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 입구 주름

처녀막
다양한 처녀막 결손(음영 처리된 부분은 질 입구를 나타냄)
인간 여성의 외부 생식기
정보
식별자
라틴어hymen
그리스어ὑμήν
MeSHD006924
TA98A09.1.04.008
TA23530
FMA20005
처녀막

처녀막[1](處女膜, hymen) 또는 질 입구 주름은 자궁 내막의 일종으로 을 막거나 부분적으로 덮는 막을 말한다. 여성의 외성기의 일부를 이룬다.[2][3] 가장 흔한 처녀막의 모양은 초승달 모양이며, 다른 모양도 많다.[4] 출산 이후 사라지지만, 일부가 남아 있을 수 있으며 carunculae myrtiformes이라고 부른다.[5]

처녀막은 해부학적인 기능이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순결을 중요시하는 사회에서는 처녀성을 판단하는 기준으로 믿는다. 그러나 처녀막을 검사한다고 해서 여성이 처녀라는 것을 확신하기 어렵다.[6] 왜냐하면 첫 성관계 시 처녀막이 심하게 손상되지 않는 경우도 다수 있으며, 반면에 승마나 자전거와 같은 운동으로 일부 손상될 수도 있고, 아예 태어날 때부터 없는 사람도 있기 때문이다. 또한 성행위로 인한 파열보다, 일상 생활중 파열되는 횟수가 더 많다는 보고도 있다. 강간이나 성적 학대가 의심될 때는 이를 자세히 검사하기도 하지만, 이것만으로는 결론을 내릴 수 없다.[7]

발달 및 조직학

[편집]

해부학적 변이

[편집]

처녀막을 상하게 할 수 있는 것들

[편집]
왼쪽에 처녀막 틈(hymenal cleft)이 보이는 처녀막. 특히 처녀막의 뒷부분에 깊은 틈이나 홈이 생기는 것은 질을 무엇인가 통과하고 지나간 과거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사춘기 전 여아에게 많이 나타난다.

역사적으로 첫 성교는 처녀막에 외상을 입히는 것으로 여겨졌으며, 항상 처녀막이 "파열"되거나 찢어져 출혈을 유발하는 것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서구 여성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 따르면 첫 성교 시 출혈이 항상 발생하는 것은 아니다.[8][9][10] 한 문화 간 연구에서는 전체 여성의 절반 이상이 첫 성교 시 출혈을 경험했다고 보고했으며, 통증과 출혈 정도는 출신 지역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11][10] 모든 여성이 통증을 경험하는 것은 아니며, 한 연구에서는 흥분, 불안, 공포와 같은 강렬한 감정 경험과 첫 성교 시 통증 경험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음을 발견했다.[12]

성폭행 후 병원에서 검진을 받은 청소년 여성 강간 생존자를 대상으로 한 여러 연구에서, 이전에 삽입 경험이 없는 생존자 중 절반 이하만이 처녀막 손상을 경험했다.[13][14][15] 처녀막 파열은 전체 사례의 4분의 1 미만에서 발생했다.[15] 그러나 처녀는 처녀가 아닌 사람보다 처녀막 손상을 입을 가능성이 훨씬 더 높았다.[13][15]

이전에 합의에 의한 성관계를 가진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약 절반이 처녀막 외상의 증거를 보였다.[16][17] 처녀가 아닌 성인도 합의에 의한 성관계 후 처녀막 외상을 입을 수 있지만, 드물게 발생한다.[18] 처녀막 외상은 눈에 띄는 손상 징후 없이 치유될 수 있다.[13][17][19] 청소년 성폭행 피해자를 대상으로 한 관찰 연구에서는 처녀막 상처의 대부분이 눈에 띄는 손상 징후 없이 치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20]

처녀막 외상은 탐폰이나 월경컵 사용, 벌리개를 이용한 골반 검사, 자위행위, 체조, 승마 등 다양한 다른 행동의 결과로 발생한다고 가정되지만 이러한 활동으로 인한 외상의 실제 유병률은 불분명하다.[21][22][23]

보통 처녀막은 운동을 하거나 탐폰을 쓰거나 골반 검사, 심지어는 가랑이를 찢다가(스트레칭) 다치더라도 상할 수 있다.[24] 소녀가 사춘기에 이르면, 처녀막은 탄력성을 갖게 된다. 처녀막을 검사함으로써 여성이 탐폰을 쓰는지 알아낼 수는 없다. 또한 약 43%만이 처음 성교 시 피를 흘리며, 이는 57%의 여성의 처녀막은 늘어날 뿐 찢어지지는 않는다는 것이다.[25]

문화적, 종교적 중요성

[편집]

자궁 분노

[편집]

