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드레드 드레슬하우스
밀드레드 드레슬하우스 Mildred Dresselhaus | |
![]() 2012년 백악관에서 드레슬하우스 | |
출생 | 1930년 11월 11일 미국, 뉴욕주, 브룩클린 |
---|---|
사망 | 2017년 2월 20일 미국, 메사추세츠 주, 캠브리지 | (86세)
출신 학교 | 헌터 칼리지 캠브리지 대학교 래드클리프 칼리지 시카고 대학교 |
주요 업적 | 탄소 나노튜브 |
수상 |
|
박사 지도학생 |
밀드레드 드레슬하우스(Mildred Dresselhaus,[1] 결혼 전 성 Spiewak; 1930년 11월 11일 – 2017년 2월 20일)[2]는 "탄소 과학의 여왕"[3]으로 알려져 있는 미국의 나노기술자이다. 그녀는 매서추세츠 공과대학교에서 물리학 및 전기 공학 연구소 교수이자 명예 교수였다.[4] 대통령 자유 메달, 국가 과학 메달, 엔리코 페르미 상, 바네바 부시 상 등 많은 상을 수상했다.
어린 시절 및 교육
[편집]드레슬하우스는 1930년 11월 11일 미국 뉴욕 브루클린에서 폴란드 유대인 이민자인 에텔(Ethel 또는 Teichtheil)과 마이어 스피워크(Meyer Spiewak)의 딸로 태어났다.[5][6] 그녀 가정이 대공황의 영향을 많이 받았기 때문에 드레슬하우스는 어린 시절부터 집에서 조립 작업을 하고 여름에는 지퍼 공장에서 일함으로써 가족의 수입을 도왔다.[7][8] 초등학생으로서 드레슬하우스의 첫 번째 '가르치는 직업'은 주당 50센트를 받고 특수 교육이 필요한 학생을 가르치는 일이었는데, 이로써 훌륭한 교사가 되는 방법을 배웠다.[8]
드레슬하우스는 미국 자연사 박물관과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등과 같은 뉴욕의 무료 박물관에서 과학에 대한 그녀의 관심이 생겨났다고 말했다.[7] 그녀와 형제인 어빙 스피워크(Irving Spiewak)는 모두 그리니치 하우스 음악학교의 장학생이었는데, 이 학교에서는 그녀에게 음악적, 예술적, 지적 성향의 다른 세계를 소개해 주었다.[8]
드레슬하우스는 브롱크스에서 자라 초등학교를 다녔다. 그녀 오빠가 헌터 칼리지 고등학교에 지원할 기회를 그녀에게 알려주었는데, 이 고등학교에서 성적이 탁월하여 동료 학생들을 지도하면서 교사로서의 연습도 했다.[7]
헌터 칼리지에서의 경험
[편집]드레슬하우스는 뉴욕의 헌터 칼리지를 다녔다. 헌터 칼리지는 전통적으로 여자 대학이었는데, 그녀가 재학 중일 때 브롱크스 캠퍼스가 수많은 남성 1944년 전역병 후원법(G.I. Bill) 수혜자들에게 개방되었다.[9] 그녀는 나중에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과학 수업을 듣는 남학생들은 반에서 최하위를 향해 가고 있었어요. . . . 그들은 항상 나에게 도움을 청하곤 했어요. . . . 이것은 내 이야기에서 어느 정도 중요할 수 있는데, 왜냐하면 저는 대학에서 과학이 남자의 직업이라는 생각을 한 적이 없었기 때문입니다.[10]
헌터 칼리지 재학 중, 그녀의 교수 중 한 명으로 미래의 노벨상 수상자인 로절린 얠로는 드레슬하우스에 관심을 갖고 그녀에게 대학원 펠로우십에 지원하고 물리학 분야에서 경력을 쌓도록 격려했다. 드레슬하우스는 1951년에 인문학(liberal arts) 학사 학위를 받고 졸업했다.[2][7]
대학 졸업 후
[편집]그녀는 풀브라이트 장학생으로 캠브리지 대학교에서 대학원 과정을 마쳤는데 래드클리프 칼리지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다. 그후 1958년 시카고 대학교에서 노벨상 수상자 엔리코 페르미 밑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11] 그 후 코넬 대학교 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2년을 보낸 후 MIT 링컨 연구소에 직원으로 이직하였다.
