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25년 AFC 챔피언스리그 2 결선 토너먼트
2024-25년 AFC 챔피언스리그 2 결선 토너먼트는 2025년 2월 12일부터 5월 17일까지 시행될 것이다.[1] 2024-25년 AFC 챔피언스리그 2 우승팀을 결정하기 위한 결선 토너먼트에서 총 16개팀들이 경쟁할 것이다.[2]
진출팀
[편집]조별리그에서 8개 조의 1위팀과 2위팀들은 16강에 진출하며, 서부 지역(A–D조)과 동부 지역(E–H조)은 모두 16개의 팀이 진출했다.
지역 | 조 | 1위 | 2 |
---|---|---|---|
서부 아시아 | A조 | ![]() | ![]() |
B조 | ![]() | ![]() | |
C조 | ![]() | ![]() | |
D조 | ![]() | ![]() | |
동부 아시아 | E조 | ![]() | ![]() |
F조 | ![]() | ![]() | |
G조 | ![]() | ![]() | |
H조 | ![]() | ![]() |
일정
[편집]토너먼트 대진 일정은 다음과 같다.[1]
Stage | Round | 대진추첨일 | 1차전 | 2차전 |
---|---|---|---|---|
결선 토너먼트 | 16강전 | 2024년 12월 12일 | 2025년 2월 11-13일 | 2025년 2월 18-20일 |
8강전 | 2025년 3월 4-6일 | 2025년 3월 11-13일 | ||
준결승전 | 2025년 4월 8-9일 | 2025년 4월 15-16일 | ||
결승전 | 2025년 5월 17일 |
진행 방식
[편집]결선 토너먼트에서, 16개 팀이 16강전부터 결승전까지 단계별 홈앤드어웨이 토너먼트로 경쟁한다. 16강전부터 홈앤드어웨이 더블 경기로 시행된다. 연장전과 승부차기는 필요한 경우 승자를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단, 결승전은 동부아시아 승자팀 홈구장에서 단판경기로 진행될 것이다.[2]
토너먼트 대진
[편집]16강 | 8강 | 준결승 | 결승 | ||||||||||||||||||||||
![]() | 0 | 0 | 0 | ||||||||||||||||||||||
![]() | 3 | 4 | 7 | ||||||||||||||||||||||
![]() | 0 | 1 | 1 | ||||||||||||||||||||||
![]() | 3 | 1 | 4 | ||||||||||||||||||||||
![]() | 2 | 0 | 2 | ||||||||||||||||||||||
![]() | 3 | 4 | 7 | ||||||||||||||||||||||
![]() | 2 | 0 | 2 | ||||||||||||||||||||||
![]() | 0 | 1 | 1 | ||||||||||||||||||||||
![]() | 0 | 0 | 0 | ||||||||||||||||||||||
![]() | 4 | 1 | 5 | ||||||||||||||||||||||
![]() | 0 | 2 | 2 | ||||||||||||||||||||||
![]() | 2 | 3 | 5 | ||||||||||||||||||||||
![]() | 2 | 3(연) | 5 | ||||||||||||||||||||||
![]() | 2 | 2 | 4 | ||||||||||||||||||||||
![]() | |||||||||||||||||||||||||
![]() | |||||||||||||||||||||||||
![]() | 1 | 3 | 4 | ||||||||||||||||||||||
![]() | 2 | 3 | 6 | ||||||||||||||||||||||
![]() | 0 | 2 | 2 (2) | ||||||||||||||||||||||
![]() | 0 | 2(연) | 2 (4) | ||||||||||||||||||||||
![]() | 2 | 2 | 4 (3) | ||||||||||||||||||||||
![]() | 2 | 2(연) | 4 (4) | ||||||||||||||||||||||
