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불교법화종 한국의 불교 역사 삼국 고구려 백제 신라 남북국 고려 조선 현대 사상 이제합명 불국토 호국 일심 화쟁 무애 화엄 유식 정토 교관 정혜 무심 돈오점수 돈오돈수 인물 승랑 원광 겸익 자장 도현 보덕 원측 원효 의상 도선 제관 의천 복세 지눌 나옹 야운 휴정 경허 학눌 청담 성철 탁성 숭산 종파 · 목록 5교9산 5교양종 선교양종 조계종 조동종 진각종 진언종 천태종 태고종 대장경 · 소의경전 고려대장경 금강경 법화경 화엄경 논서 · 주석서 간화결의 금강삼매 기신론소 직지심체 정혜결사 천태사교 해심밀경소 법계도 사찰 삼보사찰 오대총림 분황사 황룡사 vte 한국불교 법화종(韓國佛敎法華宗)은 1969년 5월 31일 서울 성북구 삼선동 2가 233 소재 법화사(法華寺)에서 김혜선(金慧宣) 스님이 창종하였으며 법화사상계에 속한 한국불교의 한 종파이다.[1] 석가모니불을 본존불로, 대각국사를 종조로, 《묘법연화경》을 소의경전으로 삼는다.[1] 종지(宗旨)는 구원실성(久遠實成) 본불인 시아본사 석가모니불의 근본교리를 봉지하고 광도중생함에 있다.[1] 《법화경요품》을 종전으로 하고 있다.[1] 각주[편집] ↑ 가 나 다 라 종교·철학 > 한국의 종교 > 한국의 불교 > 한국불교의 종파 > 한국불교법화종,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참고 문헌[편집]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한국불교법화종" 항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vte대한민국의 불교 종단 국제불교 일화종 국제불교 조계종 대승불교 관음종 대승불교 달마종 대승불교 법왕종 대중불교 조계종 대한불교 관음종 대한불교 교화선종 대한불교 달마선종 대한불교 대각종 대한불교 대명종 대한불교 대승연화종 대한불교 대승종 대한불교 대원종 대한불교 대한일월종 대한불교 무량종 대한불교 미륵대종 대한불교 미륵선종 대한불교 미륵용화종 대한불교 미륵종 대한불교 미타종 대한불교 법륜종 대한불교 법사종 대한불교 법상종 대한불교 법안종 대한불교 법천종 대한불교 법화본종 대한불교 법화종 대한불교 보문종 대한불교 본원종 대한불교 불입종 대한불교 삼론종 대한불교 선교종 대한불교 선화종 대한불교 성도종 대한불교 연화불종 대한불교 연화종 대한불교 열반종 대한불교 영산법화종 대한불교 용화미륵종 대한불교 용화종 대한불교 원각선교종 대한불교 원융종 대한불교 원효종 대한불교 일광종 대한불교 일붕선교종 대한불교 일승종 대한불교 자비종 대한불교 정토종 대한불교 조계선종 대한불교 조계종 대한불교 조동종 대한불교 진각종 대한불교 진언종 대한불교 천지종 대한불교 천태종 대한불교 초심교종 대한불교 총화종 대한불교 태선종 대한불교 해동달마종 대한불교 해동종 대한불교 해동평화종 대한불교 해인종 대한불교 해탈종 대한불교 화엄종 대한불법 안명산 묘법사 대한신불교 천우종 대한연합불교 조계종 도솔천 유마종 미주불교 법화종 보국불교 염불종 불교 총지종 불승종 선학원 세계불교 법륜종 세계불교 법왕종 세계불교 법왕청토속금강종 세계불교 일화종 세계불교 지장종 세계불교 평화종 용화불교 유법종 진언불교 지송종 