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랄코메나이우스

알랄코메나이우스
화석 범위:
캄브리아기 제3절~캄브리아기 중기
모식표본 화석
모식표본 화석
복원도
복원도
생물 분류ℹ️
역: 진핵생물역
계: 동물계
문: 절지동물문
강: 대협강
목: 레안코일리아목
과: 레안코일리아과
속: 알랄코메나이우스속
Simonetta, 1970
종: 알랄코메나이우스
학명
Alalcomenaeus cambricus
Simonetta, 1970

알랄코메나이우스(학명Alalcomenaeus cambricus 알랄코메나이우스 캄브리쿠스[*])는 캄브리아기 초중기 동안 가장 넓게 분포하고 오랫동한 살아남은 절지동물 가운데 하나로[1] 버지스 셰일 및 청장 생물군에서 300점 이상의 표본이 발굴되었다. 대협강레안코일리아과의 구성원 중 하나이다.[2]

형태 특징

[편집]

알랄코메나이우스는 세 개의 가운데눈이 있다. 옆눈은 두 개이며 눈자루가 달린다. 세 개의 길다란 채찍돌기가 달린 대협지(大鋏肢)를 가진다. 두 개의 좀 더 작은 머리다리가 바로 뒤에 달린다. 몸통다리와 머리다리는 이분지이며 내지는 뽀족하고 마디 져 있고 유연하고 다리 형태인 반면, 외지는 면적이 넓으며 지느러미를 닮았다.

알랄코메나이우스는 몸길이가 약 6cm에 달하나 그보다 작은 크기의 많은 표본들이 존재한다.[1] 머리는 방패가 덮고 있다. 노 모양의 꼬리지느러미가 몸 끝에 달리고 꼬리지느러미의 끝에 길고 납작한 가시들이 달리는데, 아마도 알랄코메나이우스가 물 속에서 추진력을 얻을 수 있게끔 해주었을 것이다.[1]

생태

[편집]

알랄코메나이우스는 아마도 아노말로카리스의 유영 방식으로 추진력을 얻기 위해 몸을 따라 달린 지느러미 형태의 외지로 파도에 부동(浮動)하며 헤엄쳤을 것이다.[1] 외지는 걸음에 최적회되어 있지 않으나, 해저를 따라 이동하는 데에는 도움을 주었을 것이다.[1] 조류의 엽상체에 달라붙는 것과 같은 다른 기능들이 있을 것으로 보이며, 조류의 엽상체에 달라붙거나 다른 동물을 붙잡아 찢어발기는 데 가장 적합해 보이는데, 이 동물이 청소동물이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1] 그러나, 이 동물의 커다란 눈과 내지 위로 가시 및 커다란 먹이 섭취기관이 합쳐진 길다란 채찍돌기는 육식성 생활 방식과 더 일치하며, 가장 최근의 가설에 따르면 해저나 그 바닥면에 사는 생물들을 잡아먹는 습성이 있었을 것으로 본다.[1]

분류 특성

[편집]

알랄코메나이우스는 초기에 갑각류의 줄기군에 속할 것으로 여겨졌으며, 레안코일리아, 악타이우스이오호이아와 함께 하나의 분류군으로 묶였다.[1] 이후에 대협지에 기반해 오파비니아류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았다.[1] 더 최신 분석에서는 이를 레안코일리아, 이오호이아뿐만 아니라 상크타카리스, 하벨리아, 사로트로케르쿠스시드니이아와 함께 거미형류 내의 어딘가로 분류시킨다. 상크타카리스와 레안코일리아의 연관성은 후속 연구에서 뒷받침되었고,[3] 악타이우스는 잘 이해되지 않아 이러한 연구에서 종종 제외된다.[1] 현재는 대협강에 포함된다.[4]

분포

[편집]

알랄코메나이우스는 버지스 셰일의 월컷 채석장에서는 매우 희귀해서 12점의 표본을 바탕으로 기재되었다. 버지스 셰일의 다른 노두가 발견되면서, 이 동물이 실제로 버지스 셰일 생물군의 우점종인 것이 분명해졌다. 또한 청장유타주에서도 발견되어, 긴 층서학적 범위를 가지고 있다.[1] 596점의 아성체 표본을 포함해 총 618점의 알랄코메나이우스 화석표본이 그레이터 필로포드 층에서 발견되었으며, 이들은 전체 군집의 1.2%를 차지하고 있다.[5]

각주

[편집]
  1. Briggs, D.E.G.; Collins, D. (1999). “The Arthropod Alalcomenaeus cambricus Simonetta, from the Middle Cambrian Burgess Shale of British Columbia”. 《Palaeontology》 42 (6): 953–977. Bibcode:1999Palgy..42..953B. doi:10.1111/1475-4983.00104. S2CID 129399862. 
  2. Georg Brenneis (2022). “The visual pathway in sea spiders (Pycnogonida) displays a simple serial layout with similarities to the median eye pathway in horseshoe crabs”. 《BMC Biology》 20 (1): 27. doi:10.1186/s12915-021-01212-z. PMC 8796508. PMID 35086529. 
  3. Hendricks, J.R.; Lieberman, B.S. (2008). “New Phylogenetic Insights into the Cambrian Radiation of Arachnomorph Arthropods”. 《Journal of Paleontology》 82 (3): 585–594. Bibcode:2008JPal...82..585H. doi:10.1666/07-017.1. S2CID 86058797. 
  4. Tanaka, Gengo; Hou, Xianguang; Ma, Xiaoya; Edgecombe, Gregory D.; Strausfeld, Nicholas J. (2013년 10월 17일). “Chelicerate neural ground pattern in a Cambrian great appendage arthropod”. 《Nature》 (영어) 502 (7471): 364–367. Bibcode:2013Natur.502..364T. doi:10.1038/nature12520. ISSN 0028-0836. PMID 24132294. S2CID 4456458. 
  5. Caron, Jean-Bernard; Jackson, Donald A. (2006년 10월). “Taphonomy of the Greater Phyllopod Bed community, Burgess Shale”. 《PALAIOS》 21 (5): 451–65. Bibcode:2006Palai..21..451C. doi:10.2110/palo.2003.P05-070R. JSTOR 20173022. S2CID 53646959.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