16세기와 17세기에 의학 연구자들은 처녀막의 존재 여부를 "자궁 분노"(womb-fury), 즉 여성 히스테리(female hysteria)와 같은 신체 질환의 확실한 증거로 잘못 이해했다. 당시 진료를 맡았던 의사들에 따르면, 자궁 분노는 치료되지 않으면 사망에 이를 수 있었다.[26][27]

다른 동물들

[편집]

유사한 생식계 발달로 인해 침팬지, 코끼리, 바다소, 고래, 말, 라마를 포함한 많은 포유류가 처녀막을 가지고 있다.[28][29]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대한의협 의학용어 사전 https://www.kmle.co.kr/search.php?Search=hymen&EbookTerminology=YES&DictAll=YES&DictAbbreviationAll=YES&DictDefAll=YES&DictNownuri=YES&DictWordNet=YES
  2. Emans, S. Jean. "Physical Examination of the Child and Adolescent" (2000) in Evaluation of the Sexually Abused Child: A Medical Textbook and Photographic Atlas, Second edition, Oxford University Press. 62
  3. Perlman, Sally E.; Nakajima, Steven T. and Hertweck, S. Paige (2004). 《Clinical protocols in pediatric and adolescent gynecology》. Parthenon. 131쪽. 
  4. Emans, S. Jean. "Physical Examination of the Child and Adolescent" (2000) in Evaluation of the Sexually Abused Child: A Medical Textbook and Photographic Atlas, Second edition, Oxford University Press. 63
  5. Knight, Bernard (1997). 《Simpson's Forensic Medicine》 11판. London: Arnold. 114쪽. 
  6. Perlman, Sally E.; Nakajima, Steven T. and Hertweck, S. Paige (2004). 《Clinical protocols in pediatric and adolescent gynecology》. Parthenon. 131쪽. 
  7. Emans, S. Jean. "Physical Examination of the Child and Adolescent" (2000) in Evaluation of the Sexually Abused Child: A Medical Textbook and Photographic Atlas, Second edition, Oxford University Press. 63-4
  8. Rogers, Deborah J; Stark, Margaret (1998년 8월 8일). “The hymen is not necessarily torn after sexual intercourse”. 《BMJ: British Medical Journal》 317 (7155): 414. doi:10.1136/bmj.317.7155.414. ISSN 0959-8138. PMC 1113684. PMID 9694770. 
  9. Emma Curtis, Camille San Lazaro (1999년 2월 27일). “Appearance of the hymen in adolescents is not well documented”. 《BMJ: British Medical Journal》 (영어) 318 (7183): 605. doi:10.1136/bmj.318.7183.605. PMC 1115047. PMID 10037658. We agree with Rogers and Stark that so called rupture and bleeding of the hymen is not to be routinely expected after first sexual intercourse. 
  10. Loeber, Olga (2008). “Over het zwaard en de schede; bloedverlies en pijn bij de eerste coïtus Een onderzoek bij vrouwen uit diverse culturen” (PDF). 《Tijdschrift voor Seksuologie》 (네덜란드어) 32. 129–137면. 2019년 11월 5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9월 7일에 확인함. 
  11. Amy, Jean-Jacques (January 2008). “Certificates of virginity and reconstruction of the hymen”. 《The European Journal of Contraception & Reproductive Health Care》 (영어) 13 (2): 111–113. doi:10.1080/13625180802106045. ISSN 1362-5187. PMID 18465471. S2CID 37484764. 
  12. Weis, David L. (1985). “The experience of pain during women's first sexual intercourse: Cultural mythology about female sexual initiation”. 《Archives of Sexual Behavior》 14 (5): 421–438. doi:10.1007/BF01542003. PMID 4062539. S2CID 6427129. 
  13. White C, McLean I (2006년 5월 1일). “Adolescent complainants of sexual assault; injury patterns in virgin and non-virgin groups”. 《Journal of Clinical Forensic Medicine》 (영어) 13 (4): 172–180. doi:10.1016/j.jcfm.2006.02.006. ISSN 1353-1131. PMID 16564196. Hymen injury was noted in 40 (50.6%) participants of the virgin group, but only 11 (12.4%) of the non-virgin group 
  14. Adams, Joyce A.; Girardin, Barbara; Faugno, Diana (May 2000). “Signs of genital trauma in adolescent rape victims examined acutely”. 《Journal of Pediatric and Adolescent Gynecology》 (영어) 13 (2): 88. doi:10.1016/S1083-3188(00)00015-2. ISSN 1083-3188. PMID 10869972. 
  15. Adams, Joyce A.; Girardin, Barbara; Faugno, Diana (2001년 11월 1일). “Adolescent Sexual Assault: Documentation of Acute Injuries Using Photo-colposcopy”. 《Journal of Pediatric and Adolescent Gynecology》 (영어) 14 (4): 175–180. doi:10.1016/S1083-3188(01)00126-7. ISSN 1083-3188. PMID 11748013. The incidence of hymenal tears in self-described virgins was higher than in nonvirgins (19% vs. 3%, P .008); 