경력 및 유산
[편집]그녀는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에서 57년간 재직하였다.[12] 1967년에 MIT에서 전기공학과의 애비 로커펠러 마우제(Abby Rockefeller Mauzé) 방문 교수가 되었고, 1968년에 종신 교수가 되었으며, 1983년에 물리학 교수로 되었다. 1985년 그녀는 MIT 최초의 여성 연구소 교수로 임명되었다.[13][14] 그녀가 연구한 이국적인 화합물이 현대 과학 및 공학과 관련성이 점점 더 증가함에 따라 그녀는 세계 최고 전문가가 되어 표준 교과서 중 하나를 저술할 수 있는 특출한 위치에 놓이게 되었다.[15] 그녀의 이 분야에 대한 기초 작업에 의하여 이후에 안드레 가임과 콘스탄틴 노보셀로프가 그래핀을 분리하고 그 성질을 연구하여 2010년 노벨상을 수상하게 되었다.[7]
드레슬하우스는 1990년 재료의 전자적 특성에 대한 연구와 과학 및 공학 분야에서 여성의 기회 확대에 대한 공로를 인정받아 국가 과학 메달을 수상했다.[16][17] 2005년에는 기술, 경제 및 고용 부문에서 제11회 하인즈 상을 수상하고,[18] 2008년에는 외르스테드 메달을 수상했다. 2012년 버턴 릭터[19]와 함께 엔리코 페르미 상을 공동 수상하고, 또한 "나노구조에서 포논, 전자-포논 상호 작용 및 열 수송 연구에 대한 그녀의 선구적인 공헌으로"[20] 카블리 상을 수상했다.[3] 2014년에 그녀는 대통령 자유 메달을 수상했으며[21] 2014년에는 미국 발명가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22] 2015년에는 IEEE 명예 메달(Medal of Honor)를 받았다.
2000~2001년에 그녀는 미국 에너지부 과학국의 책임자였다. 2003년부터 2008년까지 그녀는 미국 물리학 협회의 이사회 의장이었다. 그녀는 또한 미국 물리학회(APS)의 회장, 미국 과학 진흥 협회의 첫 여성 회장, 미국 국립 과학원의 회계 담당을 역임했다.
그녀가 지도한 학생으로는 드보라 청(Deborah Chung)[23]과 같은 저명한 재료 과학자와 네이창 예(Nai-Chang Yeh 및 그레그 팀프(Greg Timp)와 같은 물리학자가 있다.

드레슬하우스의 이름을 딴 몇 가지 물리 이론이 있는데, 힉스-드레슬하우스 모델 ( 린든 힉스 및 드레슬하우스)[24] 은 저차원 열전기 현상에 대한 최초의 기초 모델로, 이 모델에 의하여 전체 밴드 필드가 시작되었다. SFDD 모델( 리이치로 사이토, 미츠타가 후지타, 진 드레슬하우스 및 밀드레드 드레슬하우스)[25]에서는 탄소 나노튜브의 밴드 구조를 최초로 예측했다. 하지만 드레슬하우스 효과는 그녀 남편인 진 드레슬하우스가 모델링한 스핀-궤도 상호 작용 효과이다.
