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25년 AFC 챔피언스리그 엘리트 리그 단계

2024-25년 AFC 챔피언스리그 엘리트 리그 단계(영어: 2024–25 AFC Champions League Elite league stage)는 2024년 9월부터 2025년 2월까지 시행될 예정이다. 리그 단계에서 총 24개팀들이 경쟁해 16개팀들이 2024-25년 AFC 챔피언스리그 엘리트 결선 토너먼트 16강전에 진출한다.

진행 방식

[편집]

리그 단계에서 팀당 8경기씩 서부와 동부로 분리 진행된다. 승점은 승리시 승점 3점, 무승부시 승점 1점을 얻는다. 서부와 동부가 각각 상위 8팀들씩 16강전에 진출한다.

순위 결정 방식

[편집]

승점이 동률인 경우,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순위를 산정한다.[1]

  1. 승점이 같은 팀 간 경기에서 상대 전적이 앞서는 팀
  2. 승점이 같은 팀 간 경기에서 골득실차가 더 높은 팀
  3. 승점이 같은 팀 간 경기에서 다득점을 한 팀
  4. 1~4의 기준을 적용하였음에도 여전히 순위가 같으면 1~4 기준을 순위가 같은 팀 안에서 다시 적용한다. 그럼에도 순위가 같을 경우 아래의 기준을 따른다;
  5. 조별 리그에서의 골득실차
  6. 조별 리그에서의 다득점
  7. 승점이 같은 팀끼리의 승부차기
  8. 조별 리그에서 받은 경고와 퇴장으로 인한 점수가 가장 적은 팀 (경고 1점, 경고 누적 퇴장 3점, 직접 퇴장 3점, 경고 후 직접 퇴장 4점)
  9. 해당 팀이 소속된 국가의 AFC 랭킹

경기 일정

[편집]

조별리그의 경기 일정은 다음과 같다.

경기일 날짜 경기
경기일 1 2024년 9월 16-18일
경기일 2 2024년 9월 30일-10월 2일
경기일 3 2024년 10월 21-23일
경기일 4 2024년 11월 4-6일
경기일 5 2024년 11월 25-27일
경기일 6 2024년 12월 2-4일
경기일 7 2025년 2월 3-4일, 11-12일
경기일 8 2025년 2월 17-19일

서부 지역

[편집]
순위 경기 승점 통과 HIL AHL NSR SAD WAS EST RYN PAK PRS GHA SHO AIN
1 사우디아라비아 알힐랄 8 7 1 0 26 7 +19 22 16강전 진출 null null null null 3-0 null null 4-1 3-0 5–0 null
2 사우디아라비아 알 아흘리 8 7 1 0 21 8 +13 22 null null null null 2-2 null null 1–0 4-2 5-1 null
3 사우디아라비아 알나스르 8 5 2 1 17 6 +11 17 null null 1-2 4-0 null 2–1 null null null null 5-1
4 카타르 알사드 8 3 3 2 10 9 +1 12 1-1 1-3 null null 2–0 null null 1–0 null null null
5 아랍에미리트 알와슬 8 3 2 3 8 12 −4 11 0-2 0–2 null 1-1 null 1-1 null null null null null
6 이란 에스테글랄 8 2 3 3 8 9 −1 9 null null 0–1 null null null 0-0 null 3–0 1-1 null
7 카타르 알라이얀 8 2 2 4 8 12 −4 8 1–3 1–2 null null null 0-2 null 1-1 null null null
8 우즈베키스탄 파흐타코르 8 1 4 3 4 6 −2 7 null null null 2-1 0–1 null 0-1 null null null 1-1
9 이란 페르세폴리스 8 1 4 3 6 10 −4 7 null null 0-0 null null null null 1–1 1-1 2-1 null
10 카타르 알가라파 8 2 1 5 10 18 −8 7 null null 1-3 null 1–2 null null 1-0 null null 4–2
11 이라크 알쇼르타 8 1 3 4 7 17 −10 6 null null 1–1 null 1-3 null null 0–0 null null 2-0
12 아랍에미리트 알아인 8 0 2 6 11 22 −11 2 4–5 1-2 null 1–1 null null 1-2 null null null null
출처: 아시아 축구 연맹
순위 결정방식: 본선 리그 순위 결정 기준

