [16] |
400경기 | 김인식 | MBC | 1986. 4. 9 | 잠실 | 삼성 | | | | [16] |
500경기 | 김인식 | MBC | 1987. 04. 05 | 서울 | OB | 2 -1 패 | | | [17] |
600경기 | 김인식 | MBC | 1987. 09. 28 | 광주 | 해태 | 0 - 2 패 | | | [18] |
606경기 | 김인식 | MBC | 1987. 10. 03 | 사직 | 롯데 | | | | |
607경기 | 김형석 | OB | 1994. 08. 18 | 잠실 | LG | 9 -6 패 | 1989.9.24 태평양 DH2 전부터 | | [19] |
622경기 | 김형석 | 삼성 | 1994. 09. 04 | 군산 | 쌍방울 | | | | |
623경기 | 최태원 | 쌍방울 | 1999. 09. 18 | 대구 | 삼성 | 3 - 5 패 | 1995. 04. 16. 광주 해태 전 - | | [20] |
700경기 | 최태원 | | 2000. 06. 18 |
1014경기 | 최태원 | SK | 2002. 09. 08 | 문학 | 현대 | 3 - 5 패 | | | |
# | 나이 | 선수 | 소속 | 날짜 | 상대팀 | 구장 | 주석 및 기타 |
1 | 28세 9개월 16일 | 천보성 | 삼성 | 1982. 03. 27 | MBC | 동대문 | 한국 프로 야구 최초 경기 1번 타자[22] |
2 | 28세 25일 | 배대웅 | 삼성 | 1982. 03. 27 | 삼성 | 동대문 | 한국 프로 야구 최초 경기. 1회초 2번 타자[22] |
3 | 27세 2개월 25일 | 함학수 | 삼성 | 1982. 03. 27 | 삼성 | 동대문 | 한국 프로 야구 최초 경기. 1회초 3번 타자[22] |
4 | 23세 4개월 8일 | 이만수 | 삼성 | 1982. 03. 27 | 삼성 | 동대문 | 58년 9월 19일 생.한국 프로 야구 최초 경기. 1회초 4번 타자[22] |
# | 18세 7개월 13일 | 구천서 | OB | 1982. 03. 28 | | | 63년 8월 15일 생 |
# | 나이 | 선수 | 소속 | 날짜 | 상대팀 | 구장 | 주석 및 기타 |
1 | 28세 9개월 16일 | 천보성 | 삼성 | 1982. 03. 27 | MBC | 동대문 | 한국 프로 야구 최초 경기 1번 타자[22] |
2 | 29세 3개월 12일 | 송영운 | MBC | 1982. 03. 27 | 삼성 | 동대문 | 한국 프로 야구 최초 경기. 1회말 2번 타자[22] |
3 | 38세 4개월 | 백인천 | MBC | 1982. 03. 27 | 삼성 | 동대문 | 한국 프로 야구 최초 경기. 2회말 5번 타자[22] |
4 | 40세 9개월 16일 | 백인천 | 삼미 | 1984. 09. 13 | 롯데 | 구덕 | 1984년 은퇴[12] |
5 | 40세 11개월 6일 | 펠릭스 호세 | 롯데 | 2006. 04. 08 | 삼성 | 삼성 | 2006년 시즌 개막전[12] |
6 | 42세 8일 | 펠릭스 호세 | 롯데 | 2007. 05. 10 | SK | 문학 | [12] |
# | 나이 | 선수 | 소속 | 날짜 | 상대팀 | 구장 | 주석 및 기타 |
| 40세 9개월 19일 | 김동수 | | | | | |
| 40세 10개월 19일 | 박경완 | SK | 2013. 05. 30 | 삼성 | 문학 | 6회 조인성과 교체됨 |
- ↑ '이종도(청룡) 굿바이 만루홈런' 보관됨 2016-03-06 - 웨이백 머신, 《한국일보》1982,3,28
- ↑ '이선희 비운 언제까지'[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동아일보》1983,8,11
- ↑ '프로야구 金奉淵연타석 홈런' 《경향신문》1984,5,3
- ↑ '프로야구 곰, 사자連勝에 制動' 《경향신문》1985,4,29
- ↑ '金인식,4百 게임 연속出場 대기록' 《경향신문》1986,4,10
- ↑ ['500경기 개근 출전 김인식에 순금 배트'] 《동아일보》1987,4,6
- ↑ '해태 큰 고비 넘겼다 - 김인식 빛바랜 6백 게임 출장'[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경향신문문》1987,9,29
- ↑ '곰 끈적수비 어디갔나', 《경향신문》1990,6,8
- ↑ '프로 야구 사상 첫 1000경기 출장 금자탑'[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경향신문》1992,4,12
- ↑ [1] 한국야구위원회 홈페이지
- ↑ '해태 3타자 연속 홈런 -이만수 1365경기 출장 신기록' 《동아일보》1996,7,6
- ↑ 가 나 다 라 마 바 《2010 Korean Baseball Record Book》,(사)한국야구위원회, 2010
- ↑ '2000경기 출장 전준호 대기록' 《한겨레》2008,6,9
- ↑ '양준혁 2112경기 출전 프로야구 최다' 《경향신문》2010,6,4
- ↑ KBO,2013 Offical Record Book,서울 2013
- ↑ 가 나 《1994 프로 야구 가이드 북》, 김창웅, 이종남 저, 도서출판 늘푸른들, 1994
- ↑ ['500경기 개근 출전 김인식에 순금 배트'] 《동아일보》1987,4,6
- ↑ '해태 큰 고비 넘겼다 - 김인식 빛바랜 6백 게임 출장'[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경향신문문》1987,9,29
- ↑ '철인 탄생 - OB 김형석 607경기 최다 연속 출장'[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동아일보》1994,8,19
- ↑ '철인 최태원 623연속 출장 신'[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경향신문》1999,9,19
- ↑ '투수가 약했나...타력이 강했나', 《경향신문》1982,4,26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청룡이 사자를 물었다'[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서울신문》1982,3,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