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세계 태권도 선수권 대회
2017년 세계 태권도 선수권 대회 | |
---|---|
2017 세계 태권도 선수권 대회 | |
횟수 | 제23회 |
개최지 | ![]() |
경기장 | 태권도원 |
날짜 | 2017년 6월 22일 ~ 6월 30일 |
참가국 | 139 |
참가 선수 | 872 |
세부 종목 | 8(남 8, 여 8) |
대회 성적 | |
남자 우승국 | ![]() |
여자 우승국 | ![]() |
최다 메달 획득국 | ![]() |
이전 대회 / 다음 대회 | |
![]() | ![]() |
2017년 세계 태권도 선수권 대회는 23번째로 개최되는 세계 태권도 선수권 대회이다. 2017년 6월 22일 대한민국 전라북도 무주군에 위치한 태권도원에서 개최되었다.[1]
6월 17일 입국한 프랑스 선수단을 비롯하여, 역대 최대규모인 183개 국가 선수단이 참가하며, 난민 선수 1명도 참가한다. 선수들은 7일간 남녀 8체급, 총 16체급에서 승부를 겨룬다. 또한 장웅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위원을 비롯한 36명의 국제 태권도 연맹(ITF) 시범단이 참석하였다.[1][2][A]
조정원 세계 태권도 연맹(WTF) 총재가 개회사를 하고,[3] 문재인 대통령이 축사를 했다.[4] 한편, 앞서 6월 3일에는 무주군 일대에서 대회의 성공을 기원하는 걷기대회가 열리기도 하였다.[5]
남자
[편집]체급 | 금 | 은 | 동 |
핀급 (−54kg) | ![]() | ![]() | ![]() |
![]() | |||
플라이급 (−58kg) | ![]() | ![]() | ![]() |
![]() | |||
밴텀급 (−63kg) | ![]() | ![]() | ![]() |
![]() | |||
페더급 (−68kg) | ![]() | ![]() | ![]() |
![]() | |||
라이트급 (−74kg) | ![]() | ![]() | ![]() |
![]() | |||
웰터급 (−80kg) | ![]() | ![]() | ![]() |
![]() | |||
미들급 (−87kg) | ![]() | ![]() | ![]() |
![]() | |||
헤비급 (+87kg) | ![]() | ![]() | ![]() |
![]() |
여자
[편집]체급 | 금 | 은 | 동 |
핀급 (−46kg) | ![]() | ![]() | ![]() |
![]() | |||
플라이급 (−49kg) | ![]() | ![]() | ![]() |
![]() | |||
밴텀급 (−53kg) | ![]() | ![]() | ![]() |
![]() | |||
페더급 (−57kg) | ![]() | ![]() | ![]() |
![]() | |||
라이트급 (−62kg) | ![]() | ![]() | ![]() |
![]() | |||
웰터급 (−67kg) | ![]() | ![]() | ![]() |
![]() | |||
미들급 (−73kg) | ![]() | ![]() | ![]() |
![]() | |||
헤비급 (+73kg) | ![]() | ![]() | ![]() |
![]() |
메달 집계
[편집]순위 | 국가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합계 |
---|---|---|---|---|---|
1 | ![]() | 5 | 1 | 4 | 10 |
2 | ![]() | 2 | 1 | 0 | 3 |
3 | ![]() | 2 | 0 | 0 | 2 |
4 | ![]() | 1 | 4 | 2 | 7 |
5 | ![]() | 1 | 1 | 3 | 5 |
6 | ![]() | 1 | 0 | 3 | 4 |
7 | ![]() | 1 | 0 | 1 | 2 |
8 | ![]() | 1 | 0 | 0 | 1 |
![]() | 1 | 0 | 0 | 1 | |
![]() | 1 | 0 | 0 | 1 | |
11 | ![]() | 0 | 3 | 1 | 4 |
12 | ![]() | 0 | 2 | 0 | 2 |
13 | ![]() | 0 | 1 | 2 | 3 |
14 | ![]() | 0 | 1 | 1 | 2 |
15 | ![]() | 0 | 1 | 0 | 1 |
![]() | 0 | 1 | 0 | 1 | |
17 | ![]() | 0 | 0 | 2 | 2 |
18 | ![]() | 0 | 0 | 1 | 1 |
![]() | 0 | 0 | 1 | 1 | |
![]() | 0 | 0 | 1 | 1 | |
![]() | 0 | 0 | 1 | 1 | |
![]() | 0 | 0 | 1 | 1 | |
![]() | 0 | 0 | 1 | 1 | |
![]() | 0 | 0 | 1 | 1 | |
![]() | 0 | 0 | 1 | 1 | |
![]() | 0 | 0 | 1 | 1 | |
![]() | 0 | 0 | 1 | 1 | |
![]() | 0 | 0 | 1 | 1 | |
![]() | 0 | 0 | 1 | 1 | |
![]() | 0 | 0 | 1 | 1 | |
합계 | 16 | 16 | 32 | 64 |
팀 순위
[편집] 남자[편집]
| 여자[편집]
|
각주
[편집]- 내용
- ↑ 국제 태권도 연맹 시범단의 참석은 지난 2014년 하계 청소년 올림픽때, 세계 태권도 연맹(WTF)과 국제 태권도 연맹(ITF) 양 측이 맺은 합의의정서에 따른 것이다.[1]
- 출처
- ↑ 가 나 다 오종택 (2017년 6월 24일). “[무주 세계태권도]조정원 WTF 총재 "9월 방북 기대, ITF와 많은 대화 나눌 것"”. 《뉴시스》 (무주). 2017년 6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6월 25일에 확인함.
- ↑ 김동규 (2017년 6월 17일). “무주 세계태권도선수권대회…프랑스 선수단 첫 입국”. 《뉴스1》 (무주). 2017년 6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6월 25일에 확인함.
- ↑ 김주형 (2017년 6월 24일). “개회사 하는 조정원 세계태권도연맹 총재”. 《연합뉴스》 (무주). 2017년 6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6월 25일에 확인함.
- ↑ 박경준 (2017년 6월 24일). “[전문] 文대통령 '2017 세계태권도선수권대회' 축사”. 《연합뉴스》 (서울). 2017년 6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6월 25일에 확인함.
- ↑ 이윤승 (2017년 6월 3일). “무주세계태권도선수권대회 성공기원 숲길 걷기행사”. 《연합뉴스》 (무주). 2017년 6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6월 25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