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로트로케르쿠스
![]() | |
---|---|
화석 범위: 캄브리아기 먀오링세 | |
![]() 화석 표본 | |
생물 분류ℹ️ | |
역: | 진핵생물역 |
계: | 동물계 |
문: | 절지동물문 |
강: | incertae sedis |
속: | †사로트로케르쿠스속 |
종: | †사로트로케르쿠스 |
학명 | |
†Sarotrocercus oblitus | |
Whittington, 1981 |

사로트로케르쿠스 (학명: Sarotrocercus oblitus 사로트로케르쿠스 오블리쿠스[*])는 버지스 셰일에서 발견된 작은 크기의 캄브리아기 절지동물로 몸 크기가 0.39–0.79 in에 달한다. 7점의 표본이 발견되었다.[1] 절지동물 왕관군에 놓여 있으며 최근 연구에 따라 원래 기재논문의 일부 요점들을 개정하였다.[1]
특징
[편집]
사로트로케르쿠스는 머리방패 뒤로 10~11개의 몸마디와 끝에 여러 가시가 달린 것이 특징인 꼬리마디가 이어져 있다.[1] 눈자루 끝에 달린 한 쌍의 큰 눈은 머리 앞에서 아래쪽으로 나와있다.[1] 머리에는 안쪽에 가시가 줄 지어 있는 두 쌍의 튼튼한 다리가 달려 있다.[1] 적어도 앞쪽에 있는 9개의 몸마디에는 다리가 각각 한 쌍씩 달리는데, 이는 가장자리를 센털로 두른 나뭇잎 모양의 겉다리이며, 안다리도 달려 있는지는 밝혀지지 않았다.[1]
생태
[편집]원본 기재 논문에 따르면, 사로트로케르쿠스는 몸통 다리의 운동과 길다란 꼬리의 가시다발의 운동을 통해 움직여 자유롭게 배영하는 유영성 원양동물로 여겨진다.[2] 버지스 셰일에는 수영하는 생물이 거의 없거나 발견되지 않기 때문에 이는 주로 표본의 희귀성에 근거한 것이다. 여러 생물들을 매장시킨 해저 산사태는 주로 저서생물과 유영생물을 질식시켰다.[2][3] 그러나 Haug et al. 2011의 재기재 논문에 따르면 사로트로케르쿠스는 저서성이거나 적어도 해저 바닥에 가까이 붙어 헤엄쳤을 것이며 강건한 머리 부속지는 오히려 움켜쥐거나 긁어 모으는 기능이 있었을 것으로 보고 있다.[1]
각주
[편집]-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Haug, J.T.; Maas, A.; Haug, C.; Waloszek, D. (2011). “Sarotrocercus oblitus - Small arthropod with great impact on the understanding of arthropod evolution?”. 《Bulletin of Geosciences》: 725–7??. doi:10.3140/bull.geosci.1283.
- ↑ 가 나 Whittington, H.B. (1981). “Rare Arthropods from the Burgess Shale, Middle Cambrian, British Columbia”.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of London. Series B, Biological Sciences》 (The Royal Society) (1060): 292. Bibcode:1981RSPTB.292..329W. doi:10.1098/rstb.1981.0033. JSTOR 2395674.
- ↑ Gabbott, S.E.; Zalasiewicz; Collins, D. (2008). “Sedimentation of the Phyllopod Bed within the Cambrian Burgess Shale Formation of British Columbi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165 (1): 307–318. Bibcode:2008JGSoc.165..307G. doi:10.1144/0016-76492007-023. S2CID 128685811.
외부 링크
[편집]- “Sarotrocercus oblita”. 《Burgess Shale Fossil Gallery》. Virtual Museum of Canada. 2011. 2017년 9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5년 2월 3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