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25년 중등학교야구리그전
1925년 중등학교야구리그전 | |
---|---|
대회 명칭 | 제1회 중등학교야구리그전 |
개최국 | 일제강점기 조선 |
개최 도시 | 경성 |
개최 기간 | 1925년 6월 17일~7월 4일 |
주최 | 조선일보 |
선수단 | 5개 야구단 |
결과 | |
![]() | 중앙고등보통학교 야구단 |
![]() | 배재고등보통학교 야구단 |
통계 | |
총 경기 | 10경기 |
1925년 중등학교야구리그전은 중등학교야구리그전의 1925년 시즌 야구 대회이다. 1925년 6월 17일부터 7월 4일까지 일제강점기 조선 경기도 경성부에 있는 배재고등보통학교 운동장과 휘문고등보통학교 운동장에서 개최되었다.[1][2]
경기장
[편집]경기장 | 도시 | 좌석 | 수용 | 비고 |
---|---|---|---|---|
배재고등보통학교 운동장 | 경성 | |||
휘문고등보통학교 운동장 | 경성 |
야구단
[편집]야구단 | 도시 | 경기장 | 첫 참가 | 횟수 | 비고 |
---|---|---|---|---|---|
경신학교 야구단 | 경성 | 1925 | 1 | ||
배재고등보통학교 야구단 | 경성 | 배재고등보통학교 운동장 | 1925 | 1 | |
양정고등보통학교 야구단 | 경성 | 1925 | 1 | ||
중앙고등보통학교 야구단 | 경성 | 1925 | 1 | ||
휘문고등보통학교 야구단 | 경성 | 휘문고등보통학교 운동장 | 1925 | 1 |
경기 결과
[편집]1925년 중등학교야구리그전는 1925년 6월 17일부터 6월 27일까지 1라운드로빈 방식으로 진행하기로 결정하고 시작되었다.[2] 1925년 6월 17일 16시에 배재고등보통학교 운동장에서 진행된 휘문고등보통학교 야구단과 중앙고등보통학교 야구단 간의 첫 번째 경기는 중앙고등보통학교 야구단이 1A:0으로 승리했고,[3] 1925년 6월 18일 16시에 배재고등보통학교 운동장에서 진행된 배재고등보통학교 야구단과 양정고등보통학교 야구단 간의 두 번째 경기는 배재고등보통학교 야구단이 23A:1로 승리했다.[4] 1925년 6월 19일 16시에 배재고등보통학교 운동장에서 진행된 휘문고등보통학교 야구단과 경신학교 야구단 간의 세 번째 경기는 휘문고등보통학교 야구단이 20A:3으로 승리했다.[5] 1925년 6월 21일 15시에 배재고등보통학교 운동장에서 진행된 중앙고등보통학교 야구단과 배재고등보통학교 야구단 간의 네 번째 경기는 9회까지 득점 없이 0:0으로 비기자 2회 연장하여 경기가 진행되던 중 심판 판정에 관한 문제가 발생하여 양 선수단 지도자 간의 합의를 통해 기존 경기는 취소하고 6월 30일에 재경기를 하기로 결정했고,[6][7][8][9] 이후 1925년 7월 4일 16시에 재경기가 진행되도록 결정되었다.[10] 1925년 6월 22일 16시 45분에 배재고등보통학교 운동장에서 진행된 양정고등보통학교 야구단과 경신학교 야구단 간의 다섯 번째 경기는 양정고등보통학교 야구단이 14:9로 승리했고,[11] 1925년 6월 23일 16시 50분에 휘문고등보통학교 운동장에서 진행된 배재고등보통학교 야구단과 휘문고등보통학교 야구단 간의 여섯 번째 경기는 배재고등보통학교 야구단이 10:9로 승리했다.