  16. Adams, Joyce A.; Botash, Ann S.; Kellogg, Nancy (March 2004). “Differences in hymenal morphology between adolescent girls with and without a history of consensual sexual intercourse”. 《Archives of Pediatrics & Adolescent Medicine》 158 (3): 280–285. doi:10.1001/archpedi.158.3.280. ISSN 1072-4710. PMID 14993089. Subjects who admitted having past intercourse still had non disrupted, intact hymens in 52% of cases. 
  17. “New York Times Is Wrong about Hymens--But They Are Not Alone”. 《Psychology Today》 (영국 영어). 2018년 9월 8일에 확인함. 
  18. Slaughter, Laura; Brown, Carl R.V.; Crowley, Sharon; Peck, Roxy (March 1997). “Patterns of genital injury in female sexual assault victims”. 《Americ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176 (3): 609–616. doi:10.1016/s0002-9378(97)70556-8. ISSN 0002-9378. PMID 9077615. 
  19. Heger, Astrid H.; Emans, S. Jean, 편집. (2000). 《Evaluation of the Sexually Abused Child: A Medical Textbook and Photographic Atlas》 (PDF) (영어) 2판.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61–65쪽. ISBN 978-0-19-507425-3. 2018년 7월 8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7월 8일에 확인함. 
  20. Reading, Richard (2007년 12월 12일). “Healing of hymenal injuries in prepubertal and adolescent girls: a descriptive study”. 《Child: Care, Health and Development》 (영어) 34 (1): 137–138. doi:10.1111/j.1365-2214.2007.00818_7.x. ISSN 0305-1862. Of the girls who sustained 'superficial', 'intermediate,' or 'deep' lacerations, 15 of 18 prepubertal girls had smooth and continuous appearing hymenal rims, whereas 24 of 41 adolescents' hymens had a normal, 'scalloped' appearance and 30 of 34 had no disruption of continuity on healing. The final 'width' of a hymenal rim was dependent on the initial depth of the laceration. No scar tissue formation was observed in either group of girls. 
  21. “The Hymen”. 《sex info online》. 2020년 9월 19일에 확인함. While some females bleed the first time they have penetrative intercourse, not every female does. This depends on many factors, such as how much hymenal tissue a female has, whether her hymen has already been stretched or torn, or how thick and elastic it is. 
  22. Goodyear-Smith, Felicity A.; Laidlaw, Tannis M. (1998년 6월 8일). “Can tampon use cause hymen changes in girls who have not had sexual intercourse? A review of the literature”. 《Forensic Science International》 (영어) 94 (1–2): 147–153. doi:10.1016/S0379-0738(98)00053-X. ISSN 0379-0738. PMID 9670493. 
  23. Emans, S.Jean; Woods, Elizabeth R.; Allred, Elizabeth N.; Grace, Estherann (1994년 7월 1일). “Hymenal findings in adolescent women: Impact of tampon use and consensual sexual activity”. 《The Journal of Pediatrics》 (영어) 125 (1): 153–160. doi:10.1016/S0022-3476(94)70144-X. ISSN 0022-3476. PMID 8021768. Contrary to the popular belief that transections of the hymen are associated with gymnastics, horseback riding, and other vigorous sports, we found no relation between sports or gymnastics and hymenal changes. There was also no relation to prior gynecologic examination. 
  24. Emans, S. Jean. "Physical Examination of the Child and Adolescent" (2000)
  25. McCann, J; Rosas, A. and Boos, S. (2003) "Child and adolescent sexual assaults (childhood sexual abuse)" in Payne-James, Jason; Busuttil, Anthony and Smock, William (eds). Forensic Medicine: Clinical and Pathological Aspects, Greenwich Medical Media: London, 460.
  26. Berrios, GE; Rivière, L (2006). “Madness from the womb”. 《History of Psychiatry》 17 (66 Pt 2): 223–35. doi:10.1177/0957154x06065699. PMID 17146991. S2CID 148179899. 
  27. The linkage between the hymen and social elements of control has been taken up in Marie Loughlin's book Hymeneutics: Interpreting Virginity on the Early Modern Stage published in 1997
  28. Blank, Hanne (2007). 《Virgin: The Untouched History》. Bloomsbury Publishing. 23쪽. ISBN 978-1-59691-010-2. 2013년 11월 9일에 확인함. 
  29. Blackledge, Catherine (2004). 《The Story of V》. Rutgers University Press. ISBN 978-0-8135-3455-8. Hymens, or vaginal closure membranes or vaginal constrictions, as they are often referred to, are found in a number of mammals, including llamas, ...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