결과 요약

[편집]
팀 1 결과 팀 2
경기일 1
알아인 아랍에미리트 1-1 카타르 알사드
알쇼르타 이라크 1-1 사우디아라비아 알나스르
에스테글랄 이란 3-0 카타르 알가라파
알 아흘리 사우디아라비아 1-0 이란 페르세폴리스
파흐타코르 우즈베키스탄 0-1 아랍에미리트 알와슬
알라이얀 카타르 1-3 사우디아라비아 알-힐랄
팀 1 결과 팀 2
경기일 2
알 사드 카타르 2-0 이란 에스테글랄
알 와슬 아랍에미리트 0-2 사우디아라비아 알 아흘리
페르세폴리스 이란 1-1 우즈베키스탄 파흐타코르
알 나스르 사우디아라비아 2-1 카타르 알 라이얀
알가라파 카타르 4-2 아랍에미리트 알 아인
알 힐랄 사우디아라비아 5-0 이라크 알 쇼르타
팀 1 결과 팀 2
경기일 3
알쇼르타 이라크 0-0 우즈베키스탄 파흐타코르
알 사드 카타르 1-0 이란 페르세폴리스
알 아인 아랍에미리트 4-5 사우디아라비아 알 힐랄
알 라이얀 카타르 1-2 사우디아라비아 알 아흘리
에스테글랄 이란 0-1 사우디아라비아 알 나스르
알가라파 카타르 1-2 아랍에미리트 알 와슬
팀 1 결과 팀 2
경기일 4
알 와슬 아랍에미리트 1-1 카타르 알 사드
알 아흘리 사우디아라비아 5-1 이라크 알 쇼르타
페르세폴리스 이란 1-1 카타르 알 가라파
알 힐랄 사우디아라비아 3-0 이란 에스테글랄
파흐타코르 우즈베키스탄 0-1 카타르 알 라이얀
알 나스르 사우디아라비아 5-1 아랍에미리트 알 아인
팀 1 결과 팀 2
경기일 5
알아인 아랍에미리트 1-2 사우디아라비아 알 아흘리
에스테글랄 이란 0-0 우즈베키스탄 파흐타코르
알 가라파 카타르 1-3 사우디아라비아 알 나스르
알 라이얀 카타르 1-1 이란 페르세폴리스
알 쇼르타 이라크 1-3 아랍에미리트 알 와슬
알 사드 카타르 1-1 사우디아라비아 알 힐랄
팀 1 결과 팀 2
경기일 6
페르세폴리스 이란 2-1 이라크 알 쇼르타
알 아흘리 사우디아라비아 2-2 이란 에스테글랄
알 와슬 아랍에미리트 1-1 카타르 알 라이얀
알 나스르 사우디아라비아 1-2 카타르 알 사드
파흐타코르 우즈베키스탄 1-1 아랍에미리트 알아인
알 힐랄 사우디아라비아 3-0 카타르 알 가라파
팀 1 결과 팀 2
경기일 7
알아인 아랍에미리트 1-2 카타르 알 라이얀
에스테글랄 이란 1-1 이라크 알 쇼르타
알 사드 카타르 1-3 사우디아라비아 알 아흘리
알 나스르 사우디아라비아 4-0 아랍에미리트 알 와슬
알 가라파 카타르 1-0 우즈베키스탄 파흐타코르
알 힐랄 사우디아라비아 4-1 이란 페르세폴리스
팀 1 결과 팀 2
경기일 8
알 아흘리 사우디아라비아 4-2 카타르 알 가라파
페르세폴리스 이란 0-0 사우디아라비아 알 나스르
알 쇼르타 이라크 2-0 아랍에미리트 알아인
파흐타코르 우즈베키스탄 2-1 카타르 알 사드
알 라이얀 카타르 0-2 이란 에스테글랄
알 와슬 아랍에미리트 0-2 사우디아라비아 알 힐랄