[9] 1925년 6월 24일 16시 40분에 휘문고등보통학교 운동장에서 진행된 중앙고등보통학교 야구단과 양정고등보통학교 야구단 간의 일곱 번째 경기는 중앙고등보통학교 야구단이 16:1로 승리했고,[12][13] 1925년 6월 25일 16시 30분에 휘문고등보통학교 운동장에서 진행된 배재고등보통학교 야구단과 경신학교 야구단 간의 여덟 번째 경기는 배재고등보통학교 야구단이 15:4로 승리했고,[14] 1925년 6월 26일 16시에 휘문고등보통학교 운동장에서 진행된 휘문고등보통학교 야구단과 양정고등보통학교 야구단 간의 아홉 번째 경기는 12회까지 진행된 연장 접전 끝에 양정고등보통학교 야구단이 6:5로 승리했다.[15][16][17] 1925년 6월 27일 15시에 휘문고등보통학교 운동장에서 진행될 예정이었던 경신학교 야구단과 중앙고등보통학교 야구단 간의 열 번째 경기는 1925년 7월 3일 16시로 연기되었고,[18][19] 7월 3일 16시 40분에 시작된 순연 경기에서 중앙고등보통학교 야구단이 8A:7로 승리했다.[10] 1925년 7월 4일 16시 20분에 휘문고등보통학교 운동장에서 진행된 중앙고등보통학교 야구단과 배재고등보통학교 야구단 간의 재경기에서 중앙고등보통학교 야구단이 8:7로 이기며 중앙고등보통학교 야구단이 대회 우승을 차지했다.[20][21][22]
최종 순위
[편집]순위 | 야구단 | 경기 | 승 | 패 | 득 | 실 | 차 | 승률 | 비고 |
---|---|---|---|---|---|---|---|---|---|
![]() | 중앙고등보통학교 야구단 (C) | 4 | 4 | 0 | 33 | 15 | +18 | 1.000 | |
![]() | 배재고등보통학교 야구단 | 4 | 3 | 1 | 55 | 22 | +33 | 0.750 | |
3 | 양정고등보통학교 야구단 | 4 | 2 | 2 | 22 | 53 | -31 | 0.500 | |
4 | 휘문고등보통학교 야구단 | 4 | 1 | 3 | 34 | 20 | +14 | 0.250 | |
5 | 경신학교 야구단 | 4 | 0 | 4 | 23 | 57 | -34 | 0.000 |
- 순위 결정 방식: 1) 승률
- 범례: (C) 우승
각주
[편집]- ↑ “十七日(십칠일)부터十日間(십일간) 壯快(장쾌)할野球(야구)리구戰(전)”. 조선일보. 1925년 6월 10일.
- ↑ 가 나 “本社主催(본사주최) 第一回(제일회) 中等學梭野球(중등학사야구)리구戰(전)”. 조선일보. 1925년 6월 10일.
- ↑ “半空(반공)에서落來(낙래)하는 飛行機(비행기)의投球(투구)로開幕(개막)”. 조선일보. 1925년 6월 18일.
- ↑ “培材對養正(배재대양정) 雨中(우중)에奮戰(분전)!”. 조선일보. 1925년 6월 19일.
- ↑ “冒雨(모우)한萬餘觀衆(만여관중) 二十(이십)A 對三(대삼)으로徽文勝戰(휘문승전)”. 조선일보. 1925년 6월 20일.
- ↑ “熱狂的(열광적)인數萬(수만)의愛球家(애구가) 白熱化(백열화)한好競技(호경기)!”. 조선일보. 1925년 6월 21일.
- ↑ “本社主催中等野球(본사주최중등야구)리구戰記(전기)”. 조선일보. 1925년 6월 22일.
- ↑ “培(배),中(중)리꾸戰(전) 勝負無効(승부무효)로中止(중지)”. 동아일보. 1925년 6월 22일.
- ↑ 가 나 “斜風細雨中(사풍세우중)에 壯快(장쾌)한競技(경기)!”. 조선일보. 1925년 6월 24일.
- ↑ 가 나 “中央(중앙)과儆新(경신) 兩軍(양군)의奮戰(분전)”. 조선일보. 1925년 7월 4일.
- ↑ “本社主催中等野球(본사주최중등야구)리구戰記(전기)”. 조선일보. 1925년 6월 24일.
