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년 오스트레일리아 의회 선거
![]() | |||||||||||||||||||||||||||||||||||||||||||||||||||
2007년 오스트레일리아 총선 | |||||||||||||||||||||||||||||||||||||||||||||||||||
| |||||||||||||||||||||||||||||||||||||||||||||||||||
| |||||||||||||||||||||||||||||||||||||||||||||||||||
|
2007년 오스트레일리아 총선(2007년 오스트레일리아 국회의원 총선거, The Australian Federal Election, 2007)는 2007년 11월 24일에 오스트레일리아의 연방하원의원과 연방상원의원을 선출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선거 결과
[편집]
정당명 | 득표수 | 득표율(%) | 증감폭(%) | 의석수 | 증감(변화) | |
---|---|---|---|---|---|---|
노동당 | 5,388,147 | 43.38 | +5.74 | 83 | +23 | |
자유당/국민당 연합 | 4,506,236 | 36.28 | –4.19 | 55 | –20 | |
녹색당 | 967,781 | 7.79 | +0.60 | 0 | 0 | |
국민당 | 682,424 | 5.49 | –0.40 | 10 | –2 | |
가족중심당 | 246,792 | 1.99 | –0.02 | 0 | 0 | |
민주당 | 89,810 | 0.72 | –0.52 | 0 | 0 | |
무소속 | 275,135 | 2.22 | –0.24 | 2 | –1 | |
기타 | 263,495 | 2.12 | –0.98 | 0 | 0 | |
계 | 12,419,863 | 150 | ||||
노동당 | 승리 | 52.56 | +5.31 | 83 | +23 | |
자유당/국민당 연합 | 47.44 | –5.31 | 65 | –22 |
무소속은 2석(-1)이다.
정당명 | 득표수 | 득표율(%) | 증감폭(%) | 선출의석 | 최종의석 | 증감(변화) | |
---|---|---|---|---|---|---|---|
노동당 | 5,101,200 | 40.30 | +5.28 | 18 | 32 | +4 | |
자유당/국민당 연합 (Joint Ticket) | 3,883,479[1] | 30.68 | –3.55 | ||||
자유당 | 1,110,366[1] | 8.77 | –1.63 | 15 | 32 | -1 | |
국민당 | 20,997[1] | 0.17 | +0.06 | 2 | 4 | -1 | |
녹색당 | 1,144,751 | 9.04 | +1.37 | 3 | 5 | +1 | |
가족중심당 | 204,788 | 1.62 | –0.14 | 0 | 1 | 0 | |
민주당 | 162,975 | 1.29 | –0.80 | 0 | 0 | -4 | |
폴린의 통합오스트레일리아당(극우) | 141,268 | 1.12 | * | 0 | 0 | 0 | |
지역자유당 | 40,253 | 0.32 | –0.03 | 1 | 1 | 0 | |
기타 | 814,515 | 6.64 | –1.73 | 1 | 1 | +1 | |
계 | 12,656,805 | 40 | 76 |
무소속은 닉 제노폰(도박금지당, SA주) 1석이다.
- 자세한 선거방식 설명은 '오스트레일리아의 정치'를 클릭.
주요 사건
[편집]- 10월 14일, 존 하워드 연방총리가 제40대 연방의회의 해산과 재선출을 위한 총선거 실시를 공표하였다.[2]
- 10월 21일, 각 정파를 대표하여 자유당/국민당 연합의 존 하워드와 노동당의 케빈 러드가 총리후보 양자토론을 벌였다.
- 11월 7일, 역대 선거운동기간도중 사상 최초로, 인플레이션을 우려한 오스트레일리아 연방 준비 은행은 0.25%의 이자율(6.5%에서 6.75%, 최근 10년동안 최고치)을 인상하였다.[3]
- 11월 중순, 주요 영역(경제, 보건복지, 노동, 환경, 외교 등)별로 장관후보자들의 양자토론이 개최되었다.
- 11월 24일, 전국적으로 일제히 총선거가 실시되었다. 투표는 오스트레일리아동부시간 기준으로 오전 8시부터 오후 6시(한국시간으로 오전 6시 - 오후 4시)까지 실시되었고, 종료 직후부터 각 지역별로 개표가 진행되었다. 그날 밤, 시간이 지날수록 패색이 짙어진 존 하워드 총리는 집권 자유당/국민당 연합의 패배선언을 통해 사실상의 정계은퇴를 선언하였고, 그 직후 케빈 러드는 자신의 고향인 브리즈번에서 선거 승리를 선언하였다.[4] 해외 및 우편 등의 부재자투표는 2주 후인 12월 8일까지 개표될 예정이며, 그 즉시 최종 선거결과가 발표된다.