경기일 1

[편집]
알아인 아랍에미리트 1 - 1 카타르 알사드
마티아스 팔라시오 80분에 득점 80′ 아크람 아피프 45+1분에 득점 45+1′
관중: 18,926
심판: 타지키스탄 사둘로 굴무로디
알쇼르타 이라크 1 - 1 사우디아라비아 알나스르
모하메드 다우드 야신 24분에 득점 24′ 술탄 알가남 14분에 득점 14′
관중: 29,270
심판: 쿠웨이트 아흐메드 알-알리
에스테글랄 이란 3 - 0 카타르 알가라파
샤레 코즈 경기장, 샤레코즈
관중: 8,572
심판: 중국 마닝
알 아흘리 사우디아라비아 1 - 0 이란 페르세폴리스
프랑크 케시에 2분에 득점 2′
관중: 15,170
심판: 요르단 아담 마하드메
파흐타코르 우즈베키스탄 0 - 1 아랍에미리트 알와슬
수피안 부프티니 64분에 득점 64′
관중: 3750
심판: 일본 아라키 유스케
알라이얀 카타르 1 - 3 사우디아라비아 알힐랄
로제르 게드스 47분에 득점 47′
관중: 23,471
심판: 대한민국 김종혁

경기일 2

[편집]
알 사드 카타르 2 - 0 이란 에스테글랄
호세인 호세이니 40분에 득점 (상대 자책골) 40′ (자책골)
아크람 아피프 68분에 득점 68′ (페널티)
관중: 6599
심판: 대한민국 김종혁
페르세폴리스 이란 1 - 1 우즈베키스탄 파흐타코르
알리 알리푸르 1분에 득점 1′ 59분에 득점 59′ 드라간 체란
샤흐레 코즈 경기장, 쿠드스
관중: 6942
심판: 쿠웨이트 압둘라 자말리
알 와슬 아랍에미리트 0 - 2 사우디아라비아 알 아흘리
3분에 득점 3′ 리야드 마레즈
38분에 득점 38′ 로제르 이바녜스
자빌 스타디움, 두바이
관중: 5731
심판: 대한민국 김희곤
알 나스르 사우디아라비아 2 - 1 카타르 알 라이얀
사디오 마네 45+1분에 득점 45+1′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76분에 득점 76′
87분에 득점 87′ 호제르 게드스
사우드 국왕 대학교 경기장, 리야드
관중: 14,547
심판: 오스트레일리아 숀 에번스
알 가라파 카타르 4 - 2 아랍에미리트 알 아인
호셀루 45+2분, 48분에 득점 45+2′48′
세이두 사노 72분에 득점 72′
야신 브라히미 76분에 득점 76′
56분에 득점 56′ (페널티) 알레한드로 로메로
66분에 득점 66′ 수피안 라히미
관중: 3878
심판: 일본 기무라 히로유키
알 힐랄 사우디아라비아 5 - 0 이라크 알 쇼르타
마르쿠스 레오나르두 11분에 득점 11′
알렉산다르 미트로비치 15분에 득점 15′
살렘 알도사리 47분에 득점 47′
나세르 알도사리 73분에 득점 73′
모하메드 칸노 90+5분에 득점 90+5′
파이살 빈 파흐드 왕자 경기장, 리야드
관중: 12,434
심판: 오만 카심 마타르 알-하트미