드레슬하우스는 여성의 물리학 참여를 촉진하기 위한 노력을 지원하는 데 많은 시간을 할애했다. 1971년 그녀와 동료는 과학 및 공학 분야에서 여성의 역할을 탐구하는 세미나로 MIT에서 최초의 여성 포럼을 조직했다. 그녀의 유산을 기리기 위해 미국 물리학회(APS)에서는 물리학 분야의 여성을 지원하기 위해 밀리에 드레슬하우스(Millie Dresselhaus) 기금을 조성하였다.[26] 드레셀하우스는 2017년 STEM 직급에서 여성의 수를 늘리는 것을 목표로 하는[27] 제너럴 일렉트릭 텔레비전 광고의 얼굴로 나와서 "여성 과학자가 유명인이라면 어떨까?"라는 질문을 던지기도 했다.
2019년 전기전자공학회 (IEEE) 이사회는 IEEE 밀드레드 드레슬하우스 메달을 제정하여 매년 "과학 및 공학 분야의 탁월한 기술적 공헌, IEEE 관심 분야에 큰 영향을 미친" 사람에게 수여한다.[28]
과학지식에 대한 기여
[편집]드레슬하우스는 특히 흑연, 흑연 층간 화합물, 풀러렌, 탄소 나노튜브 및 저차원 열전기에 대한 연구로 유명하다. 그녀의 연구그룹은 전자 밴드 구조, 라만 산란 및 탄소 나노구조의 광물리학을 자주 이용했다. 그녀의 연구는 의류와 스마트폰을 포함하여 전자 제품이 "어디에나" 있을 수 있도록 하는 얇은 흑연 기반 기술 개발에 도움이 되었다.[12]
1960년대에 레이저가 등장하면서 드레슬하우스는 자기광학 실험에 레이저를 사용하기 시작했고, 나중에 흑연의 전자 구조에 대한 새로운 모델을 만들었다.[29] 그녀의 연구의 상당 부분은 탄소 나노튜브의 전기적 특성과 나노와이어의 열전 특성 향상에 중점을 둔 '버키볼'과 그래핀 연구에 관한 것이다.[30]
사생활
[편집]그녀의 첫 남편은 물리학자 프레드릭 라이프인데,[31] 1958년 진 드레슬하우스와 재혼했다. 남편 진 드레슬하우스는 이후에 이론학자로 또한 드레슬하우스 효과 발견자로 유명해진다.[32] 그들은 매리안, 칼, 폴, 엘리엇의 네 자녀와 다섯 명의 손주를 두었다.
명예와 상
[편집]- 2015년 취리히 연방공과대학 명예박사학위[33]
- IEEE 명예 메달, 2015 (최초의 여성 수상자)
- 2014년 미국 발명가 명예의 전당 입성[34]
- 대통령 자유 훈장, 2014[35]
- 홍콩이공대학교 명예 이학박사, 홍콩, 2013[36]
- 폰 히펠 상, 재료연구학회, 2013[37]
- 2012년 나노과학 부문 카블리상
- 2012년 엔리코 페르미 상 (두 번째 여성 수상자)
- 배네바 부시 상 (두 번째 여성 수상자), 2009
- 2009년 화학 과학 분야에서 여성을 장려하기 위한 ACS 상
- 올리버 버클리 응집물질 상, 미국물리학회, 2008
- 외르스테드 메달, 2007
- 2007년 로레알-유네스코 여성 과학자상
- 기술, 경제 및 고용에 대한 하인즈 상, 2005
- IEEE 설립자 메달 수상자, 2004
- 2001년 미국 물리학회(American Institute of Physics) 물리학 리더십에 대한 칼 테일러 컴튼 메달)
- 2001년 미국 탄소 학회, 탄소 과학 및 기술 공로 메달
- 이오페 연구소 명예 회원, 러시아 과학 아카데미, 상트페테르부르크, 러시아, 2000
- 2000년 재료 학회 연합의 국가 물질 진보 상(National Materials Advancement Award)
- 2000년 2월 벨기에 루벤 가톨릭대학교 명예박사
- 니콜슨 메달, 미국 물리학회, 2000년 3월[38]
- 바이츠만 연구소의 밀레니엄 종신 공헌 상, 2000년 6월
- SGL 카본 상, 미국 카본 학회, 1997
- 미국 철학회 회원, 1995[39]
- 국가 과학 훈장, 1990
- 미국 국립 과학원 회원, 1985년[40]
-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 회원, 1974[41]
- 1977년 여성공학회 공로상
- 노르웨이 과학 문학 아카데미 연구원[42]
출판물 일부
[편집]- Steinbeck, J.; Braunstein, G.; Speck, J.; Dresselhaus, M. S.; Huang, C. Y.; Malvezzi, A. M.; Bloembergen, N. (1986). “Analysis of Picosecond Pulsed Laser Melted Graphite”. 《MRS Proceedings》 (Springer Science and Business Media LLC) 74. doi:10.1557/proc-74-263. ISSN 0272-9172.
