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년 (1958년 5월 31일 ~ 1960년 7월 28일) - 대한민국 제2공화국 헌법(대한민국헌법 [일부개정 1960.6.15 헌법 제4호])에 의해 임기 종료일이 이 헌법시행후 처음으로 실시되는 민의원의원총선거를 실시하는 전일까지로 지정되었다.
대한민국 민의원 정당별 의석수 교섭단체명 | 정당명 | 1958년 총선 당시 | 1960년 총선 당시 |
자유당 | 자유당 | 126석 | 48석 |
민주당 | 민주당 | 80석 | 68석 |
헌정동지회 | 무소속 | | 38석 |
비교섭단체 |
통일당 | 1석 | 1석 |
무소속 | 26석 | 41석 |
계 | 233석 | 196석 |
교섭단체
비교섭단체
무소속
해체된 정당
4대 민의원 상임위원회 1958.6~58.8 위원장 명단 위원회 | 이름 | 소속정당 | 국회운영위원회 | 박용익 | 자유당 | 법제사법위원회 | 박세경 | 자유당 | 재정경제위원회 | 최용근 | 자유당 | 외무위원회 | 윤성순 | 자유당 | 국방위원회 | 유지원 | 자유당 | 내무위원회 | 박순석 | 자유당 | 문교위원회 | 이존화 | 자유당 | 교통체신위원회 | 정명섭 | 자유당 | 농림위원회 | 신규식 | 자유당 | 상공위원회 | 이영언 | 자유당 | 사회보건위원회 | 김익기 | 자유당 | 예산결산위원회 | 박흥규 | 자유당 | 징계자격위원회 | 정존수 | 자유당 | 부흥위원회 | 구흥남 | 자유당 | | 4대 민의원 상임위원회 1958.9~1959.8 위원장 명단 위원회 | 이름 | 소속정당 | 국회운영위원회 | 조순 | 자유당 | 법제사법위원회 | 김의준 | 자유당 | 재정경제위원회 | 이갑식 | 자유당 | 외무위원회 | 윤성순 | 자유당 | 국방위원회 | 하태환 | 자유당 | 내무위원회 | 김원태 | 자유당 | 문교위원회 | 안용백[3] | 자유당 | 손재형 | 무소속 | 교통체신위원회 | 정명섭 | 자유당 | 농림위원회 | 변진갑 | 자유당 | 상공위원회 | 이영언 | 자유당 | 사회보건위원회 | 김익기 | 자유당 | 예산결산위원회 | 최인규 | 자유당 | 징계자격위원회 | 손영수 | 자유당 | 부흥위원회 | 이형모 | 자유당 | | 4대 민의원 상임위원회 1959.10~1960.7 위원장 명단 위원회 | 이름 | 소속정당 | 국회운영위원회 | 이성주 | 자유당 | 법제사법위원회 | 박세경 | 자유당 | 재정경제위원회 | 손석두 | 자유당 | 외무위원회 | 최규남 | 자유당 | 국방위원회 | 유용식 | 자유당 | 내무위원회 | 이상룡 | 자유당 | 문교위원회 | 손재형 | 자유당 | 교통체신위원회 | 이종수 | 자유당 | 농림위원회 | 이영희 | 자유당 | 상공위원회 | 정규상 | 자유당 | 사회보건위원회 | 손문경 | 자유당 | 예산결산위원회 | 박만원 | 자유당 | 징계자격위원회 | 김상도 | 자유당 | 부흥위원회 | 원용석 | 자유당 | |
제4대 민의원에서 제출된 의안은 총 642건이며, 이중 가결 300건(전체의 47%), 부결 17건, 폐기 36건, 철회 3건, 보류 1건 등 총 357건이 처리되었고(55%), 회기불계속 및 임기만료로 인한 폐기는 285건이었다.
- ↑ 가 나 보궐선거를 통해 선출된 곽상훈 의원이 1960년 5월 2일부터 민의원의장직을 맡았다.
- ↑ 가 나 보궐선거를 통해 선출된 임철호 의원이 1959년 10월 4일부터 민의원부의장직을 맡았다.
- ↑ 1959.6.24 선거무효로 자격상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