경기일 3

[편집]
알 쇼르타 이라크 0 - 0 우즈베키스탄 파흐타코르
알 사드 카타르 1 - 0 이란 페르세폴리스
마테우스 우리베 45+2분에 득점 45+2′
관중: 4071
심판: 일본 아라키 유스케
알 아인 아랍에미리트 4 - 5 사우디아라비아 알 힐랄
관중: 42,126
심판: 말레이시아 나즈미 나사루딘
알 라이얀 카타르 1 - 2 사우디아라비아 알 아흘리
파하드 알 하마드 65분에 득점 65′ (자책골)
관중: 8377
심판: 쿠웨이트 아흐메드 알 알리
에스테글랄 이란 0 - 1 사우디아라비아 알 나스르
아이메릭 라포르테 81분에 득점 81′
관중: 7600
심판: 요르단 아담 마하드메
알 가라파 카타르 1 - 2 아랍에미리트 알 와슬
페르자니 사시 44분에 득점 44′
관중: 4831
심판: 대한민국 고형진

경기일 4

[편집]
알 와슬 아랍에미리트 1 - 1 카타르 알 사드
알렉시스 페레스 29분에 득점 29′ 로맹 사이스 61분에 득점 61′
관중: 3376
심판: 말레이시아 나즈미 나사루딘
알 아흘리 사우디아라비아 5 - 1 이라크 알 쇼르타
관중: 10,395
심판: 타지키스탄 사둘로 굴무로디
페르세폴리스 이란 1 - 1 카타르 알 가라파
파르샤드 파라지 53분에 득점 53′ 아흐메드 알 가네히 56분에 득점 56′
알 힐랄 사우디아라비아 3 - 0 이란 에스테글랄
알렉산다르 미트로비치 15분, 33분, 74분에 득점 15′33′74′
알 맘라카 아레나, 리야드
관중: 17,840
심판: 대한민국 고형진
파흐타코르 우즈베키스탄 0 - 1 카타르 알 라이얀
하젬 셰하타 51분에 득점 51′
관중: 2142
심판: 일본 이이다 줌페이
알 나스르 사우디아라비아 5 - 1 아랍에미리트 알 아인
벤투 56분에 득점 56′ (자책골)
관중: 23,324
심판: 중국 마닝

경기일 5

[편집]
알 아인 아랍에미리트 1 - 2 사우디아라비아 알 아흘리
알레한드로 로메로 90+3분에 득점 90+3′ 70분, 74분에 득점 70′74′ 아이번 토니
관중: 17,126
심판: 요르단 아담 마하드메
에스테글랄 이란 0 - 0 우즈베키스탄 파흐타코르
관중: 1208
심판: 오만 카심 알 하트미
알 가라파 카타르 1 - 3 사우디아라비아 알 나스르
호셀루 75분에 득점 75′ 46분, 64분에 득점 46′64′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58분에 득점 58′ 안젤루 가브리에우
관중: 37,293
심판: 오스트레일리아 숀 에번스
알 라얀 카타르 1 - 1 이란 페르세폴리스
아슈라프 벤샤르키 57분에 득점 57′ 17분에 득점 17′ 파르샤드 파라지
관중: 5136
심판: 중국 푸밍
알 쇼르타 이라크 1 - 3 아랍에미리트 알 와슬
파흐드 유세프 50분에 득점 50′ 14분에 득점 14′ 조나타스 산투스
64분에 득점 64′ (페널티) 파비우 비르지니우 지 리마
90+2분에 득점 90+2′ 니콜라스 히메네스
관중: 7643
심판: 일본 아라키 유스케
알 사드 카타르 1 - 1 사우디아라비아 알 힐랄
파울루 오타비우 71분에 득점 71′ 10분에 득점 10′ 알리 알불라이히
관중: 11,327
심판: 대한민국 김종혁

