캄브로라스테르
![]() | |
---|---|
화석 범위: 캄브리아기 중기 | |
![]() 캄브로라스테르의 머리경판 화석 | |
캄브로라스테르의 애니메이션 영상 | |
생물 분류ℹ️ | |
역: | 진핵생물 |
계: | 동물계 |
(미분류): | 엽족동물 |
강: | †공하강 |
목: | †라디오돈트목 |
과: | †후르디아과 |
속: | †캄브로라스테르속 Moysiuk & Caron, 2019 |
모식종 | |
†Cambroraster falcatus | |
Moysiuk & Caron, 2019 |
캄브로라스테르(학명: Cambroraster falcatus 캄브로라스테르 팔카투스[*])는 후르디아과에 속하는 멸종한 절지동물로 캄브로라스테르속의 유일한 종이다.[1] 표본 수 백 점이 버지스 셰일에서 나왔으며 2019일자 논문에 실렸다.[2]
학명의 유래
[편집]속명 캄브로라스테르는 캄브리아기의 '갈퀴'(rastrum)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종소명은 화석이 처음 발견되었을 때에 배갑각이 마치 스타워즈의 밀레니엄 팔콘을 닮아 falcanus가 되었다.[1][3]
해부적 특징
[편집]
당대의 동물 중 큰 축에 속하며 티타노코리스(약 50cm)보다 작은 크기(30cm)이다. 확연히 드러나는 특징으로 머리 위로 넓다란 면적을 자랑하는 말굽 모양의 배갑각(H-요소)이 있으며, 갈고리 돌기가 달린 짧은 전방부속지와 잘 발달한 구주로 침전물을 현탁하여 섭취했을 가능성이 있다.[1]
생태 및 분류
[편집]원래는 캄브로라스테르가 먹이를 먹으려 침전층을 전방부속기로 현탁하는데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되었으나 후속 연구에서는 다른 학자들에 의해 캄브로라스테르가 여과섭식자라는 가설을 얻었다.[4]
캄브로라스테르의 두 번째 종은 중국 남부의 청장 생물군에서 발견되었으며 캄브리아기 중국에서 최초의 비논쟁거리가 된 후르디아과 생물이 되었다. 이 종은 미숙한 배면 갑각만이 발견되었으며, 따라서 종명이 명명되지 않았다.[5]
사진
[편집]- 복원도
- 머리경판
- 전방부속지
- 전방부속지의 가동 범위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가 나 다 Moysiuk, J.; Caron, J.-B. (2019년 7월 31일). “A new hurdiid radiodont from the Burgess Shale evinces the exploitation of Cambrian infaunal food sources”. 《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B: Biological Sciences》 286 (1908): 20191079. doi:10.1098/rspb.2019.1079. PMC 6710600. PMID 31362637.
- ↑ Wu, Katherine J. (2019년 7월 30일). “Meet Cambroraster falcatus, the sediment-sifting 'Roomba' of the Cambrian”. 《Nova》. 2019년 7월 31일에 확인함.
- ↑ “A voracious Cambrian predator, Cambroraster, is a new species from the Burgess Shale”. 《Phys.org》. Royal Ontario Museum. 2019년 7월 30일. 2019년 8월 4일에 확인함.
- ↑ De Vivo, Giacinto; Lautenschlager, Stephan; Vinther, Jakob (2021년 7월 28일). “Three-dimensional modelling, disparity and ecology of the first Cambrian apex predators”. 《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B: Biological Sciences》 (영어) 288 (1955): 20211176. doi:10.1098/rspb.2021.1176. ISSN 0962-8452. PMC 8292756. PMID 34284622.
- ↑ Liu; Lerosey-Aubril, Rudy; Audo, Denis; Zhai, Dayou; Mai, Huijuan; Ortega-Hernández, Javier (2020). “Occurrence of the eudemersal radiodont Cambroraster in the early Cambrian Chengjiang Lagerstätte and the diversity of hurdiid ecomorphotypes”. 《Geological Magazine》 (영어) 157 (7): 1200–1206. Bibcode:2020GeoM..157.1200L. doi:10.1017/S0016756820000187. ISSN 0016-75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