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대문구의 행정 구역
서울 서대문구의 행정 구역은 14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면적은 17.69km2이다. 서대문구의 인구는 2012년 8월 1일을 기준으로 다음과 같다.[1]
행정 구역
[편집]
행정동 | 한자 | 면적 | 세대 | 인구 |
---|---|---|---|---|
충현동 | 忠峴洞 | 1.12 | 9,408 | 20,441 |
천연동 | 天然洞 | 0.97 | 8,567 | 20,267 |
북아현동 | 北阿峴洞 | 0.46 | 5,100 | 11,126 |
신촌동 | 新村洞 | 2.63 | 10,734 | 18,257 |
연희동 | 延禧洞 | 3.05 | 18,846 | 41,143 |
홍제제1동 | 弘濟第1洞 | 1.23 | 11,518 | 27,708 |
홍제제2동 | 弘濟第2洞 | 1.05 | 6,152 | 15,960 |
홍제제3동 | 弘濟第3洞 | 0.81 | 8,428 | 20,370 |
홍은제1동 | 弘恩第1洞 | 1.58 | 10,547 | 26,557 |
홍은제2동 | 弘恩第2洞 | 2.06 | 12,033 | 29,891 |
남가좌제1동 | 南加佐第1洞 | 0.48 | 1,933 | 4,088 |
남가좌제2동 | 南加佐第2洞 | 0.79 | 12,858 | 30,797 |
북가좌제1동 | 北加佐第1洞 | 0.53 | 4,000 | 10,293 |
북가좌제2동 | 北加佐第2洞 | 0.84 | 13,719 | 34,713 |
서대문구 | 西大門區 | 17.60 | 133,843 | 311,611 |
법정동
[편집]
행정동명 | 설명 | 법정동명 | 설명 |
---|---|---|---|
충현동 | 2008년 충정로동과 북아현3동이 충현동으로 합동 | 충정로2가(忠正路2街) | 죽첨정은 1943년 6월 신설된 서대문구에 속하였고, 1946년 10월 1일 충정로로 이름이 바뀌었다.[2] |
충정로3가(忠正路3街) | |||
합동(蛤洞) | 합정(蛤町)은 1943년 6월 신설된 서대문구에 속하였고, 1946년 10월 1일 합동으로 이름이 바뀌었다.[2] | ||
미근동(渼芹洞) | 미근정은 1943년 6월 신설된 서대문구에 속하였고, 1946년 10월 1일 미근동으로 이름이 바뀌었다.[2] | ||
북아현동(北阿峴洞) | 1936년 고양군 연희면 아현북리를 경성부에 편입하여 북아현정(町) 설치,[3] 1943년 6월 신설된 서대문구에 속하였고, 1946년 10월 1일 북아현동으로 이름이 바뀌었다.[2] | ||
북아현동 | 2008년 북아현1동과 북아현2동을 북아현동으로 합동 | 〃 | |
천연동 | 1978년 영천동 폐동, 1998년 현저동을 천연동으로 합동 | 냉천동(冷泉洞) | 냉천정은 1943년 6월 신설된 서대문구에 속하였고, 1946년 10월 1일 냉천동으로 이름이 바뀌었다.[2] |
천연동(天然洞) | 천연정은 1943년 6월 신설된 서대문구에 속하였고, 1946년 10월 1일 천연동으로 이름이 바뀌었다.[2] | ||
옥천동(玉川洞) | 옥천정은 1943년 6월 신설된 서대문구에 속하였고, 1946년 10월 1일 옥천동으로 이름이 바뀌었다.[2] | ||
영천동(靈泉洞) | 관정(館町)은 1943년 6월 신설된 서대문구에 속하였고, 1946년 10월 1일 영천동으로 이름이 바뀌었다.[2] | ||
현저동(峴底洞) | 현저정은 1943년 6월 신설된 서대문구에 속하였고, 1946년 10월 1일 현저동으로 이름이 바뀌었다.[2] | ||
신촌동 | 2008년 대신동과 창천동을 신촌동으로 합동 | 대신동(大新洞) | 1936년 고양군 연희면 대신리를 관할구역으로 경성부 대신정(~町) 설치[3] 1943년 6월 신설된 서대문구에 속하였고, 1946년 10월 1일 대신동으로 이름이 바뀌었다.[2] |
