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46년 오스트레일리아 의회 선거
|
|
| 선출의석: 76석 과반의석: 39석 | 투표율 | 94.0% | | 제1당 | 제2당 | | | | 지도자 | 벤 치플리 | 로버트 멘지스 | 정당 | 노동당 | 보수연립 | 지도자 취임 | 1945년 7월 13일 | 1943년 9월 23일 | 지도자 선거구 | 매쿼리 | 쿠용 | 이전 선거 결과 | 49석, 50.20% | 23석, 30.44% | 획득한 의석수 | 43석 | 29석 | 의석 증감 | 6석 | 6석 | 득표수 | 2,159,953 | 1,896,349 | 득표율 | 49.71% | 43.65% | 득표율 증감 | 0.49%p | 13.21%p | |
|
1946년 오스트레일리아 의회 선거는 전체 76석의 하원의원과 19석의 상원의원을 선출하기 위해 1946년 9월 28일에 시행되었다. 선거가 시행되기 1년 전에 존 커틴이 사망하자 노동당은 재무장관이었던 벤 치플리를 총리로 세웠다. 그사이 로버트 멘지스는 자유당을 새로 창당해 지역당과 선거 연합을 결성하였다. 선거 결과 노동당이 과반수를 확보해 재집권에 성공하였다. 치플리는 이 결과에 고무되어 개혁 법안을 통과시키기 시작하였다. 이 선거에서는 사회 개혁과 관련된 국민투표가 같이 시행되었다. 또한, 노동당이 큰 승리를 거두었지만 커틴이 죽은 후 8일 동안 임시 총리를 역임했던 프랭크 포드는 자신의 선거구에서 낙선하였다.
정당 | 득표수 | % | +/- | 의석 | +/- |
| 노동당 | 2,159,953 | 49.71 | –0.49 | 43 | –6 |
| 자유당 | 1,431,682 | 32.95 | +11.05 | 18 | +4 |
| 국민당 | 464,667 | 10.70 | +2.16 | 11 | +2 |
| 노동당 랑파 | 69,138 | 1.59 | +0.87 | 1 | +1 |
| 공산당 | 64,811 | 1.49 | –0.49 | 0 | ±0 |
| 서비스당 | 55,140 | 1.27 | +1.27 | 0 | ±0 |
| 프로테스탄트 인민당 | 20,111 | 0.46 | +0.46 | 0 | ±0 |
| 무소속 | 79,040 | 1.82 | –10.33 | 0 | –1 |
선호투표 |
| 노동당 | – | 54.10 | –4.10 | 43 | –6 |
| 보수연립 | – | 45.90 | +4.10 | 29 | +6 |
합계 | 4,344,542 | 100 | 0 | 74 | 0 |
득표율 | | | | | | 노동당 | | 49.71% | 자유당 | | 32.95% | 국민당 | | 10.70% | 노동당 랑파 | | 1.59% | 무소속·기타 정당 | | 5.05% | |
의석 비율 | | | | | | 노동당 | | 58.11% | 자유당 | | 24.32% | 국민당 | | 14.86% | 노동당 랑파 | | 1.35% | 무소속·기타 정당 | | 1.35% | |
후보 | 정당 | 경력 | 선거구 | 득표율 |
| 프랭크 포드 | 노동당 | 전 총리 | 캐프리코니아 | 47.1% |
정당 | 득표수 | % | +/- | 선출 의석 | 의석수 | +/- |
| 노동당 | 2,133,272 | 52.06 | –3.02 | 16 | 33 | +11 |
| 국민당-자유당 | 1,561,718 | 38.12 | N/A | 3 | – | – |
| 자유당 | 213,304 | 5.21 | N/A | 0 | 2 | –10 |
| 국민당 | – | – | – | 0 | 1 | –1 |
| 서비스당 | 37,724 | 0.92 | +0.92 | 0 | 0 | ±0 |
| 프로테스탄트 인민당 | 123,541 | 3.02 | +3.02 | 0 | 0 | ±0 |
| 무소속 | 27,767 | 0.68 | –3.83 | 0 | 0 | ±0 |
합계 | 4,097,326 | 100 | 0 | 19 | 36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