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우프만-부헤러-노이만 실험

카우프만-부헤러-노이만 실험(Kaufmann-Bucherer-Neumann Experiment)에서는 물체의 관성 질량(또는 운동량)이 물체의 속도에 의존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여러 명의 물리학자에 의하여 1901년부터 1915년까지 연속하여 이루어진 실험의 역사적 중요성은 실험결과가 특수 상대성 이론의 예측을 시험하는데 사용되기 때문이다. 이 기간에 이루어진 여러 실험에서 정확도와 데이터 분석의 발전 과정과 이로 인하여 이론물리학에 미친 영향은 현재에도 여전히 역사가들의 주제인데, 이는 초기의 실험결과는 당시에 새롭게 발표된 아인슈타인의 이론과 모순되었으나, 그 후의 실험에서는 이론과 일치하였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종류의 현대적 실험으로는, 상대론적 에너지와 운동량 시험을 참조하고 일반적인 내용은 특수 상대성 이론의 시험을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