경기일 6

[편집]
페르세폴리스 이란 2 - 1 이라크 알 쇼르타
오스톤 우루노프 89분에 득점 89′
기오르기 그벨레시아니 90+13분에 득점 90+13′ (페널티)
19분에 득점 19′ 모하나드 알리
관중: 530
심판: 대한민국 김대용
알 아흘리 사우디아라비아 2 - 2 이란 에스테글랄
아이번 토니 45+8분, 86분에 득점 45+8′ (페널티)86′ (페널티) 42분에 득점 42′ 라파엘 다 시우바 아루다
51분에 득점 51′ 모하마드 호세인 에슬라미
관중: 16,099
심판: 중국 마닝
알 와슬 아랍에미리트 1 - 1 카타르 알 라얀
카이우 카네두 코헤아 77분에 득점 77′ 85분에 득점 (상대 자책골) 85′ (자책골) 살렘 알 아지지
관중: 3852
심판: 싱가포르 무함마드 타키
알 나스르 사우디아라비아 1 - 2 카타르 알 사드
로맹 사이스 80분에 득점 (상대 자책골) 80′ (자책골) 53분에 득점 53′ 아크람 아피프
90+9분에 득점 90+9′ (페널티) 아담 우나스
관중: 13,091
심판: 일본 아라키 유스케
파흐타코르 우즈베키스탄 1 - 1 아랍에미리트 알 아인
오타벡 조라코지예프 6분에 득점 6′ 49분에 득점 49′ 수피안 라히미
관중: 1,511
심판: 쿠웨이트 아흐마드 알 알리
알 힐랄 사우디아라비아 3 - 0 카타르 알 가라파
마르쿠스 레오나르두 18분에 득점 18′
알렉산다르 미트로비치 82분에 득점 82′
세르게이 밀린코비치사비치 85분에 득점 85′
알 맘라카 아레나, 리야드
관중: 18,344
심판: 요르단 아담 마하드메

경기일 7

[편집]
알 아인 아랍에미리트 1 - 2 카타르 알 라얀
카쿠 42분에 득점 42′ 50분에 득점 50′ 트레제게
75분에 득점 75′ 호제르 게드스
관중: 6326
심판: 사우디아라비아 할리드 살레 알-투라이스
에스테글랄 이란 1 - 1 이라크 알 쇼르타
조엘 코조 4분에 득점 4′ 49분에 득점 49′ 레완 아민
관중: 54,873
심판: 일본 아라키 유스케
알 사드 카타르 1 - 3 사우디아라비아 알 아흘리
아크람 아피프 1분에 득점 1′
관중: 9335
심판: 아랍에미리트 아델 알리 아흐메드 하미스 알 나크비
알 나스르 사우디아라비아 4 - 0 아랍에미리트 알 와슬
사우드 국왕 대학교 경기장, 리야드
관중: 20,384
심판: 오만 아흐메드 알-카프
알 가라파 카타르 1 - 0 우즈베키스탄 파흐타코르
페르자니 사시 40분에 득점 40′
관중: 1962
심판: 오스트레일리아 알리레자 파가니
알 힐랄 사우디아라비아 4 - 1 이란 페르세폴리스
기오르기 그벨레시아니 90분에 득점 90′ (페널티)
국왕 아레나, 리야드
관중: 24,460
심판: 중국 마닝

경기일 8

[편집]
파흐타코르 우즈베키스탄 2 - 1 카타르 알 사드
브라얀 리아스코스 18분, 56분에 득점 18′56′ 하산 알하이도스 37분에 득점 37′ (페널티)
심판: 오스트레일리아 숀 에번스
알 쇼르타 이라크 2 - 0 아랍에미리트 알 아인
알 자우라 경기장, 바그다드[note 1]
심판: 카타르 압둘라흐만 알 자심
페르세폴리스 이란 0 - 0 사우디아라비아 알 나스르
심판: 우즈베키스탄 루스탐 룻풀린
알 아흘리 사우디아라비아 4 - 2 카타르 알 가라파
심판: 아랍에미리트 오마르 알 알리
알 라얀 카타르 0 - 2 이란 에스테글랄
심판: 타지키스탄 사둘로 굴무로디
알 와슬 아랍에미리트 0 - 2 사우디아라비아 알 힐랄
심판: 쿠웨이트 아흐마드 알 알리

