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22년 전조선축구대회 (동아일보 마산지국)
1922년 전조선축구대회 | |
---|---|
대회 명칭 | 제1회 전조선축구대회 |
개최국 | 일제강점기 조선 |
개최 도시 | 마산 |
개최 기간 | 1922년 7월 17일~7월 18일 |
주최 | 동아일보 마산지국 |
후원 | 유지제 |
선수단 | 10개 선수단 |
결과 | |
![]() | 조선불교청년회 축구단 |
![]() | 사자 축구단 |
1922년 전조선축구대회는 동아일보 마산지국 전조선축구대회의 1922년 시즌 축구 대회이다. 1922년 7월 17일부터 7월 18일까지 마산구락부 운동장에서 개최되었다.[1] 예선 경기는 60분 경기로 진행되었고 결승 경기는 90분 경기로 진행되었다.[2]
축구단
[편집]축구단 | 도시 | 첫 참가 | 횟수 | 비고 |
---|---|---|---|---|
김해청년회 축구단 | 김해 | 1922 | 1 | |
맹호 축구단 | 마산 | 1922 | 1 | |
밀양청년회 축구단 | 밀양 | 1922 | 1 | |
사자 축구단 | 마산 | 1922 | 1 | |
삼각 축구단 | 창원 | 1922 | 1 | |
일신강습 축구단 | 진주 | 1922 | 1 | |
조선불교청년회 축구단 | 경성 | 1922 | 1 | |
창원청년회 축구단 | 창원 | 1922 | 1 | |
철성의숙 축구단 | 고성 | 1922 | 1 | |
칠원청년회 축구단 | 함안 | 1922 | 1 |
경기 결과
[편집]1라운드 | 2라운드 | 준결승 | 결승 | |||||||||||
7월 17일 - 마산 | ||||||||||||||
일신강습 축구단 | 0 | |||||||||||||
7월 17일 - 마산 | ||||||||||||||
조선불교청년회 축구단 | 4 | |||||||||||||
조선불교청년회 축구단 | ||||||||||||||
부전승 | ||||||||||||||
7월 18일 - 마산 | ||||||||||||||
조선불교청년회 축구단 | 1 | |||||||||||||
7월 17일 - 마산 | ||||||||||||||
맹호 축구단 | 0 | |||||||||||||
김해청년회 축구단 | 기권 | |||||||||||||
7월 17일 - 마산 | ||||||||||||||
맹호 축구단 | ||||||||||||||
맹호 축구단 | 5 | |||||||||||||
7월 17일 - 마산 | ||||||||||||||
삼각 축구단 | 1 | |||||||||||||
칠원청년회 축구단 | 0 | |||||||||||||
7월 18일 - 마산 | ||||||||||||||
삼각 축구단 | 2 | |||||||||||||
조선불교청년회 축구단 | 1 | |||||||||||||
7월 17일 - 마산 | ||||||||||||||
사자 축구단 | 0 | |||||||||||||
밀양청년회 축구단 | 0 | |||||||||||||
7월 17일 - 마산 | ||||||||||||||
사자 축구단 | 2 | |||||||||||||
사자 축구단 | ||||||||||||||
부전승 | ||||||||||||||
7월 18일 - 마산 | ||||||||||||||
사자 축구단 | ||||||||||||||
7월 17일 - 마산 | ||||||||||||||
창원청년회 축구단 | 실격 | |||||||||||||
철성의숙 축구단 | 0 | |||||||||||||
7월 17일 - 마산 | ||||||||||||||
창원청년회 축구단 | 6 | |||||||||||||
창원청년회 축구단 | ||||||||||||||
부전승 | ||||||||||||||
김해청년회 축구단, 맹호 축구단, 밀양청년회 축구단, 사자 축구단, 삼각 축구단, 일신강습 축구단, 조선불교청년회 축구단, 창원청년회 축구단, 철성의숙 축구단, 칠원청년회 축구단 등 10개 선수단이 참가했다.[3]