대현동(大峴洞) | 1936년 고양군 연희면 대현리를 관할구역으로 경성부 대현정(~町) 설치[3] 1943년 6월 신설된 서대문구에 속하였고, 1946년 10월 1일 대현동으로 이름이 바뀌었다.[2] | ||
신촌동(新村洞) | 1936년 고양군 연희면 신촌리를 관할구역으로 경성부 신촌정(新村町) 설치[3] 1940년 7월 경성부 북부출장소 신촌정, 1943년 6월 신설된 서대문구에 속하였고, 1946년 10월 1일 신촌동으로 이름이 바뀌었다.[2] | ||
봉원동(奉元洞) | 1936년 고양군 연희면 봉원리를 관할구역으로 경성부 봉원정(~町) 설치[3] 1943년 6월 신설된 서대문구에 속하였고, 1946년 10월 1일 봉원동으로 이름이 바뀌었다.[2] | ||
창천동(滄川洞) | 1936년 고양군 연희면 창천리를 관할구역으로 경성부 창천정(~町) 설치[3] 1943년 6월 신설된 서대문구에 속하였고, 1946년 10월 1일 창천동으로 이름이 바뀌었다.[2] | ||
연희동 | 2008년 연희1동, 연희2동, 연희3동을 연희동으로 합동 | 연희동(延禧洞) | 1936년 고양군 연희면 연희리, 남가좌리 중 홍제원천(弘濟院川) 좌안 지역을 관할구역으로 경성부 연희정(~町) 설치[3] 1943년 6월 신설된 서대문구에 속하였고, 1946년 10월 1일 창천동으로 이름이 바뀌었다.[2] |
홍제제1동 | 2008년 홍제2동을 홍제1동으로 합동 | 홍제동(弘濟洞) | 1914년 경기도 고양군 은평면 홍제내리(弘濟內里)에 속하였고, 1936년 경성부로 편입되면서 홍제정(弘濟町)되었다. 1943년 6월 신설된 서대문구에 속하였고, 1946년 10월 1일 홍제동으로 이름이 바뀌었다.[2] |
홍제제2동 | 2008년 홍제3동을 홍제2동으로 개칭 | ||
홍제제3동 | 2008년 홍제4동을 홍제3동으로 개칭 | ||
홍은제1동 | 1980년 홍은4동을 홍은2동으로 합동, 2008년 홍은2동을 홍은1동으로 합동 | 홍은동(弘恩洞) | 1949년 8월 13일 경기도 고양군 은평면 홍제외리(弘濟外里)가 서대문구(은평출장소에서 관할)로 편입되었다.[4] |
홍은제2동 | 2008년 홍은3동을 홍은제2동으로 개칭 | ||
남가좌제1동 | 남가좌동(南加佐洞) | 경기도 고양군 연희면에서 1949년 8월 13일 서대문구(은평출장소에서 관할)로 편입되었다.[4] | |
남가좌제2동 | |||
북가좌제1동 | 북가좌동(北加佐洞) | 북쪽으로는 응암동, 동쪽은 남가좌동, 남쪽으로는 중동, 서쪽으로는 불광천을 경계로 증산동과 접하고 있다. 2001년 현재 북가좌동의 면적은 1.37km2, 인구는 현재 5만 3667명이다. | |
북가좌제2동 | 1977년 북가좌동에서 분동 |
연혁
[편집]개편 전 | 개편 후 |
---|---|
서대문구 공덕정, 신공덕정, 아현정, 신수정, 현석정, 구수정, 신정정, 창전정, 상수일정, 하중일정, 하중정, 당인정, 서교정, 동교정, 합정정, 망원정, 율도정 | 마포구 공덕정, 신공덕정, 아현정, 신수정, 현석정, 구수정, 신정정, 창전정, 상수일정, 하수일정, 하중정, 당인정, 서교정, 동교정, 합정정, 망원정, 율도정 |
(변동없음) 부암정, 홍지정, 신영정, 은행정(銀杏町), 송월정, 홍파정, 평동정, 교남정, 교북동, 서소문정, 정동정(貞洞町), 화천정(和泉町), 의주통1정목, 의주통2정목, 중림정, 봉래정3정목, 봉래정4정목, 죽첨정, 합정(蛤町), 미근정, 북아현정, 냉천정, 천연정, 옥천정, 관정(館町), 현저정, 대신정, 대현정, 신촌정, 봉원정, 창천정, 연희정, 홍제정 |
- 1945년 10월 16일 서대문구역소를 서대문구청으로 개칭하였다.