동부 지역

[편집]
순위 경기 승점 통과 FMA KWF JDT GWA VIS BUR SHS SHP POH UHD CCM SHT
1 일본 요코하마 F 마리노스 7 6 0 1 21 7 +14 18 16강전 진출 null null null null 5-0 1-0 null 2-0 4–0 null null
2 일본 가와사키 프론탈레 7 5 0 2 13 4 +9 15 null null 0–1 null null null 3-1 null null 2-0 4-0
3 말레이시아 조호르 다룰 탁짐 7 4 2 1 16 8 +8 14 null null null null 0-0 3–0 null 5-2 3-0 null null
4 대한민국 광주 FC 7 4 2 1 15 9 +6 14 7–3 null 3–1 null 2-2 1-0 null null null null null
5 일본 비셀 고베 7 4 1 2 14 9 +5 13 null null null 2-0 null null 4-0 null null 3-2 2–1
6 태국 부리람 유나이티드 8 3 3 2 7 12 −5 12 null 0-3 null null 0–0 null null 1-0 2-1 null null
7 중국 상하이 선화 8 3 1 4 13 12 +1 10 null 2-0 null null 4-2 null null 4−1 1-2 null null
8 중국 상하이 하이강 8 2 2 4 10 18 −8 8 0-2 null 2–2 1-1 null null null null null 3–2 null
9 대한민국 포항 스틸러스 7 2 0 5 9 17 −8 6 null 0-4 null null 3-1 null null 3–0 null null 4-2
10 대한민국 울산 HD 7 1 0 6 4 16 −12 3 null 0–1 null null 0-2 null null 1-3 null null 19 Feb
11 오스트레일리아 센트럴코스트 매리너스 7 0 1 6 8 18 −10 1 0-4 null 1-2 null null 1–2 2-2 null null null null
12 중국 산둥 타이산 0 0 0 0 0 0 0 0 기권[a] 2-2 null 1-0 3-1 null null null null null null 3–1
출처: AFC
순위 결정방식: 본선 리그 순위 결정 기준
비고:
  1. 2025년 2월 19일에, 산동 타이산이 마지막 경기 울산 HD 상대 원정경기를 경기 시작 2시간 전에 대회 포기외 기권을 선언하여서, 아시아 축구 연맹은 "산동 타이산은 AFC 챔피언스리그 엘리트 대회를 기권한 것으로 본 것"으로 선언하였다. 아시아 축구 연맹은 산동 타이산의 모든 경기들은 0-3 몰수패 선언할 것이다.

