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아미노아이소뷰티르산
![]() | |
![]() | |
이름 | |
---|---|
IUPAC 이름 3-Amino-2-methylpropanoic acid | |
별칭 3-Aminoisobutyrate | |
식별자 | |
3D 모델 (JSmol) | |
ChEBI | |
ChemSpider | |
ECHA InfoCard | 100.005.132 |
KEGG | |
PubChem CID | |
UNII | |
CompTox Dashboard (EPA) | |
| |
| |
성질 | |
C4H9NO2 | |
몰 질량 | 103.12 g/mol |
달리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면, 표준상태(25 °C [77 °F], 100 kPa)에서 물질의 정보가 제공됨. |
3-아미노아이소뷰티르산(영어: 3-aminoisobutyric acid) 또는 β-아미노아이소뷰티르산(영어: β-aminoisobutyric acid)은 티민의 이화작용에서의 대사 중간생성물이다. 3-아미노아이소뷰티르산은 β-유레이도프로피오네이스에 의해 β-유레이도아이소뷰티르산으로부터 생성된다.
운동을 하는 동안 PGC-1α 단백질의 증가는 운동 중인 근육으로부터 혈액으로 3-아미노아이소뷰티르산(사람 혈장에서 2~3µM의 농도)을 분비하도록 자극한다. 3-아미노아이소뷰티르산이 백색 지방조직에 도달하면, PPARα 수용체를 통해 열생성 유전자들의 발현을 활성화시켜 백색 지방조직의 갈색 지방조직으로의 변화를 유발한다.[1] 3-아미노아이소뷰티르산 활성의 결과 중 하나는 3-아미노아이소뷰티르산의 표적 세포의 백그라운드 대사를 증가시킨다는 것이다.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Roberts, Lee D.; Boström, Pontus; o'Sullivan, John F.; Schinzel, Robert T.; Lewis, Gregory D.; Dejam, Andre; Lee, Youn-Kyoung; Palma, Melinda J.; Calhoun, Sondra; Georgiadi, Anastasia; Chen, Ming-Huei; Ramachandran, Vasan S.; Larson, Martin G.; Bouchard, Claude; Rankinen, Tuomo; Souza, Amanda L.; Clish, Clary B.; Wang, Thomas J.; Estall, Jennifer L.; Soukas, Alexander A.; Cowan, Chad A.; Spiegelman, Bruce M.; Gerszten, Robert E. (2014). “Β-Aminoisobutyric Acid Induces Browning of White Fat and Hepatic β-Oxidation and is Inversely Correlated with Cardiometabolic Risk Factors”. 《Cell Metabolism》 19 (1): 96–108. doi:10.1016/j.cmet.2013.12.003. PMC 4017355. PMID 244119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