- di Vittorio, S.L.; Dresselhaus, M.S.; Endo, M.; Issi, J-P.; Piraux, L. (1990년 7월 1일). The transport properties of activated carbon fibers (보고서). Office of Scientific and Technical Information (OSTI). doi:10.2172/6882792.
- Kuriyama, K.; Dresselhaus, M.S. (1991). “Photoconductivity of activated carbon fibers”. 《Journal of Materials Research》 (Springer Science and Business Media LLC) 6 (5): 1040–1047. Bibcode:1991JMatR...6.1040K. doi:10.1557/jmr.1991.1040. ISSN 0884-2914. S2CID 94864974.
- Farmer, J.C.; Barbee, T.W. Jr.; Chapline, G.C. Jr.; Olsen, M.L.; Foreman, R.J.; Summers, L.J.; Dresselhaus, M.S.; Hicks, L.D. (1995년 1월 20일). Synthesis and evaluation of single layer, bilayer, and multilayer thermoelectric thin films (보고서). Office of Scientific and Technical Information (OSTI). doi:10.2172/93595.
- M. S. Dresselhaus; P. C. Eklund (2000). “Phonons in carbon nanotubes” (PDF). 《Advances in Physics》 49 (6): 705. Bibcode:2000AdPhy..49..705D. CiteSeerX 10.1.1.170.631. doi:10.1080/000187300413184. S2CID 122447852. January 9, 2007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 M. S. Dresselhaus; G. Samsonidze; S. G. Chou; G. Dresselhaus; J. Jiang; R. Saito; A. Jorio. “Recent Advances in Carbon Nanotube Photo-physics” (PDF). 2006년 7월 2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 M. S. Dresselhaus; G. Dresselhaus (2002). “Intercalation Compounds of Graphite” (PDF). 《Advances in Physics》 51 (1): 1. Bibcode:2002AdPhy..51....1D. CiteSeerX 10.1.1.170.2655. doi:10.1080/00018730110113644. S2CID 123597602. January 9, 2007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 M. S. Dresselhaus (2004). “Big Opportunities for Small Objects”. 《Materials Today Magazine》 5 (11): 48. doi:10.1016/S1369-7021(02)01164-1.
- M. S. Dresselhaus, G. Dresselhaus and A. Jorio (2004). “Unusual Properties and Structures of Carbon Nanotubes” (PDF). 《Annual Review of Materials Research》 34 (1): 247. Bibcode:2004AnRMS..34..247D. doi:10.1146/annurev.matsci.34.040203.114607. January 11, 2006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 M. S. Dresselhaus; G. Dresselhaus; R. Saito; A. Jorio (2005). “Raman Spectroscopy of Carbon Nanotubes” (PDF). 《Physics Reports》 409 (2): 47. Bibcode:2005PhR...409...47D. doi:10.1016/j.physrep.2004.10.006. January 9, 2007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 M. S. Dresselhaus; H. Dai (2004). “Carbon Nanotubes: Continued Innovations and Challenges”. 《MRS Bulletin》 29 (4): 237. doi:10.1557/mrs2004.74.
