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N솔루션즈
![]() | |
창립 | 1976년 7월1일 |
---|---|
시장 정보 | K-OTC: 298440 |
산업 분야 | 공작기계 |
서비스 | 자동화 솔루션, 스핀들 솔루션 |
전신 | 대우중공업 |
후신 | 두산인프라코어 |
본사 소재지 | 대한민국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정동로162번길 40 |
핵심 인물 | 김원종 (대표이사) |
제품 | DVF, SMX, PUMA, LYNX, MYNX, DNM |
매출액 | 2.11조 원(2024년) |
영업이익 | 4,105억 원(2024년) |
3,204억 원(2023년) | |
자산총액 | 1조 8,248억 원(2023년) |
종업원 수 | 1,285명(2023년) |
모기업 | DN오토모티브 |
자본금 | 269억 원(2023년) |
웹사이트 | www |
DN솔루션즈(영어: DN Solutions)는 대한민국의 기업으로 DN오토모티브의 자회사로, 공작기계 사업을 핵심으로 두고 있다. TC(터닝센터)와 MCT(머시닝센터)를 제조한다. 2023년 기준, 매출 기준 공작기계 업계 세계 3위 기업에 해당한다.[1][2]
역사
[편집]DN솔루션즈는 1976년 대우중공업의 공작기계 사업 부문으로 출범해 대우종합기계·두산인프라코어를 거쳐 2016년 두산공작기계로 독립법인 전환된 후 DN그룹에 편입됐다.[3]
두산공작기계는 1976년 대우중공업의 공작기계 사업 부문으로 출범하였다. 이후 대우종합기계, 두산인프라코어 사업부문을 거쳐 2016년, '두산공작기계'라는 독립 법인으로 전환하였다.[3][4] 이후 2022년 1월 자동차의 소음·진동을 줄이는 방진부품(VMS) 제조업체 DTR오토모티브(現DN오토모티브)에 인수되었다.[5][6][7]
연혁
[편집]- 1976년 대우중공업 공작기계 공장 준공
- 1979년 공작기계 1000호기 생산
- 1980년 NC선반 국산화 자체 개발 및 수출
- 1994년 미국/유럽 현지 법인 설립
- 2000년 대우종합기계(주)로 분할
- 2003년 중국 연대 유한공사 현지 착공
- 2005년 두산그룹 편입 및 두산인프라코어로 사명 변경
- 2008년 창원 본사 R&D 센터 설립
- 2013년 성주공장 준공
- 2016년 두산공작기계(주)로 사명 변경
- 2022년 DN솔루션즈로 사명 변경
- 2023년 독일 테크니컬 센터 설립
- 2024년 베트남 법인 설립
- 2025년 기업공개 철회[8]
각주
[편집]- ↑ IPO 예정기업 DN솔루션즈 유진투자증권 2025-04-22
- ↑ 기업분석 DN오토모티브 하나증권 2025년 03월 17일
- ↑ 가 나 “DN솔루션즈 인수하며 단숨에 대기업 반열, 핵심계열사 실적 호조세…채무부담은 우려”. 매일경제. 2023년 11월 13일.
- ↑ “MBK파트너스가 인수한 두산공작기계, 새 대표에 김재섭”. 2024년 7월 4일에 확인함.
- ↑ 머니투데이 (2022년 1월 28일). “디티알오토모티브, 두산공작기계 인수완료…3조원대 중견기업 도약”. 2024년 7월 4일에 확인함.
- ↑ “디티알오토모티브, 두산공작기계 인수...3조원대 중견기업으로 도약, 새로운 성장 전기 마련”. 경향신문. 2022년 1월 8일.
- ↑ “DN솔루션즈, 부천에 수도권 첨단 R&D센터 짓는다”. 경향신문. 2025년 1월 10일.
- ↑ “DN솔루션즈 전격 철회… IPO 시장 찬물”. 2025년 4월 30일.
외부 링크
[편집]- DN솔루션즈
- 공식 웹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