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도 막부 정이대장군
에도 막부 정이대장군 | |
---|---|
江戸幕府 征夷大將軍 | |
![]() | |
관저 | 에도성 |
소속 | 영외관 |
임기 | 종신직 |
상관 | 천황 |
부관 | 대로 |
초대 | 도쿠가와 이에야스 |
설치일 | 1603년 |
마지막 | 도쿠가와 요시노부 |
폐지일 | 1868년 |
에도 막부 정이대장군은 에도 시대 일본의 무가정권인 에도 막부의 정이대장군을 말한다. 도쿠가와 가문이 이 직책을 독점하였다. 아래는 에도 막부의 역대 정이대장군들을 나열한 목록이다.
목록
[편집]쇼군 계보도
[편집]대수 | 초상화 | 쇼군 | 원호 | 임기시작 | 임기종료 | 비고 |
---|---|---|---|---|---|---|
제1대 | 도쿠가와 이에야스 (德川家康) | 안코쿠인 (安國院) | 게이초 8년 2월 12일 (1603년 3월 24일) | 게이초 10년 4월 16일 (1605년 6월 2일) | 오카자키 출신. 마쓰다이라 가문의 8대 종주. 1607년부터 슨푸에서 오고쇼로 실권 행사. | |
제2대 | ![]() | 도쿠가와 히데타다 (德川秀忠) | 다이토쿠인 (台德院) | 게이초 10년 4월 16일 (1605년 6월 2일) | 겐나 9년 7월 27일 (1623년 8월 22일) |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아들. |
제3대 | ![]() | 도쿠가와 이에미쓰 (德川家光) | 다이유인 (大猷院) | 겐나 9년 7월 27일 (1623년 8월 22일) | 게이안 4년 4월 20일 (1651년 6월 7일) | 도쿠가와 히데타다의 아들. 막부 초기의 창업 작용 거의 마무리. |
제4대 | ![]() | 도쿠가와 이에쓰나 (德川家綱) | 겐유인 (嚴有院) | 게이안 4년 8월 18일 (1651년 10월 2일) | 엔포 8년 5월 8일 (1680년 6월 4일) | 도쿠가와 이에미쓰의 아들. 명실공히 최초의 수성(守城) 쇼군. |
제5대 | ![]() | 도쿠가와 쓰나요시 (德川綱吉) | 조겐인 (常憲院) | 엔포 8년 8월 23일 (1680년 9월 15일) | 호에이 6년 1월 10일 (1709년 2월 19일) | 도쿠가와 이에쓰나의 동생이자 양자. |
제6대 | ![]() | 도쿠가와 이에노부 (德川家宣) | 분쇼인 (文昭院) | 호에이 6년 5월 1일 (1709년 6월 8일) | 쇼토쿠 2년 10월 14일 (1712년 11월 12일) | 도쿠가와 쓰나요시의 조카이자 양자. |
제7대 | ![]() | 도쿠가와 이에쓰구 (德川家繼) | 유쇼인 (有章院) | 쇼토쿠 3년 4월 2일 (1713년 4월 26일) | 교호 원년 4월 30일 (1716년 6월 19일) | 도쿠가와 이에노부의 아들. |
제8대 | ![]() | 도쿠가와 요시무네 (德川吉宗) | 유토쿠인 (有德院) | 교호 원년 8월 13일 (1716년 9월 28일) | 엔쿄 2년 9월 25일 (1745년 10월 20일) |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손자. 기슈번 출신. 최초의 방계 쇼군. |
제9대 | ![]() | 도쿠가와 이에시게 (德川家重) | 쥰신인 (惇信院) | 엔쿄 2년 11월 2일 (1745년 11월 24일) | 호레키 10년 5월 13일 (1760년 6월 25일) | 도쿠가와 요시무네의 아들. |
제10대 | ![]() | 도쿠가와 이에하루 (德川家治) | 슌메이인 (浚明院) | 호레키 10년 5월 13일 (1760년 6월 25일) | 덴메이 6년 9월 8일 (1786년 10월 29일) | 도쿠가와 이에시게의 아들. |
제11대 | ![]() | 도쿠가와 이에나리 (德川家齊) | 분쿄인 (文恭院) | 덴메이 7년 4월 15일 (1787년 5월 31일) | 덴포 8년 4월 2일 (1837년 5월 6일) | 도쿠가와 요시무네의 증손. 1799년부터 쿠릴 열도 4도와 사할린 남부지역을 장악한 적이 있었음 |
제12대 | 도쿠가와 이에요시 (德川家慶) | 신토쿠인 (愼德院) | 덴포 8년 4월 2일 (1837년 5월 6일) | 가에이 6년 6월 22일 (1853년 7월 27일) | 도쿠가와 이에나리의 아들. | |
제13대 | ![]() | 도쿠가와 이에사다 (德川家定) | 온쿄인 (溫恭院) | 가에이 6년 11월 23일 (1853년 12월 23일) | 안세이 5년 7월 6일 (1858년 8월 14일) | 도쿠가와 이에요시의 아들. |