- J. Heremans; M. S. Dresselhaus (2005). “Low Dimensional Thermoelectricity” (PDF). 《CRC Handbook - Molecular and Nano-electronics: Concepts, Challenges, and Designs》. January 9, 2007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 M. S. Dresselhaus, R. Saito and A. Jorio (2004). “Semiconducting Carbon Nanotubes” (PDF). 《Proceedings of ICPS-27》. January 9, 2007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 S. G. Chou; F. Plentz-Filho; J. Jiang; R. Saito; D. Nezich; H. B. Ribeiro; A. Jorio; M. A. Pimenta; G. Samsonidze; A. P. Santos; M. Zheng; G. B. Onoa; E. D. Semke; G. Dresselhaus; M. S. Dresselhaus (2005). “Photo-excited Electron Relaxation Process Observed in Photoluminescence Spectroscopy of DNA-wrapped Carbon Nanotube”. 《Physical Review Letters》 94 (12): 127402. Bibcode:2005PhRvL..94l7402C. doi:10.1103/PhysRevLett.94.127402. PMID 15903960.
- M. S. Dresselhaus (2004). “Nanotubes: a step in synthesis”. 《Nature Materials》 3 (10): 665–6. Bibcode:2004NatMa...3..665D. doi:10.1038/nmat1232. PMID 15467687. S2CID 29431916.
- M. S. Dresselhaus (2004). “Applied Physics: Nanotube Antennas”. 《Nature Materials》 432 (7020): 959–60. Bibcode:2004Natur.432..959D. doi:10.1038/432959a. PMID 15616541. S2CID 37208770.
- S. B. Fagan; A. G. Souza-Filho; J. Mendes-Filho; P. Corio; M. S. Dresselhaus (2005). “Electronic Properties of Ag- and CrO3-filled Single-wall Carbon Nanotubes” (PDF). 《Chemical Physics Letters》 406 (1–3): 54. Bibcode:2005CPL...406...54F. doi:10.1016/j.cplett.2005.02.091. January 9, 2007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 Y. A. Kim; H. Muramatsu; T. Hayashi; M. Endo; M. Terrones; M. S. Dresselhaus (2004). “Thermal Stability and Structural Changes of Double-walled Carbon Nanotubes by Heat Treatment” (PDF). 《Chemical Physics Letters》 398 (1–3): 87. Bibcode:2004CPL...398...87K. doi:10.1016/j.cplett.2004.09.024. January 9, 2007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 G. Samsonidze; R. Saito; N. Kobayashi; A. Gruneis; J. Jiang; A. Jorio; S. G. Chou; G. Dresselhaus; M. S. Dresselhaus (2004). “Family Behavior of the Optical Transition Energies in Single-wall Carbon Nanotubes of Smaller Diameters” (PDF). 《Applied Physics Letters》 85 (23): 5703. Bibcode:2004ApPhL..85.5703S. doi:10.1063/1.1829160. 2006년 1월 11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 S. G. Chou; H. B. Ribeiro; E. Barros; A. P. Santos; D. Nezich; G. Samsonidze; C. Fantini; M. A. Pimenta; A. Jorio; F. Pletz-Filho; M. S. Dresselhaus; G. Dresselhaus; R. Saito; M. Zheng; G. B. Onoa; E. D. Semke; A. K. Swan; B. B. Goldberg; M. S. Unlu (2004). “Optical Characterization of DNA-wrapped Carbon Nanotube Hybrids” (PDF). 《Chemical Physics Letters》 397 (4–6): 296. Bibcode:2004CPL...397..296C. doi:10.1016/j.cplett.2004.08.117. 2006년 1월 11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 E. I. Rogacheva; O. N. Nashchekina; A. V. Meriuts; S. G. Lyubchenko; O. Vekhov; M. S. Dresselhaus; G. Dresselhaus (2005). “Quantum Size Effects in PbTe/SnTe/PbTe Heterostructures”. 《Applied Physics Letters》 86 (6): 063103. Bibcode:2005ApPhL..86f3103R. doi:10.1063/1.1862338.