- 11월 22일, 새 정부의 장관 인선을 위한 노동당 임시회의가 수도 캔버라에서 개최되었다. 오랜 관례에 따라, 노동당 부지도자인 줄리아 길라드가 제14대 오스트레일리아 부총리 겸 교육, 노동(근로관계)부 장관에 지명되었다.
- 12월 3일, 오스트레일리아 총독의 임명(행정절차)을 받아 케빈 러드가 제26대 오스트레일리아 연방총리에 취임하였다.
핵심 쟁점
[편집]다음 사항은 이번 선거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한 사항을 나열했다. 여론조사는 7월 14일 '디 오스트레일리안'(The Australian)신문의 조사결과를 참조했다.[3]
핵심 선거 공약
[편집]
- 경제를 튼튼하게
- 오스트레일리아를 안전하게
- 선거공약을 성실히 이행하기
- 머리강-달링강 수자원 계획(가뭄 대처 방안)
- 연방 정부 차원의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 과거사 사죄 문제 논의 개시
핵심 인물
[편집]- 존 하워드 - 제25대 총리이자, 보수진영 전체를 대표하여 이번 선거를 진두지휘했다.
- 마크 베일(Mark Valie) - 당시 부총리이자, 연립정권의 동반자인 국민당의 대표로서 이번 선거를 이끌었다.
- 피터 코스텔로(Peter Costello) - 당시 재무장관이자, 자유당 부지도자로서 이번 선거기간기간도중 하워드 총리가 낙선할 경우 그의 후계자로 그를 지목하였으나, 선거패배의 책임을 지고 사실상 정계은퇴(2010년 국회의원 재선출마 포기)했다.
- 말콤 턴볼(Malcom Turnboll) - 당시 환경장관으로서, 전국적 열세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지역구에서 크게 선전, 지역구 방어에 성공하며 차기 자유당/국민당 연합의 지도자로 유력했으나, 11월 28일의 자유당 지도자 선거에서 온건파의 수장 브랜던 넬슨 전 국방장관에게 42 대 45(표)로 패하였다.
- 케빈 러드 - 제26대 총리이자 노동당의 지도자로서, 진보진영 전체를 대표하여 이번 선거를 진두지휘했다.
- 줄리아 길라드 - 변호사 출신으로서, 노동당의 부지도자(러닝메이트) 겸 예비내각의 노동문제 대변인으로 활약하였다. 이번 선거의 승리로, 오스트레일리아 여성으로는 건국 이래 최고위직인 부총리직에 취임하였다.
- 웨인 스완(Wayne Swan) - 새 정부의 재무장관(선거당시 노동당 예비내각의 재정문제 대변인)이나, 장관 후보자 정책 토론에서 열세를 기록한 유일한 자당소속 정치인이다.
- 피터 가렛(Peter Garrett) - 새 정부의 환경 및 문화장관(선거당시 예비내각의 환경 및 문화 대변인)이다. 정치입문 전에는 '미드나잇 오일'밴드의 보컬이었다.
- 맥신 맥큐(Maxine McKew) - 한때 자유당/국민당 연합 지지자로부터 살해위협을 받기도 했던 오스트레일리아 방송 공사의 언론인 출신의 정치신인[7]으로서, 33년간 존 하워드의 지역구였던 시드니의 '베넬롱'(Bennelong) 지역구에서 노동당 창당 이후 최초의 승리를 거두었다.[8] 새 정부의 대변인으로 지명되었다.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가 나 다 오스트레일리아의 독특한 선거방식 중 하나로, 연합 소속의 자유당과 국민당은 NSW, VIC, QLD주에서 연합공천하여 선거에 출마한다. 그러나 이들은 SA, WA주에서는 독자출마하며, TAS주와 ACT에서는 자유당만, 그리고 NT에서는 지역자유당만이 상원의원선거에 출마한다.
- ↑ 오스트레일리아 총선 내달 24일 실시(종합)[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연합뉴스, 2007년 10월 14일작성
- ↑ 가 나 (D-1) '정책대결' 대 '먹칠작전' 누가 셀까? 보관됨 2007-11-27 - 웨이백 머신, 오마이뉴스, 2007년 11월 23일작성
- ↑ 오스트레일리아 ‘중도좌파’ 11년 만에 집권, 한겨레, 2007년 11월 25일작성
- ↑ 재선시 하워드 총리가 밝힌 5대 핵심 의제(영어), 오스트레일리아 방송 공사, 2007년 11월 21일작성
- ↑ 오스트레일리아의 미래를 위한 계획 보관됨 2007-10-12 - 웨이백 머신(영어), KEVIN07.com.au, 2007년 10월 작성
- ↑ 하워드 총리에 도전장 던진 여성 언론인 살해협박 당해[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국민일보, 2007년 3월 3일작성
- ↑ 호주 12년 만에 정권교체... 노동당 집권 보관됨 2016-06-12 - 웨이백 머신, 부산일보, 2007년 11월 26일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