1922년 7월 17일 10시 10분에 시작된 일신강습 축구단과 조선불교청년회 축구단 간의 1라운드 첫번째 경기는 조선불교청년회 축구단이 4:0으로 승리하며 다음 라운드에 진출했고, 김해청년회 축구단과 맹호 축구단 간의 1라운드 두번째 경기는 김해청년회 축구단의 불참으로 맹호 축구단이 부전승으로 2라운드에 진출했다.[4] 11시 25분에 시작된 철성의숙 축구단과 창원청년회 축구단 간의 1라운드 세번째 경기는 창원청년회 축구단이 6:0으로 승리했고, 뒤이어 진행된 밀양청년회 축구단 사자 축구단 간의 1라운드 네번째 경기는 사자 축구단이 1:0으로 승리하며 다음 라운드에 진출했다.[4] 같은 날 14시에 진행된 칠원청년회 축구단과 삼각 축구단 간의 1라운드 다섯번째 경기는 삼각 축구단이 2:0으로 이기며 2라운드에 진출했다.[4]
1922년 7월 17일 15시 40분에 시작된 맹호 축구단과 삼각 축구단 간의 2라운드 경기는 맹호 축구단이 5:1로 역전승하며 준결승에 진출했다.[4]
1922년 7월 18일 10시 30분에 진행된 사자 축구단과 창원청년회 축구단 간의 준결승 첫번째 경기는 창원청년회 축구단이 대회 규정을 위반한 사실이 확인되어 실격패가 선언되었다.[5] 같은 날 13시 35분에 시작된 조선불교청년회 축구단과 맹호 축구단 간의 준결승 두번째 경기는 조선불교청년회 축구단이 후반전에서 페널티킥 득점으로 1:0으로 승리하여 결승에 진출했다.[5]
1922년 7월 18일 16시에 진행된 조선불교청년회 축구단과 사자 축구단 간의 결승 경기는 조선불교청년회 축구단이 1:0으로 이기며 우승을 차지했다.[5]
각주
[편집]- ↑ “全鮮蹴球大會(전선축구대회)”. 동아일보. 1922년 7월 3일.
- ↑ “馬山開催(마산개최)의 蹴球大會(축구대회)”. 동아일보. 1922년 7월 10일.
- ↑ “十處(십처)의勇軍猛將(용군맹장)”. 동아일보. 1922년 7월 18일.
- ↑ 가 나 다 라 “細雨中(세우중)에勇戰苦鬪(용전고투)”. 동아일보. 1922년 7월 20일.
- ↑ 가 나 다 “優勝(우승)의榮冠(영관)은佛敎(불교)에 마산의젼조선츅구대회결승 불교와맹호군의최후백열젼”. 동아알보. 1922년 7월 21일.
참고 문헌
[편집]- 대한체육회 100주년 기념사업부 (2020). 《대한민국 체육 100년》. 대한체육회. 2023년 9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5월 9일에 확인함.
- “全鮮蹴球大會(전선축구대회)”. 동아일보. 1922년 6월 24일.
- “全鮮蹴球大會(전선축구대회)”. 동아일보. 1922년 6월 25일.
- “全鮮蹴球大會(전선축구대회)”. 동아일보. 1922년 6월 28일.
- “全鮮蹴球大會延期(전선축구대회연기)”. 동아일보. 1922년 6월 30일.
- “全鮮蹴球大會(전선축구대회)”. 동아일보. 1922년 7월 1일.
- “全鮮蹴球大會(전선축구대회)”. 동아일보. 1922년 7월 3일.
- “全鮮蹴球大會(전선축구대회)”. 동아일보. 1922년 7월 6일.
- “全鮮蹴球大會(전선축구대회)”. 동아일보. 1922년 7월 7일.
- “全鮮蹴球大會(전선축구대회)”. 동아일보. 1922년 7월 9일.
- “馬山開催(마산개최)의 蹴球大會(축구대회)”. 동아일보. 1922년 7월 10일.
- “全鮮蹴球大會(전선축구대회)”. 동아일보. 1922년 7월 11일.
- “臨迫(임박)한馬山蹴球(마산축구) 십오일까지신쳥”. 동아일보. 1922년 7월 14일.
- “十處(십처)의勇軍猛將(용군맹장)”. 동아일보. 1922년 7월 18일.
- “細雨中(세우중)에勇戰苦鬪(용전고투)”. 동아일보. 1922년 7월 20일.
- “優勝(우승)의榮冠(영관)은佛敎(불교)에 마산의젼조선츅구대회결승 불교와맹호군의최후백열젼”. 동아알보. 1922년 7월 2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