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25년 전국동계체육대회
1925년 전국동계체육대회 | |
---|---|
대회 | 제6회 전국동계체육대회 |
개최국 | ![]() |
개최지 | 경기도 경성부 |
참가 선수 | 63명 (남자: 63명) |
경기 종목 | 1개 종목, 12개 세부 종목 |
개막식 | 1925년 1월 5일 |
폐막식 | 1925년 1월 5일 |
주경기장 | 한강 |
1925년 전국동계체육대회 스피드스케이팅 ![]() | ||
---|---|---|
청년부 | ||
100m | 남자 | |
400m | 남자 | |
600m | 남자 | |
800m | 남자 | |
학생부 | ||
100m | 남자 | |
300m | 남자 | |
400m | 남자 | |
600m | 남자 | |
800m | 남자 | |
1500m | 남자 | |
5000m | 남자 | |
800m 계주 | 남자 |
1925년 전국동계체육대회는 1925년 1월 5일에 일제강점기 조선 경성부에서 개최된 전국동계체육대회이다. 1925년에 개최된 제1회 전조선빙상경기대회를 1925년 전국동계체육대회로 인정하고 있다. 제1회 전조선빙상경기대회가 1925년 1월 5일에 얼어붙은 한강에서 개최되면서 1925년 전국동계체육대회가 개최되었다.[1][2]
대회 진행
[편집]1925년 전국동계체육대회는 스피드 스케이팅 종목만 진행되었으며 1925년 1월 5일 오후 1시부터 오후 5시까지 얼어붙은 한강에서 개최되었다.[1] 자료에 따라 진행된 세부 종목의 수와 종류가 다르다. 대한체육회의 전국체육대회 전산 데이터베이스에 따르면 당시 12개 세부 종목으로 진행된 것으로 기록되어 있고,[3] 당시 보도된 동아일보의 1925년 1월 7일자 기사에 따르면 장애물 경기와 계주 경기는 경찰의 제지로 진행되지 못한 채 14개 세부 종목으로 진행된 것으로 기록되어 있으며,[4] 대한체육회 90년사에 따르면 학생부와 청년부 종목의 종류는 불분명한 채 9개 세부 종목으로 진행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2] 이 대회에서 청년부에 출전한 평양의 박유돈이 800m, 1500m, 5000m 종목에서 각각 우승하며 3관광을 달성했다.[2]
한편, 대회 당시 날씨가 포근하여 얼음이 두껍지 않아 많은 사람들이 몰리면 얼음이 깨져 위험할 수 있다는 판단으로 경찰이 대회 중지를 명했다.[2] 하지만 조선체육회 측은 선수 63명만 얼음 위에 입장시킨다는 조건으로 경찰을 설득하여 대회를 진행했다.[2] 대한체육회 90년사에 따르면 300m, 600m, 800m 계주 종목은 후진부 종목으로 진행되었다.[2]
스피드스케이팅
[편집]청년부
[편집]남자 100m
[편집]순위 | 선수 | 소속 | 기록 |
---|---|---|---|
![]() | 강봉삼 | 평양 | 12.0 |
![]() | 김만덕 | 경성 | 불명 |
남자 400m
[편집]순위 | 선수 | 소속 | 기록 |
---|---|---|---|
![]() | 강봉삼 | 평양 | 47.0 |
![]() | 정원석 | 평양 | 불명 |
남자 600m
[편집]순위 | 선수 | 소속 | 기록 |
---|---|---|---|
![]() | 정갑수 | 경성 | 1:42 |
![]() | 고희서 | 경성 | 불명 |
남자 800m
[편집]순위 | 선수 | 소속 | 기록 |
---|---|---|---|
![]() | 박유돈 | 평양 | 1:38 |
![]() | 고희서 | 경성 | 1:48.0 |
불명 | 강기연 | 불명 | 불명 |
학생부
[편집]남자 100m
[편집]순위 | 선수 | 소속 | 기록 |
---|---|---|---|
![]() | 유흥린 | 배재 | 13.1 |
![]() | 이경구 | 기청 | 불명 |
남자 300m
[편집]순위 | 선수 | 소속 | 기록 |
---|---|---|---|
![]() | 장지언 | 고예 | 49.0 |
![]() | 정진원 | 보성 | 불명 |
남자 400m
[편집]순위 | 선수 | 소속 | 기록 |
---|---|---|---|
![]() | 박유초 | 광성 | 47.0 |
![]() | 이복남 | 양정 | 불명 |
남자 600m
[편집]순위 | 선수 | 소속 | 기록 |
---|---|---|---|
![]() | 정진원 | 보성 | 1:40.0 |
![]() | 장지언 | 고예 | 불명 |
남자 800m
[편집]순위 | 선수 | 소속 | 기록 |
---|---|---|---|
![]() | 이복남 | 양정 | 1:45.0 |
![]() | 박유초 | 광성 | 불명 |
남자 1500m
[편집]순위 | 선수 | 소속 | 기록 |
---|---|---|---|
![]() | 이복남 | 양정 | 3:25.0 |
![]() | 박유초 | 광성 | 불명 |
남자 5000m
[편집]순위 | 선수 | 소속 | 기록 |
---|---|---|---|
![]() | 이복남 | 양정 | 14:1.1 |
![]() | 박유초 | 광성 | 불명 |
![]() | 정진원 | 보성 | 불명 |
남자 800m 계주
[편집]순위 | 선수 | 소속 | 기록 |
---|---|---|---|
![]() | 불명 | 배재고등보통학교 | 불명 |
각주
[편집]참고 문헌
[편집]- 대한체육회 (1990). 《대한체육회 70년사》.
- 대한체육회 (2011). 《대한체육회 90년사》.
- “제6회 전국동계체육대회 스피드스케이팅 경기 결과”. 대한체육회.
외부 링크
[편집]전국동계체육대회 | ||
1925년 전국동계체육대회 경성 1925 | 다음 대회 | |
경성 1926 |
전국체육대회 스피드스케이팅 | ||
1925년 전국동계체육대회 스피드스케이팅 경성 1925 | 다음 대회 | |
경성 19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