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곡군의 국회의원
행정구역 변천
[편집]- 1945년 8월 15일 경상북도 칠곡군
- 1978년 2월 15일 인동면이 구미시에 편입
- 1981년 7월 1일 칠곡읍이 대구직할시 북구에 편입
- 1986년 4월 1일 약목면이 기산면으로 분면
칠곡군의 역대 국회의원 일람
[편집]대수 | 이름 | 소속정당 | 임기 | 선거구역 |
---|---|---|---|---|
제1대 | 장병만(張炳晩)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1948년 5월 31일~1950년 5월 30일 | 칠곡군 일원 |
제2대 | 장택상(張澤相) | 무소속 | 1950년 5월 31일~1954년 5월 30일 | 칠곡군 일원 |
제3대 | 장택상(張澤相) | 무소속 | 1954년 5월 31일~1958년 5월 30일 | 칠곡군 일원 |
제4대 | 장택상(張澤相) | 무소속 | 1958년 5월 31일~1960년 7월 28일 | 칠곡군 일원 |
제5대 민의원 | 장택상(張澤相) | 무소속 | 1960년 7월 29일~1961년 5월 16일 | 칠곡군 일원 |
제6대 | 송한철(宋漢喆) | 민주공화당 | 1963년 12월 17일~1967년 6월 30일 | 성주군·칠곡군 일원 |
제7대 | 송한철(宋漢喆) | 민주공화당 | 1967년 7월 1일~1971년 6월 30일 | 성주군·칠곡군 일원 |
제8대 | 김창환(金昌煥) | 신민당 | 1971년 7월 1일~1972년 10월 17일 | 성주군·칠곡군 일원 |
제9대 | 신현확(申鉉碻) | 민주공화당 | 1973년 3월 12일~1979년 3월 11일 | 군위군·성주군·선산군·칠곡군 일원 |
김창환(金昌煥) | 신민당 | |||
제10대 | 신현확(申鉉碻)[1] | 민주공화당 | 1979년 3월 12일~1979년 12월 12일 | 구미시·선산군·군위군·성주군·칠곡군 일원 |
김현규(金鉉圭) | 무소속 | 1979년 3월 12일~1980년 10월 27일 | ||
제11대 | 박재홍(朴在鴻) | 민주정의당 | 1981년 4월 11일~1985년 4월 10일 | 구미시·군위군·선산군·칠곡군 일원 |
김현규(金鉉圭) | 민주한국당 | |||
제12대 | 박재홍(朴在鴻) | 민주정의당 | 1985년 4월 11일~1988년 5월 29일 | 구미시·군위군·선산군·칠곡군 일원 |
김현규(金鉉圭) | 무소속 | |||
제13대 | 장영철(張永喆) | 민주정의당 | 1988년 5월 30일~1992년 5월 29일 | 성주군·칠곡군 일원 |
제14대 | 장영철(張永喆) | 민주자유당 | 1992년 5월 30일~1996년 5월 29일 | 성주군·칠곡군 일원 |
제15대 | 장영철(張永喆) | 신한국당 | 1996년 5월 30일~2000년 5월 29일 | 군위군·칠곡군 일원 |
제16대 | 이인기(李仁基) | 한나라당 | 2000년 5월 30일~2004년 5월 29일 | 칠곡군 일원 |
제17대 | 이인기(李仁基) | 한나라당[2] | 2004년 5월 30일~2008년 5월 29일 | 고령군·성주군·칠곡군 일원 |
제18대 | 이인기(李仁基) | 무소속[3] | 2008년 5월 30일~2012년 5월 29일 | 고령군·성주군·칠곡군 일원 |
제19대 | 이완영(李完永) | 새누리당 | 2012년 5월 30일~2016년 5월 29일 | 고령군·성주군·칠곡군 일원 |
제20대 | 이완영(李完永)[4] | 새누리당[5] | 2016년 5월 30일~2019년 6월 13일 | 고령군·성주군·칠곡군 일원 |
제21대 | 정희용(鄭熙溶) | 미래통합당[6] | 2020년 5월 30일~ | 고령군·성주군·칠곡군 일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