- ↑ “人海漲溢中(인해창일중)에 自熱(자열)한競技(경기)!”. 조선일보. 1925년 6월 25일.
- ↑ “本社主催中等野球(본사주최중등야구)리구戰記(전기) 始終善戰(시종선전)하야”. 조선일보. 1925년 6월 26일.
- ↑ “培材對儆新戰(배재대경신전) 開戰初(개전초) 부터 緊張(긴장)”. 조선일보. 1925년 6월 25일.
- ↑ “莫上莫下(막상막하)인 兩軍(양군)의勇戰猛鬪(용전맹투)”. 조선일보. 1925년 6월 27일.
- ↑ “本社主催中等野球(본사주최중등야구)리구戰記(전기) 接戰十一回(접전십일회)에勝捷(승첩)한”. 조선일보. 1925년 6월 28일.
- ↑ “養正軍勝利(양정군승리) 六對五徽文敗(육대오휘문패) 中等野球(중등야구)리꾸”. 동아일보. 1925년 6월 29일.
- ↑ “廿九日中等校野球(입구일중등교야구)리구戰延期(전연기)”. 조선일보. 1925년 6월 29일.
- ↑ “中等學校野球(중등학교야구)리구戰(전)”. 조선일보. 1925년 7월 3일.
- ↑ “决勝(결승)의野球(야구)구리戰(전)은 八對七(팔대칠)로培材軍(배재군)의惜敗(석패)”. 조선일보. 1925년 7월 5일.
- ↑ “悲壯(비장)히飜覆(번복)되는 最後決勝戰(최후결승전)에一點差(일점차)로培材惜敗(배재석패)”. 조선일보. 1925년 7월 6일.
- ↑ “中央優勝(중앙우승) 培材善戰無効(배재선전무효) 八對七(팔대칠)의스코아로 中等野球(중등야구)리구”. 동아일보. 1925년 7월 6일.
참고 문헌
[편집]- 대한체육회 100주년 기념사업부 (2020). 《대한민국 체육 100년》. 대한체육회.
- 《대한민국 체육 100년 Ⅰ 통사 (민족과 함께 한 대한민국 체육 100년)》. 대한체육회. 2020.
- 《대한민국 체육 100년 Ⅱ 민족의 구심체, 조선체육회 (1920~1945)》. 대한체육회. 2020.
- 《대한민국 체육 100년 Ⅲ 세계를 향한 도전 (1945~1980)》. 대한체육회. 2020.
- 《대한민국 체육 100년 Ⅳ 스포츠로 꽃피운 대한민국 (1981~2000)》. 대한체육회. 2020.
- 《대한민국 체육 100년 Ⅴ 스포츠강국을 넘어 선진국으로(2001~2020)》. 대한체육회. 2020.
- 《한국야구사》. 대한야구협회. 1999.
- 홍순일 (2013). 《한국 야구사 연표》 (PDF). 한국야구위원회.
- “中等學校野球(중등학교야구)리구戰(전)”. 조선일보. 1925년 6월 5일.
- “野球(야구)『팬』의期待(기대)만흔 中等學校野球(중등학교야구)리구戰(전)”. 조선일보. 1925년 6월 9일.
- “十七日(십칠일)부터十日間(십일간) 壯快(장쾌)할野球(야구)리구戰(전)”. 조선일보. 1925년 6월 10일.
- “本社主催(본사주최) 第一回(제일회) 中等學梭野球(중등학사야구)리구戰(전)”. 조선일보. 1925년 6월 10일.
- “本社主催(본사주최) 第一回(제일회) 中等學校野球(중등학교야구)리구戰(전)”. 조선일보. 1925년 6월 16일.
- “僅(근)히二日(이일)을隔(격)한 中等野球(중등야구)리구”. 조선일보. 1925년 6월 16일.
- “익여야조타!”. 조선일보. 1925년 6월 17일.
- “第一囘(제일회) 中等學校野球(중등학교야구)리구戰(전)”. 조선일보. 1925년 6월 17일.