![]() | 1 | 0 | 1 | ||||||||||||||||||||||
![]() | 0 | 2 | 2 | ||||||||||||||||||||||
![]() | 0 | 3 | 3 | ||||||||||||||||||||||
![]() | 2 | 4 | 6 | ||||||||||||||||||||||
![]() | 1 | 1 | 2 (4) | ||||||||||||||||||||||
![]() | 1 | 1(연) | 2 (5) | ||||||||||||||||||||||
![]() | 0 | 1(연) | 1 (0) | ||||||||||||||||||||||
![]() | 1 | 0 | 1 (3) |
16강전
[편집]팀 1 | 합계 | 팀 2 | 1차전 | 2차전 |
---|---|---|---|---|
알 할디야 ![]() | 4-5 | ![]() | 1-2 | 3-3 |
알 와크라 ![]() | 4-4 3(승부차기)4 | ![]() | 2-2 | 2(연)2 |
알 웨흐닷 ![]() | 3-6 | ![]() | 0-2 | 3-4 |
알 후세인 ![]() | 1-1 0(승부차기)3 | ![]() | 0-1 | 1(연장)0 |
팀 1 | 합계 | 팀 2 | 1차전 | 2차전 |
---|---|---|---|---|
텝싸인 남딘 ![]() | 0-7 | ![]() | 0-3 | 0-4 |
무앙통 유나이티드 ![]() | 2-7 | ![]() | 2-3 | 0-4 |
포트 FC ![]() | 0-5 | ![]() | 0-4 | 0-1 |
시드니 FC ![]() | 5-4 | ![]() | 2-2 | 3(연)2 |
서부 지역
[편집]샤르자 ![]() | 0 - 1 (연장전) | ![]() |
---|---|---|
마흐무드 알 마르디 ![]() | ||
승부차기 | ||
| 3 - 0 |
|
합산 스코어 1-1 기록. 샤르자가 승부차기 3-0 승리로 8강에 진출하였다.
알할디야 ![]() | 1 - 2 | ![]() |
---|---|---|
모하메드 알 로마이히 ![]() | 아미르호세인 호세인자데 ![]() 도마고이 드로젝 ![]() |
트락토르 ![]() | 3 - 3 | ![]() |
---|---|---|
|
|
트락토르가 합산 스코어 5-4 승리로 8강에 진출하였다.
샤바브 알아흘리 ![]() | 4 - 3 | ![]() |
---|---|---|
|
샤바브 알아흘리가 합산 스코어 6-3 승리로 8강에 진출하였다.
알 타아원 ![]() | 2 - 2 (연장전) | ![]() |
---|---|---|
모하메드 알 쿠와이키비 ![]() 레네 리바스 ![]() | ![]() | |
승부차기 | ||
| 4 - 3 |
|
합산 스코어 4-4 기록. 알 타아원이 승부차기 4-3 승리로 8강에 진출하였다.
동부 지역
[편집]산프레체 히로시마가 합산 스코어 7-0 승리로 8강에 진출하였다.
시드니 FC가 합산 스코어 5-4 승리로 8강에 진출하였다.
전북 현대 모터스가 합산 스코어 5-0 승리로 8강에 진출하였다.
라이언 시티 세일러스가 합산 스코어 7-2 승리로 8강에 진출하였다.
8강전
[편집]팀 1 | 합계 | 팀 2 | 1차전 | 2차전 |
---|---|---|---|---|
트락토르 ![]() | 2-2 2(승)4 | ![]() | 0-0 | 2(연장)2 |
샤바브 알아흘리 ![]() | 2-2 4(승)5 | ![]() | 1-1 | 1(연장)1 |
팀 1 | 합계 | 팀 2 | 1차전 | 2차전 |
---|---|---|---|---|
산프레체 히로시마 ![]() | 1-4 | ![]() | 0-3 [3][4][5] | 1-1 |
전북 현대 모터스 ![]() | 2-5 | ![]() | 0-2 | 2-3 |
서부 지역
[편집]알 타아원 ![]() | 2 - 2 (연장전) | ![]() |
---|---|---|
무사 바로우 ![]() 술탄 만다시 ![]() | 히카르두 아우비스 ![]() 도마고이 드로젝 ![]() | |
승부차기 | ||
4 - 2 |
|
합산 스코어 2-2 기록. 알 타아원이 승부차기 4-2 승리로 준결승전에 진출하였다.