제14대 | ![]() | 도쿠가와 이에모치 (德川家茂) | 쇼토쿠인 (昭德院) | 안세이 5년 10월 25일 (1858년 11월 30일) | 게이오 2년 7월 20일 (1866년 8월 29일) | 도쿠가와 이에사다의 사촌이자 양자. |
제15대 | ![]() | 도쿠가와 요시노부 (德川慶喜) | - | 게이오 2년 12월 5일 (1867년 1월 10일) | 게이오 3년 12월 9일 (1868년 1월 3일) |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11세손. 미토번 출신. |
쇼군 가계도
[편집]- 도쿠가와 종가 당주
오다이노가타 ┬ 초대 이에야스 ┬ 노부야스 │ ├ 가메히메 ─ 다다아키라[1] │ ├ 히데야스[2] │ ├ 제2대 히데타다 ┬ 제3대 이에미쓰 ┬ 제4대 이에쓰나 │ │ │ ├ 제5대 쓰나요시[3] ─ 도쿠마쓰 │ │ │ └ 쓰나시게[4] ┬ 제6대 이에노부 ─ 제7대 이에쓰구 │ │ │ └ 기요타케[5] │ │ ├ 다다나가[6] │ │ └ 마사유키[7] │ ├ 다다요시[8] │ ├ 노부요시[9] │ ├ 다다테루[10] │ ├ 마쓰치요[11] │ ├ 센치요[12] │ ├ 요시나오[13] ─ 미쓰토모 ┬ 쓰나노부 │ │ ├ 요시유키[14] │ │ ├ 요시마사[15] │ │ └ 도모아키[16] │ ├ 요리노부[17] ┬ 미쓰사다 ┬ 쓰나노리 │ │ │ ├ 요리모토[18] │ │ │ └ 제8대 요시무네 ┬ 제9대 이에시게 ┬ 제10대 이에하루 ─ 이에모토 │ │ │ │ └ 시게요시[19] │ │ │ ├ 무네타케[20] │ │ │ └ 무네타다[21] ─ 하루사다 ┬ 제11대 이에나리 ┬ 제12대 이에요시 ─ 제13대 이에사다 │ │ │ │ └ 나리유키 ─ 제14대 이에모치 │ │ │ └ 나리마사 ─ 요시요리 ─ 제16대 이에사토 ─ 제17대 이에마사 │ │ ├ 요리즈미[22] │ │ └ 마쓰히메[23] ─ 노부마사 │ └ 요리후사[24] ┬ 요리시게[25] ┬ 쓰나에다 │ │ ├ 요리토시 ─ 요리토요 ─ 무네타카 ─ 무네모토 ─ 하루모리 ┬ 하루토시 ─ 나리아키 ┬ 제15대 요시노부 │ │ │ │ └ 아키타케 ─ 다케사다[26] │ │ │ └ 요시나리 ─ 요시타쓰 ─ 가타모리 ─ 쓰네오 ─ 이치로 ─ 제18대 쓰네나리 ─ 이에히로 │ │ └ 요리요시 ─ 요리히로[27] │ ├ 미쓰쿠니 ─ 요리쓰네 │ ├ 요리모토[28] │ ├ 요리타카[29] │ └ 요리오[30] ├ 야스모토[31] ├ 야스토시[32] ├ 사다카쓰[33] ┬ 사다유키[34] │ ├ 사다쓰나[35] │ ├ 사다후사[36] │ └ 사다마사[37] └ 마쓰히메[38] ─ 다다미쓰 ─ 미쓰시게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오쿠다이라 마쓰다이라가의 시조
- ↑ 에치젠 마쓰다이라가의 시조
- ↑ 다테바야시 도쿠가와가의 시조
- ↑ 고후 도쿠가와가의 시조
- ↑ 오치 마쓰다이라가의 시조
- ↑ 스루가 도쿠가와가의 시조
- ↑ 아이즈 마쓰다이라가의 시조
- ↑ 도조 마쓰다이라가의 당주
- ↑ 다케다씨의 당주
- ↑ 나가사와 마쓰다이라가의 당주
- ↑ 나가사와 마쓰다이라가의 당주
- ↑ 히라이와씨의 당주
- ↑ 오와리 도쿠가와가의 시조
- ↑ 요스야 마쓰다이라가의 시조
- ↑ 오쿠보 마쓰다이라가의 시조
- ↑ 가와다쿠보 마쓰다이라가의 시조
- ↑ 기슈 도쿠가와가의 시조
- ↑ 뉴 마쓰다이라가의 시조이자 제4대 기슈번주
- ↑ 시미즈 도쿠가와가의 시조
- ↑ 다야스 도쿠가와가의 시조
- ↑ 히토쓰바시 도쿠가와가의 시조
- ↑ 사이조 마쓰다이라가의 시조
- ↑ 다카쓰카사 마쓰다이라가의 시조 마쓰다이라 노부히라의 정실
- ↑ 미토 도쿠가와가의 시조
- ↑ 다카마쓰 마쓰다이라가의 시조
- ↑ 마쓰도 도쿠가와가의 시조
- ↑ 마쓰다이라 다이젠가의 시조
- ↑ 모리야마 마쓰다이라가의 시조
- ↑ 후추 마쓰다이라가의 시조
- ↑ 시시도 마쓰다이라가의 시조
- ↑ 히사마쓰 마쓰다이라가 적류 시조
- ↑ 다코 번계 히사마쓰 마쓰다이라가의 시조
- ↑ 사다카쓰계(이요 마쓰야마 번계) 히사마쓰 마쓰다이라종가의 시조
- ↑ 사다카쓰계 히사마쓰 마쓰다이라 종가의 당주
- ↑ 사다쓰나계(구와나번계) 히사마쓰 마쓰다이라가의 시조
- ↑ 사다후사계(이마바리번계) 히사마쓰 마쓰다이라가의 시조
- ↑ 가리야 번주, 후에 사다마사의 후손들은 하타모토로 전락
- ↑ 도다 마쓰다이라가의 시조(도다 종가의 당주) 마쓰다이라 야스나가의 정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