- “朝鮮(조선)서첫競技(경기) 明日(명일)의野球(야구)리구”. 조선일보. 1925년 6월 17일.
- “祝賀飛行(축하비행)과 一般(일반)의注意(주의)”. 조선일보. 1925년 6월 17일.
- “半空(반공)에서落來(낙래)하는 飛行機(비행기)의投球(투구)로開幕(개막)”. 조선일보. 1925년 6월 18일.
- “第一囘(제일회) 中等學校野球(중등학교야구)리구戰(전)”. 조선일보. 1925년 6월 18일.
- “野球(야구)『리구』開戰(개전)”. 조선일보. 1925년 6월 18일.
- “半空(반공)에서落來(낙래)하는 飛行機(비행기)의投球(투구)로開幕(개막)”. 조선일보. 1925년 6월 18일.
- “野球(야구)리구戰入場券(전입장권)”. 조선일보. 1925년 6월 18일.
- “培材對養正(배재대양정) 雨中(우중)에奮戰(분전)!”. 조선일보. 1925년 6월 19일.
- “中央軍勝捷(중앙군승첩) -A對零徽文敗(대영휘문패) 中等野球(중등야구)리구”. 동아일보. 1925년 6월 19일.
- “本社主催中等野球(본사주최중등야구)리구戰記(전기)”. 조선일보. 1925년 6월 19일.
- “第一囘(제일회) 中等學校野球(중등학교야구)리구戰(전)”. 조선일보. 1925년 6월 19일.
- “야구전 사진”. 조선일보. 1925년 6월 20일.
- “冒雨(모우)한萬餘觀衆(만여관중) 二十(이십)A 對三(대삼)으로徽文勝戰(휘문승전)”. 조선일보. 1925년 6월 20일.
- “第一囘中等學校野球(제일회중등학교야구)리구戰(전)”. 조선일보. 1925년 6월 20일.
- “培材軍大勝(배재군대승) 23A對(대)1養正敗(양정패) 中等野球(중등야구)리꾸”. 조선일보. 1925년 6월 20일.
- “壯觀(장관)일今日競技(금일경기) 飛行機(비행기)로또投球(투구)”. 조선일보. 1925년 6월 20일.
- “本社主催中等野球(본사주최중등야구)리구戰記(전기)”. 조선일보. 1925년 6월 20일.
- “熱狂的(열광적)인數萬(수만)의愛球家(애구가) 白熱化(백열화)한好競技(호경기)!”. 조선일보. 1925년 6월 20일.
- “熱狂的(열광적)인數萬(수만)의愛球家(애구가) 白熱化(백열화)한好競技(호경기)!”. 조선일보. 1925년 6월 21일.
- “本社主催中等野球(본사주최중등야구)리구戰記(전기)”. 조선일보. 1925년 6월 22일.
- “인산인해”. 조선일보. 1925년 6월 22일.
- “培(배),中(중)리꾸戰(전) 勝負無効(승부무효)로中止(중지)”. 동아일보. 1925년 6월 22일.
- “第一囘中等學校野球(제일회중등학교야구)리구戰(전)”. 조선일보. 1925년 6월 22일.
- “第一囘(제일회) 中等學校野球(중등학교야구)리구戰(전)”. 조선일보. 1925년 6월 23일.
- “本社主催中等野球(본사주최중등야구)리구戰記(전기)”. 조선일보. 1925년 6월 24일.
- “斜風細雨中(사풍세우중)에 壯快(장쾌)한競技(경기)!”. 조선일보. 1925년 6월 24일.
- “第一囘(제일회) 中等學校野球(중등학교야구)리구戰(전)”. 조선일보. 1925년 6월 24일.
- “本社主催中等野球(본사주최중등야구)리구戰記(전기) 危機一髮(위기일발)의打擊戰(타격전)”. 조선일보. 1925년 6월 25일.
- “人海漲溢中(인해창일중)에 自熱(자열)한競技(경기)!”. 조선일보. 1925년 6월 25일.
- “第囘一中等學校野球(제회일중등학교야구)리구戰(전)”. 조선일보. 1925년 6월 25일.