결과 요약

[편집]
팀 1 결과 팀 2
경기일 1
광주 대한민국 7-3 일본 요코하마 F 마리노스
산둥 타이산 중국 3-1 오스트레일리아 센트럴코스트 매리너스
부리람 유나이티드 태국 0-0 일본 비셀 고베
상하이 선화 중국 4-1 대한민국 포항 스틸러스
울산 HD 대한민국 0-1 일본 가와사키 프론탈레
상하이 하이강 중국 2-2 말레이시아 조호르 다룰 탁짐
팀 1 결과 팀 2
경기일 2
센트럴코스트 매리너스 오스트레일리아 1-2 태국 부리람 유나이티드
가와사키 프론탈레 일본 0-1 대한민국 광주
포항 스틸러스 대한민국 3-0 중국 상하이 하이강
조호르 다룰 탁짐 말레이시아 3-0 중국 상하이 선화
비셀 고베 일본 2-1 중국 산둥 타이산
요코하마 F 마리노스 일본 4-0 대한민국 울산 HD
팀 1 결과 팀 2
경기일 3
광주 대한민국 3-1 말레이시아 조호르 다룰 탁짐
상하이 하이강 중국 3-2 오스트레일리아 센트럴코스트 매리너스
산둥 타이산 중국 2-2 일본 요코하마 F 마리노스
부리람 유나이티드 태국 1-0 대한민국 포항 스틸러스
울산 HD 대한민국 0-2 일본 비셀 고베
상하이 선화 중국 2-0 일본 가와사키 프론탈레
팀 1 결과 팀 2
경기일 4
센트럴코스트 매리너스 오스트레일리아 2-2 중국 상하이 선화
가와사키 프론탈레 일본 3-1 중국 상하이 하이강
비셀 고베 일본 2-0 대한민국 광주 FC
조호르 다룰 탁짐 말레이시아 3-0 대한민국 울산 HD
포항 스틸러스 대한민국 4-2 중국 산둥 타이산
요코하마 F 마리노스 일본 5-0 태국 부리람 유나이티드
팀 1 결과 팀 2
경기일 5
비셀 고베 일본 3-2 오스트레일리아 센트럴코스트 매리너스
울산 HD 대한민국 1-3 중국 상하이 하이강
산둥 타이산 중국 1-0 말레이시아 조호르 다룰 탁짐
부리람 유나이티드 태국 0-3 일본 가와사키 프론탈레
광주 FC 대한민국 1-0 중국 상하이 선화
요코하마 F 마리노스 일본 2-0 대한민국 포항 스틸러스
팀 1 결과 팀 2
경기일 6
센트럴코스트 매리너스 오스트레일리아 0-4 일본 요코하마 F 마리노스
포항 스틸러스 대한민국 3-1 일본 비셀 고베
조호르 다룰 탁짐 말레이시아 0-0 태국 부리람 유나이티드
상하이 하이강 중국 1-1 대한민국 광주 FC
가와사키 프론탈레 일본 4-0 중국 산둥 타이산
상하이 선화 중국 1-2 대한민국 울산 HD
팀 1 결과 팀 2
경기일 7
센트럴코스트 매리너스 오스트레일리아 1-2 말레이시아 조호르 다룰 탁짐
비셀 고베 일본 4-0 중국 상하이 하이강
포항 스틸러스 대한민국 0-4 일본 가와사키 프론탈레
산둥 타이산 중국 3-1 대한민국 광주 FC
요코하마 F 마리노스 일본 1-0 중국 상하이 선화
부리람 유나이티드 태국 2-1 대한민국 울산 HD
팀 1 결과 팀 2
경기일 8
광주 FC 대한민국 2-2 태국 부리람 유나이티드
가와사키 프론탈레 일본 2-0 오스트레일리아 센트럴코스트 매리너스
조호르 다룰 탁짐 말레이시아 5-2 대한민국 포항 스틸러스
상하이 선화 중국 4-2 일본 비셀 고베
울산 HD 대한민국 취소 중국 산둥 타이산
상하이 하이강 중국 0-2 일본 요코하마 F 마리노스

경기일 1

[편집]
광주 FC 대한민국 7 - 3 일본 요코하마 F 마리노스
야시르 아사니 2분, 55분, 90+2분에 득점 2′55′90+2′
오후성 15분에 득점 15′
베카 미켈타제 68분에 득점 68′
이희균 72분에 득점 72′
가브리엘 티그랑 74분에 득점 74′
34분, 59분에 득점 34′59′ 에우베르
85분에 득점 85′ 니시무라 다쿠마
관중: 7126
심판: 오스트레일리아 알리레자 파가니
산둥 타이산 중국 3 - 1
무효
오스트레일리아 센트럴코스트 매리너스
비진하오 8분에 득점 8′
발레리 카자이슈빌리 74분, 88분에 득점 74′88′
45+9분에 득점 45+9′ 미카엘 도카
관중: 16,896
심판: 사우디아라비아 할리드 살레 알-투라이스
부리람 유나이티드 태국 0 - 0 일본 비셀 고베
관중: 16,793
심판: 싱가포르 무하마드 타키
상하이 선화 중국 4 - 1 대한민국 포항 스틸러스
안드레 루이스 64분에 득점 64′
세파스 말렐레 70분, 82분에 득점 70′82′ (페널티)
가오톈이 84분에 득점 84′
53분에 득점 53′ 조르지 테이셰이라
관중: 23,849
심판: 카타르 살만 아흐마드 팔라히
울산 HD 대한민국 0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