천화불교 한국SGI 한국근본불교 조계종 한국대승불교 여래종 한국불교 금강종 한국불교 금강종 한국불교 달마종 한국불교 법화종 한국불교 원각종 한국불교 원효종 한국불교 일월무량종 한국불교 정토종 한국불교 조선종 한국불교 조화세계종 한국불교 천일종 한국불교 태고종 한국불교 토속금강종 한국토속불교 미타정토종 한민족불교 한세계인류 성도종 해동불교 정토종 해동불교 조계종 해동불교 평화종 vte 불교 종파 인도 불교 원시 불교 · 소승20부·부파불교《설일체유부 · 경량부》 · 상좌부 불교 · 대중부 불교 · 대승 불교《중관파 · 유식유가행파 · 밀교》 일본 불교 남도육종《구사종 · 법상종 · 삼론종 · 성실종 · 율종 · 화엄종》 · 선종《보화종 · 일본달마종 · 임제종 · 조동종 · 황벽종》 · 일련종 · 일련정종 · 정토진종 · 진언종·밀교 · 천태종 중국 불교 밀교 · 법상종 · 비담종 · 삼계교 · 삼론종 · 선종《법안종 · 운문종 · 위앙종 · 임제종 · 조동종》 · 섭론종 · 성실종 · 열반종 · 율종 · 정토종 · 지론종 · 천태종 · 화엄종 티베트 불교 닝마파 · 사캬파 · 까귀파 · 까담파 · 겔룩파 · 조낭파 한국 불교 신라·고려의 5교《계율종 · 법상종 · 법성종 · 열반종 · 원융종》 · 기타《정토교 · 진언종·신인종·밀교》 신라·고려의 9산《가지산 · 도굴산 · 동리산 · 봉림산 · 사자산 · 성주산 · 수미산 · 실상산 · 희양산》 고려 중기 이후의 5교 양종 《남산종 · 자은종 · 중도종 · 시흥종 · 화엄종 / 조계종 · 천태종》 고려말· 조선초의 11종과 7종 《시흥종 · 자은종 · 조계종 · 중신종 · 천태종 · 총남종 · 화엄종》 조선 세종 이후의 선교 양종《선종 · 교종》일제 강점기의 31 본산현대·통불교《조계종 · 조동종 · 진각종 · 천태종 · 태고종》 현대 한국 불교의 경우 각 종파는 해당 문서가 존재하는 경우에만 포함되어 있다. (참고: 틀:대한민국의 불교 종단) vte불교붓다 여래 탄생일 사문유관 가족 《슈도다나(아버지) 마야 부인(어머니) 야소다라(부인) 라후라(아들)》 기본 사상 윤회 깨달음 《해탈 열반 반야 보리 성불》 삼보 《불 법 승》 사성제 팔정도 중도 세계관삼계 욕계 색계 무색계 십법계미계(迷界) 3계 내의 육도 윤회: 지옥도 축생도 아귀도 아수라도 인간도 천상도 오계(悟界) 성문계 연각계 보살계 불계 경전삼장 경장 율장 논장 대장경 팔리어 대장경 한역대장경 고려대장경 신수대장경 티베트 대장경 거란대장경 경장 금강경 능가경 반야경 법화경 화엄경 유마경 승만경 율장 사분율 논장 구사론 대비바사론 대승기신론 대지도론 중론 유가사지론 청정도론 부처님 당시붓다와 십대제자 고타마 붓다 ① 가전연 ② 대가섭 ③ 나후라 ④ 목건련 ⑤ 부루나 ⑥ 사리불 ⑦ 수보리 ⑧ 아나률 ⑨ 아난타 ⑩ 우바리 부처 과거 칠불 《비바시불 시기불 비사부불 구류손불 구나함모니불 가섭불 연등불》 석가모니불 보살 관세음보살 문수보살 미륵보살 보현보살 지장보살 기타 인물 난타 마하파자파티 참마 우파라반나 부다고사 나가세나 종파 원시 불교 상좌부 부파 불교 대승 《일련종 정토종 중관파 유가행파 천태종》 선종 《임제종 조동종》 금강승 《티베트 불교 진언종》 수행수행 일반수행 귀의 신심 신행 공덕 진언 염불 참배 기도 삼십칠도품 사념처 사정근 사여의족 오근 오력 