- 1946년 10월 1일 기존의 ~정(町)의 행정구역을 ~동(洞)으로 일괄 변경하였다.[2]
- 1949년 8월 13일 경기도 고양군 은평면이 서대문구로 편입되었다.[4] 새로 편입된 지역을 관할하기 위해 서대문구 은평출장소가 설치되었다.[7]
개편 전 | 개편 후 |
---|---|
경기도 고양군 은평면 녹번리,응암리,홍제외리,신사리,구산리,역촌리,대조리,불광리,갈현리,평창리,구기리,북가좌리,남가좌리,성산리,중리,수색리,상암리,증산리 | 서대문구 은평출장소 녹번리,응암리,홍제외리,신사리,구산리,역촌리,대조리,불광리,갈현리,평창리,구기리,북가좌리,남가좌리,성산리,중리,수색리,상암리,증산리 |
(변동없음) 부암동, 홍지동, 신영동, 행촌동, 송월동, 홍파동, 평동, 교남동, 교북동, 서소문동, 정동, 순화동, 의주로2가, 중림동, 의주로1가, 충정로1가, 충정로2가, 충정로3가, 합동, 미근동, 북아현동, 냉천동, 천연동, 옥천동, 영천동, 현저동, 대신동, 대현동, 신촌동, 봉원동, 창천동, 연희동, 홍제동 |
개편 전 | 개편 후 |
---|---|
서대문구 노고산동 전부 및 대현동 일부 | 마포구 노고산동 |
마포구 아현동 일부 | 서대문구 북아현동 |
- 1970년 동 명칭과 관할 구역을 변경하였다. (41개동)
- 1973년 7월 1일 경기도 고양군 신도면 구파발리 등이 서대문구로 편입되어 행정동 진관동을 설치하였다.[8](42개동)
개편 전 | 개편 후 |
---|---|
경기도 고양군 신도면 구파발리, 진관내리, 진관외리 | 서대문구 은평출장소 구파발동, 진관내동, 진관외동 |
(변동없음) 은평출장소 녹번동, 불광동, 갈현동, 구산동, 대조동, 응암동, 역촌동, 신사동, 증산동, 수색동 |
개편 전 | 개편 후 |
---|---|
서대문구 평창동, 구기동, 부암동, 홍지동, 신영동, 행촌동, 송월동, 홍파동, 평동, 교남동, 교북동 전부 및 현저동, 충정로1가 일부 | 종로구 평창동, 구기동, 부암동, 홍지동, 신영동, 행촌동, 송월동, 홍파동, 평동, 교남동, 교북동 |
서대문구 서소문동, 정동, 순화동, 의주로2가, 중림동, 만리동1가, 만리동2가, 의주로1가, 충정로1가 전부 및 합동, 충정로3가 일부 | 중구 서소문동, 정동, 순화동, 의주로2가, 중림동, 만리동1가, 만리동2가, 의주로1가, 충정로1가 |
서대문구 상암동, 성산동과 수색동, 중동, 남가좌동, 연희동 중 일부 | 마포구 상암동, 성산동 |
(변동없음) 충정로2가, 충정로3가, 합동, 미근동, 북아현동, 냉천동, 천연동, 옥천동, 영천동, 현저동, 대신동, 대현동, 신촌동, 봉원동, 창천동, 연희동, 홍제동, 홍은동, 남가좌동, 북가좌동 | |
(변동없음) 은평출장소 녹번동, 불광동, 갈현동, 구산동, 대조동, 응암동, 역촌동, 신사동, 증산동, 진관내동, 진관외동, 구파발동, 수색동 |
개편 전 | 개편 후 |
---|---|