샤르자 ![]() | 1 - 1 (연장전) | ![]() |
---|---|---|
마르쿠스 멜로니 ![]() | ![]() | |
승부차기 | ||
| 5 - 4 |
합산 스코어 2-2 기록. 샤르자가 승부차기 5-4 승리로 준결승전에 진출하였다.
동부 지역
[편집]산프레체 히로시마 ![]() | 0 - 3 (몰수) | ![]() |
---|---|---|
다나카 사토시 ![]() 제르맹 료 ![]() 가와베 하야오 ![]() 발레르 제르맹 ![]() 나카무라 소타 ![]() | ![]() |
라이언 시티 세일러스 ![]() | 1 - 1 | ![]() |
---|---|---|
레나르트 티 ![]() | ![]() |
라이언 시티 세일러스가 합산 스코어 4-1 승리로 준결승전에 진출하였다.
시드니 FC가 합산 스코어 5-2 승리로 준결승전에 진출하였다.
준결승전
[편집]팀 1 | 합계 | 팀 2 | 1차전 | 2차전 |
---|---|---|---|---|
알 타아원 ![]() | 1-2 | ![]() | 1-0 | 0-2 |
팀 1 | 합계 | 팀 2 | 1차전 | 2차전 |
---|---|---|---|---|
라이언 시티 세일러스 ![]() | 2-1 | ![]() | 2-0 | 0-1 |
서부 지역
[편집]샤르자 FC가 합산 스코어 2-1 승리로 결승전에 진출하였다.
동부 지역
[편집]라이언 시티 세일러스 ![]() | 2 - 0 | ![]() |
---|---|---|
바르트 람설라르 ![]() 레나르트 티 ![]() |
시드니 FC ![]() | 1 - 0 | ![]() |
---|---|---|
조 롤리 ![]() |
라이언 시티 세일러스가 합산 스코어 2-1 승리로 결승전에 진출하였다.
결승전
[편집]결승전은 동부 아시아에서 단판 경기로 진행될 예정이다.
라이언 시티 세일러스 ![]() | v | ![]() |
---|---|---|
각주
[편집]- ↑ 가 나 “AFC Competitions Calendar (Jul 2024 - Jun 2025)” (PDF). 《The AFC》. 2024년 8월 17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8월 16일에 확인함.
- ↑ 가 나 “AFC Champions League Two 2024/25 Competition Regulations” (PDF). 《Asian Football Confederation》. 2024년 8월 16일에 확인함.
- ↑ 라이언 시티 세일러스는 원정경기에서 0-3 몰수승을 거두었다. 원래는 상프레체 히로시마의 6-1 승리로 끝났지만, 산프레체 히로시마 홈경기에서 부정선수(발레르 제르맹) 참가가 적발되었다.
- ↑ Tan, Gabriel (2025년 3월 8일). “Lion City Sailors handed AFC Champions League Two lifeline over Sanfrecce Hiroshima fielding suspended player”. 《ESPN Singapore》 (영어). 2025년 3월 8일에 확인함.
- ↑ “List of the AFC Disciplinary and Ethics Committee decision 8 March 2025” (PDF). 《The AFC》. 2025년 3월 8일. 2025년 3월 9일에 확인함.
- ↑ 원래 홈구장인 전주월드컵경기장이 그라운드 잔디 상태가 매우 나빠서 대회를 치룰 수 없어서, 경기도 용인 소재 용인미르스타디움에서 홈경기를 치룰 것이다.
외부 링크
[편집]- AFC Champions League Two - 공식 웹사이트, the-AFC.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