칠각지 팔정도 사무량심 자 비 희 사 삼학 계 정 혜 계율 오계 사홍서원 출가계율 소승 불교상좌부 불교 마음챙김 사마타 위빠사나 바와나 위빠사나 까마타나 수념(隨念) 안반수의 부파 불교 아비달마 십바라밀 보시 지계 출리 지혜 정진 인욕 진실 결의 자애 평온 대승 불교대승 불교 지관(止觀) 육바라밀 보시 지계 인욕 정진 선정 반야(지혜) 십바라밀 방편 원 역 지 최상승선 불교간화선 선(禪)수행 참선 간화선·화두 공안 좌선 그 외 묵조선 염불선 국가별 수행법티베트 불교 탄트라 만다라 스마라나 통렌 수행 계위각자(覺者) 성문불 연각불 보살 부처 사과 수다원 사다함 아나함 아라한 상가사부중 비구 비구니 우바새 우바이 칠부중 사미 식차마나 사미니 역사 연표 결집 인도불교사 인도 불교의 쇠퇴 아소카 대왕 간다라 불교 불교와 로마 제국 비단길을 통한 불교의 전파 불교 탄압 문화건축 가람 사찰 사원(왓) 탑파 기념일 부처님 오신 날 마카부차 포살 미술 간다라 미술 불상 탱화 포대화상 상징 깃발 법륜 윤회의 바퀴 인 성지 룸비니(탄생) 부다가야(성도) 녹야원(설법) 쿠시나가르(열반) 마하보디 사원 보리수 수행과 생활 가사 기도통 달력 안거 염주 음식 《채식주의》 진언 《옴 마니 파드메 훔》 기타 시 음악 국가별 네팔 라오스 러시아 말레이시아 몽골 미얀마 방글라데시 베트남 부탄 스리랑카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인도 일본 중국 중동 《이란》 캄보디아 타이완 태국 티베트 파키스탄 한국 서양 《미국 영국 프랑스 호주》 철학 경제학 논리학 무정부주의 불학 사회주의 신 십사무기 실천불교 실재론 아비달마 윤리 원자론 인본주의 종말론 진화 기타 전등(傳燈) 범천 마라 경 의식용 언어 《팔리어 산스크리트어》 법구경 법문 겁 삼명 유루·무루 유위·무위 육신통 비교 종교 기독교 나스티시즘 동아시아 종교 신지학 자이나교 힌두교 과학 심리학 개념 갈애 공 견성 묘각 도리 마음 마음작용 무명 반열반 번뇌 범부와 성인 보리심 보살 불성 삼법인 《일체개고 제행무상 제법무아》 삼성 《선 악 무기》 삼신 《법신 보신 화신》 상속심 업 연기 열 가지 족쇄·10결 오개 오근 오온 유루와 무루 유위와 무위 윤회 족첸(대구경) 죄 지혜 진속이제 진여 행 환생 목록 부처 이십팔불 보살 인물 불경 도서 사찰 한국의 사찰 《가나다순 지역별》 vte불교 경전예불의식 경전 예불문 · 이산혜연선사 발원문 · 반야심경 · 천수경 · 정근 · 금강경 · 상단권공 · 중단권공(신중청) · 화엄경 약찬게 대장경 삼장《경장 · 율장 · 논장》 · 티베트 대장경 · 팔리어 대장경 · 한역대장경《고려대장경 · 대정신수대장경 · 팔만대장경》 상좌부 불교 아함경《장아함경 · 중아함경 · 잡아함경 · 증일아함경》 · 법구경 · 밀린다왕문경 · 본생경 · 백유경 · 과거현재인과경 대승 불교 반야경 · 반야심경 · 금강경 · 화엄경 · 법화경 · 열반경 · 해심밀경 · 점찰경 · 능가경 · 승만경 · 영락경 · 원각경 · 유마경 · 인왕경 · 정토삼부경《대무량수경 · 관무량수경 · 아미타경》 · 지장경 · 미륵경 선불교 육조단경 티베트 불교 · 밀교 대일경 · 금강정경 · 능엄경 · 이취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