서대문구 은평출장소 녹번동, 불광동, 갈현동, 구산동, 대조동, 응암동, 역촌동, 신사동, 증산동, 진관내동, 진관외동, 구파발동, 수색동 | 은평구 녹번동, 불광동, 갈현동, 구산동, 대조동, 응암동, 역촌동, 신사동, 증산동, 진관내동, 진관외동, 구파발동, 수색동 |
(변동없음) 충정로2가, 충정로3가, 합동, 미근동, 북아현동, 냉천동, 천연동, 옥천동, 영천동, 현저동, 대신동, 대현동, 신촌동, 봉원동, 창천동, 연희동, 홍제동, 홍은동, 남가좌동, 북가좌동 |
- 1978년 10월 10일 영천동이 폐동되었다.
- 1980년 7월 1일 홍은4동이 홍은2동에 편입되었다. (22개동)
- 1998년 10월 7일 현저동이 천연동에 편입되었다.[11]:40 (21개동)
- 2001년 11월 20일 : 북가좌동 남청파인힐아파트 일대 지번[12]이 은평구 응암동으로 편입됨.[13]
- 2008년 5월 6일 충정로동과 북아현3동이 충현동으로, 북아현1동과 북아현2동이 북아현동으로, 대신동과 창천동이 신촌동으로, 연희1~3동이 연희동으로 합동되고, 홍제2동이 홍제1동으로, 홍은2동이 홍은1동으로 편입되고, 홍제4동이 홍제2동으로, 홍은3동이 홍은2동으로 개칭되었다. (14개동)
각주
[편집]- ↑ 주민등록인구통계 보관됨 2018-09-30 - 웨이백 머신, 2012년 8월 1일 기준, 2012년 8월 24일 확인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거 너 더 서울시 헌장 제1조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조선총독부 경기도 고시 제32호(1936년 3월 23일) 참조.
- ↑ 가 나 다 시·도의관할구역및구·군의명칭·위치·관할구역변경의건 (제정 1949년 8월 13일 대통령령 159호) 및 서울시구출장소설치에관한건 (제정 1949년 8월 13일 대통령령 160호)에 의함.
- ↑ 조선총독부령 제163호(1943년 6월 9일 공포) 참조.
- ↑ 조선총독부령 제350호(1944.10.23 공포)
- ↑ 서울시구출장소설치에관한건 (제정 1949년 8월 13일 대통령령 160호)에 의함.
- ↑ 서울특별시및경기도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법률 (제정 1973년 3월 12일 법률 2596호)
- ↑ 구의증설및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제정 1975년 9월 23일 대통령령 제7816호)
- ↑ 서울특별시은평구등7개구설치및구관할구역조정에관한규정 (제정 1979년 9월 26일 대통령령 제9630호)
- ↑ 《서대문구의회 의정백서 제8호》 (PDF). 서울. 2023년 12월 4일에 확인함.
- ↑ 북가좌동 275-1번지, 북가좌동 275-13번지
- ↑ 대통령령 제17394호 서울특별시서대문구와은평구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2001년 10월 20일 공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