- “第囘一中等學校野球(제회일중등학교야구)리구戰(전)”. 조선일보. 1925년 6월 25일.
- “養正對儆新(양정대경신) 一四對九養正勝(일사대구양정승) 中等野球(중등야구)리구”. 동아일보. 1925년 6월 25일.
- “第一囘(제일회) 中等學校野球(중등학교야구)리구戰(전)”. 조선일보. 1925년 6월 26일.
- “培材對儆新戰(배재대경신전) 開戰初(개전초) 부터 緊張(긴장)”. 조선일보. 1925년 6월 25일.
- “本社主催中等野球(본사주최중등야구)리구戰記(전기) 始終善戰(시종선전)하야”. 조선일보. 1925년 6월 26일.
- “莫上莫下(막상막하)인 兩軍(양군)의勇戰猛鬪(용전맹투)”. 조선일보. 1925년 6월 27일.
- “中等野球(중등야구)리구戰績(전적)”. 조선일보. 1925년 6월 27일.
- “中央軍大勝(중앙군대승) 十六對一養正敗(십륙대일양정패) 中等野球(중등야구)리구”. 동아일보. 1925년 6월 27일.
- “儆新軍慘敗(경신군참패) 十五對四培材勝(십오대사배재승)”. 동아일보. 1925년 6월 27일.
- “中等野球(중등야구)리구戰績(전적)”. 조선일보. 1925년 6월 27일.
- “中央軍大勝(중앙군대승) 十六對一養正敗(십륙대일양정패) 中等野球(중등야구)리구”. 동아일보. 1925년 6월 27일.
- “本社主催中等野球(본사주최중등야구)리구戰記(전기) 接戰十一回(접전십일회)에勝捷(승첩)한”. 조선일보. 1925년 6월 28일.
- “中等野球(중등야구)리구戰績(전적)”. 조선일보. 1925년 6월 28일.
- “養正軍勝利(양정군승리) 六對五徽文敗(육대오휘문패) 中等野球(중등야구)리꾸”. 동아일보. 1925년 6월 29일.
- “廿九日中等校野球(입구일중등교야구)리구戰延期(전연기)”. 조선일보. 1925년 6월 29일.
- “中等野球(중등야구)리구戰勝率(전승률)”. 조선일보. 1925년 7월 1일.
- “中等學校野球(중등학교야구)리구戰(전)”. 조선일보. 1925년 7월 3일.
- “中央對培材(중앙대배재)는今日(금일) 만도애구가의인긔의초점”. 조선일보. 1925년 7월 4일.
- “中央(중앙)과儆新(경신) 兩軍(양군)의奮戰(분전)”. 조선일보. 1925년 7월 4일.
- “第一回(제일회) 中等學校野球(중등학교야구)리구戰(전)”. 조선일보. 1925년 7월 4일.
- “决勝(결승)의野球(야구)구리戰(전)은 八對七(팔대칠)로培材軍(배재군)의惜敗(석패)”. 조선일보. 1925년 7월 5일.
- “力戰猛鬪(역전맹투)한儆新軍(경신군) 初陣(초진)을가다드머三點(삼점)을先取(선취)”. 조선일보. 1925년 7월 5일.
- “中央軍又勝(중앙군우승) 八(팔)A對七儆新敗(대칠경신패) 中等野球(중등야구)리구”. 동아일보. 1925년 7월 5일.
- “競技(경기)끗톄殺風景(살풍경)”. 동아일보. 1925년 7월 6일.
- “中央優勝(중앙우승) 培材善戰無効(배재선전무효) 八對七(팔대칠)의스코아로 中等野球(중등야구)리구”. 동아일보. 1925년 7월 6일.
- “悲壯(비장)히飜覆(번복)되는 最後決勝戰(최후결승전)에一點差(일점차)로培材惜敗(배재석패)”. 조선일보. 1925년 7월 6일.
- “個人打擊最高率(개인타격최고율)은 培材軍(배재군)의張炳善君(장병선군)이獲得(획득)”. 조선일보. 1925년 7월 8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