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우나우암인


브라우나우암인(독일어: Braunau am Inn)은 오스트리아 북부 오버외스터라이히주에 있는 도시이다. 인구는 17,333명으로, 아돌프 히틀러의 출생지로 알려진 곳이다.
도나우강의 지류 인강 연안에 있으며 독일과의 국경에 위치한 국경 도시이자 통관항이다. 강 건너편에는 독일 바이에른주의 짐바흐암인이 있다. 린츠에서 서쪽으로 90km, 잘츠부르크에서 북쪽으로 60km 정도 떨어진 곳에 위치하며, 인 강 하류의 파사우가 동북쪽 50km 지점에 있다. 810년에 문헌에 처음 언급되었고, 1260년 시의 지위를 얻은 오스트리아에서 가장 오래 된 도시 중 하나이다. 인 강 연안의 소금 교역과 항해의 중심지였다. 본래 바이에른의 영토였으나, 1779년 오스트리아로 넘어왔다. 중세 시대의 주택과 성당이 많다. 장크트 슈테판 성당은 탑의 높이가 99m로, 오스트리아에서 세 번째로 높다.
지방의 작은 도시지만, 1889년 아돌프 히틀러가 이 도시에서 태어났다는 사실로 인하여 알려진 곳이 되었다. 세관 관리의 아들로 태어난 그는 이 곳에서 3살 때까지 살다 파사우로 옮겼다. 그의 생가로 여겨지는 건물 앞에는 히틀러의 만행으로 희생된 추모자들을 기리는 추모비가 세워져 있다. 추모비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Für Frieden Freiheit und Demokratie – nie wieder Faschismus – Millionen Tote Mahnen (평화, 자유, 그리고 민주주의를 위해. 다시는 파시즘이 없기를. 수백만의 죽음이 경고한다.)
인구
[편집]연도 | 인구 | ±% |
---|---|---|
1869 | 4,553 | — |
1880 | 5,078 | +11.5% |
1890 | 5,584 | +10.0% |
1900 | 6,021 | +7.8% |
1910 | 6,340 | +5.3% |
1923 | 6,678 | +5.3% |
1934 | 6,998 | +4.8% |
1939 | 7,850 | +12.2% |
1951 | 12,013 | +53.0% |
1961 | 14,457 | +20.3% |
1971 | 16,436 | +13.7% |
1981 | 16,318 | −0.7% |
1991 | 16,264 | −0.3% |
2001 | 16,337 | +0.4% |
2011 | 16,182 | −0.9% |
2015 | 16,380 | +1.2% |
기후
[편집]Aspach의 기후 | |||||||||||||
---|---|---|---|---|---|---|---|---|---|---|---|---|---|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역대 최고 기온 °C (°F) | 16.2 (61.2) | 19.9 (67.8) | 23.6 (74.5) | 26.4 (79.5) | 29.7 (85.5) | 32.2 (90.0) | 35.3 (95.5) | 34.4 (93.9) | 31.4 (88.5) | 24.5 (76.1) | 21.6 (70.9) | 16.6 (61.9) | 35.3 (95.5) |
일평균 최고 기온 °C (°F) | 1.9 (35.4) | 3.9 (39.0) | 8.9 (48.0) | 13.0 (55.4) | 18.7 (65.7) | 21.1 (70.0) | 23.4 (74.1) | 23.0 (73.4) | 18.9 (66.0) | 13.4 (56.1) | 6.3 (43.3) | 3.3 (37.9) | 13.0 (55.4) |
일일 평균 기온 °C (°F) | −1.9 (28.6) | −0.6 (30.9) | 3.7 (38.7) | 7.4 (45.3) | 12.8 (55.0) | 15.7 (60.3) | 17.7 (63.9) | 17.1 (62.8) | 12.9 (55.2) | 7.9 (46.2) | 2.6 (36.7) | −0.1 (31.8) | 7.9 (46.2) |
일평균 최저 기온 °C (°F) | −5.1 (22.8) | −4.0 (24.8) | −0.3 (31.5) | 2.4 (36.3) | 6.7 (44.1) | 10.1 (50.2) | 12.0 (53.6) | 11.5 (52.7) | 8.5 (47.3) | 4.0 (39.2) | −0.4 (31.3) | −3.2 (26.2) | 3.5 (38.3) |
역대 최저 기온 °C (°F) | −33.2 (−27.8) | −23.1 (−9.6) | −22.4 (−8.3) | −6.9 (19.6) | −5.2 (22.6) | 1.0 (33.8) | 2.2 (36.0) | −2.1 (28.2) | −2.1 (28.2) | −7.6 (18.3) | −25.0 (−13.0) | −25.6 (−14.1) | −33.2 (−27.8) |
평균 강우량 mm (인치) | 57.5 (2.26) | 44.9 (1.77) | 66.8 (2.63) | 71.2 (2.80) | 76.6 (3.02) | 104.9 (4.13) | 113.2 (4.46) | 91.8 (3.61) | 74.7 (2.94) | 58.9 (2.32) | 64.6 (2.54) | 68.0 (2.68) | 893.1 (35.16) |
평균 강설량 cm (인치) | 9.8 (3.9) | 8.9 (3.5) | 5.0 (2.0) | 2.3 (0.9) | 0.0 (0.0) | 0.0 (0.0) | 0.0 (0.0) | 0.0 (0.0) | 0.0 (0.0) | 0.0 (0.0) | 4.6 (1.8) | 11.2 (4.4) | 3.5 (1.4) |
평균 강수일수 (≥ 1.0 mm) | 9.2 | 8.1 | 10.0 | 10.2 | 8.7 | 11.7 | 10.9 | 8.8 | 8.4 | 7.6 | 9.6 | 10.6 | 113.8 |
평균 강설일수 (≥ 1.0 cm) | 14.1 | 9.6 | 4.9 | 1.7 | 0.0 | 0.0 | 0.0 | 0.0 | 0.0 | 0.1 | 4.0 | 9.6 | 3.7 |
평균 월간 일조시간 | 55.3 | 86.0 | 126.0 | 158.3 | 221.5 | 204.8 | 234.1 | 226.9 | 164.8 | 119.1 | 60.0 | 44.9 | 1,701.7 |
출처: [1] |
각주
[편집]외부 링크
[편집]위키미디어 공용에 브라우나우암인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