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년 동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

2005년 동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
2005 East Asian Football Championship
개최국대한민국
개최기간7월 31일 ~ 8월 7일
참가팀본선 4개국
예선5개국 (1개 대륙)
경기장본선 대전전주대구
예선 타이베이
결과
우승중국 중화인민공화국 (1번째 우승)
준우승 일본
3위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4위 대한민국
통계
최다 득점수상자 없음
최우수 선수중국 지밍위
« 2003
2008 »

2005년 동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동아시아 축구 연맹의 가맹국 남자 축구 국가대표팀들이 참가하는 동아시안컵의 제2회 대회이다. 2005년부터 동아시안컵에 여자부 대회가 별도로 창설되어 추후의 동아시안컵에서는 남자부 대회와 여자부 대회가 모두 열린다. 당해 대회와 동일한 성격의 여자부 대회로는 2005년 동아시아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가 있다.

대회는 예선 대회와 결승 대회로 구성된다. 예선 대회중화 타이베이에서 3월 5일부터 13일까지 개최되었다. 예선 대회에는 총 5개국이 출전하였고, 참가국은 1차례의 리그전을 통해 결승 대회에 진출할 1개국을 선발한다. 마카오국제 축구 연맹(FIFA)으로부터 자격 정지 처분을 받아 당해 대회에 불참하였다.

결승 대회대한민국에서 7월 31일부터 8월 7일까지 개최되었다. 동아시아 축구 연맹 가맹국 중에서 FIFA 랭킹 기준 상위 3개국 자격으로 대한민국, 일본, 중국은 결승 대회에 자동으로 진출한다. 결승 대회 자동 진출 3개국 및 예선 대회를 통과한 1개국은 1차례의 리그전을 통해 당해 대회의 승자를 결정한다.

예선 대회

[편집]

예선 대회중화 타이베이에서 3월 5일부터 13일까지 개최되었다. 예선 대회에는 총 5개국이 출전하였고, 참가국은 1차례의 리그전을 통해 결승 대회에 진출할 1개국을 선발한다. 마카오국제 축구 연맹(FIFA)으로부터 자격 정지 처분을 받아 당해 대회에 불참하였다.

경기장

[편집]

제2회 동아시안컵 예선 대회는 중화 타이베이중산 축구장에서 열렸다.

중산 축구장
중화 타이베이 타이베이
수용인원: 20,000명

대회 순위

[편집]
  결승 대회 진출
순위 국가 승점 경기
1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12 4 4 0 0 31 0 +31
2 홍콩 홍콩 9 4 3 0 1 26 2 +24
3 중화 타이베이 중화 타이베이 4 4 1 1 2 9 7 +2
4 몽골 몽골 4 4 1 1 2 4 13 -9
5 괌 0 4 0 0 4 1 49 -48

일정 및 결과

[편집]
중화 타이베이 중화 타이베이 9 – 0 괌
홍콩 홍콩 6 – 0 몽골 몽골

괌 0 – 15 홍콩 홍콩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6 – 0 몽골 몽골

몽골 몽골 4 – 1 괌

중화 타이베이 중화 타이베이 0 – 5 홍콩 홍콩
괌 0 – 21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수상 내역

[편집]
페어플레이상 최우수 골키퍼상 최우수 수비수상 득점상 MVP
몽골 몽골 홍콩 (No.19) 판춘입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No.5) 장석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No.11) 김광혁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No.15) 김영준

결승 대회

[편집]

결승 대회대한민국에서 7월 31일부터 8월 7일까지 개최되었다. 동아시아 축구 연맹 가맹국 중에서 FIFA 랭킹 기준 상위 3개국 자격으로 대한민국, 일본, 중국은 결승 대회에 자동으로 진출한다. 결승 대회 자동 진출 3개국 및 예선 대회를 통과한 1개국은 1차례의 리그전을 통해 당해 대회의 승자를 결정한다.

경기장

[편집]

제2회 동아시안컵 결승 대회는 대한민국대전월드컵경기장(대전 하나 시티즌 홈구장), 전주월드컵경기장(전북 현대 모터스 홈구장) 및 대구월드컵경기장(대구 FC 홈구장)에서 열렸다.

대전월드컵경기장 전주월드컵경기장 대구월드컵경기장
대한민국 대전 대한민국 전주 대한민국 대구
수용인원: 42,176명 수용인원: 42,477명 수용인원: 66,422명

선수 명단

[편집]

대회 순위

[편집]
순위 국가 승점 경기
1 중국 중화인민공화국 5 3 1 2 0 5 3 +2
2 일본 4 3 1 1 1 3 3 0
3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4 3 1 1 1 1 2 -1
4 대한민국 2 3 0 2 1 1 2 -1

일정 및 결과

[편집]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1 – 0 일본
리포트
관중: 23,150명
심판: 탄하이 (중국)

일본 2 – 2 중국 중화인민공화국
리포트
대한민국 0 – 0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리포트
관중: 27,455명
심판: 가레마니 모센 (이란)

대한민국 0 – 1 일본
리포트
관중: 42,753명
심판: 탄하이 (중국)

최종 순위

[편집]
순위 국가 경기 승점
1 중국 중화인민공화국 3 1 2 0 5 3 +2 5
2 일본 3 1 1 1 3 3 0 4
3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1 3 1 1 1 1 2 -1 4
4 대한민국 3 0 2 1 1 2 -1 2
▲ 결승 대회 진출
5 홍콩 홍콩 4 3 0 1 26 2 +24 9
6 중화 타이베이 중화 타이베이 4 1 1 2 9 7 +2 4
7 몽골 몽골 4 1 1 2 4 13 -9 4
8 괌 4 0 0 4 1 49 -48 0
▲ 예선 대회 진출
  1. 예선 대회에서 우승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경우 결승 대회에서의 성적만을 기재한다.

수상 내역

[편집]
페어플레이상 최우수 골키퍼상 최우수 수비수상 득점상 MVP
일본 대한민국 (No.1) 이운재 중국 (No.4) 장야오쿤 수상자 없음 중국 (No.16) 지밍위

기록과 통계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