- H. Son; Y. Hori; S. G. Chou; D. Nezich; G. Samsonidze; E. Barros; G. Dresselhaus; M. S. Dresselhaus (2004). “Environment Effects on the Raman Spectra of Individual Single-wall Carbon Nanotubes: Suspended and Grown on Polycrystalline Silicon” (PDF). 《Applied Physics Letters》 85 (20): 4744. Bibcode:2004ApPhL..85.4744S. doi:10.1063/1.1818739. 2007년 1월 9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 C. Fantini; A. Jorio; M. Souza; A. J. Mai Jr.; M. S. Strano; M. A. Pimenta; M. S. Dresselhaus (2004). “Optical Transition Energies and Radial Breathing Modes for HiPco Carbon Nanotubes from Raman Spectroscopy” (PDF). 《Physical Review Letters》 93 (14): 147406. Bibcode:2004PhRvL..93n7406F. doi:10.1103/PhysRevLett.93.147406. PMID 15524844. January 9, 2007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 S. B. Cronin; A. K. Swan; M. S. Unlu; B. B. Goldberg; M. S. Dresselhaus; M. Tinkham (2004). “Measuring Uniaxial Strain in Individual Single-wall Carbon Nanotubes: Resonance Raman Spectra of AFM Modified SWNTs” (PDF). 《Physical Review Letters》 93 (16): 167401. Bibcode:2004PhRvL..93p7401C. doi:10.1103/PhysRevLett.93.167401. PMID 15525030. January 11, 2006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각주
[편집]- ↑ Mildred Dresselhaus was elected in 1974 as a member of National Academy of Engineering in Electronics, Communication & Information Systems Engineering and Materials Engineering for contributions to the experimental studies of metals and semimetals, and to education.
- ↑ 가 나 MIT News Office (2017년 2월 21일). “Institute Professor Emerita Mildred Dresselhaus, a pioneer in the electronic properties of materials, dies at 86”. 《MIT News》. 2017년 2월 21일에 확인함.
- ↑ 가 나 Queen of Carbon Science, U.S. News & World Report. By Marlene Cimons, National Science Foundation. July 27, 2012. Retrieved August 14, 2012.
- ↑ Natalie Angier (2012년 7월 2일). “Carbon Catalyst for Half a Century”. 《New York Times》. 2012년 7월 3일에 확인함.
- ↑ 《Who's who in Frontier Science and Technology》 (영어). Marquis Who's Who. 1984. ISBN 9780837957012.
- ↑ Madsen, Lynnette (2016년 1월 15일). 《Successful Women Ceramic and Glass Scientists and Engineers: 100 Inspirational Profiles》 (영어). John Wiley & Sons. ISBN 9781118733714.
- ↑ 가 나 다 라 마 Martin, Joseph D. (October 2019). “Mildred Dresselhaus and Solid State Pedagogy at MIT”. 《Annalen der Physik》 (영어) 531 (10): 1900274. Bibcode:2019AnP...53100274M. doi:10.1002/andp.201900274. ISSN 0003-3804.
- ↑ 가 나 다 Weinstock, Maia (2022). 《Carbon Queen: The Remarkable Life of Nanoscience Pioneer Mildred Dresselhaus》. The MIT Press. ISBN 9780262046435.
- ↑ “History of Lehman College”. 《lehman.smartcatalogiq.com》. 2020년 10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10월 13일에 확인함.
- ↑ M. S. Dresselhaus, interview with S. Sherkow, 7 and 15 June, 11 and 19 August, 13, 20, 22, 24, and 30 September, and 15 October 1976. MIT Archives and Special Collections, Cambridge, MA, USA 18.
- ↑ Hagerty, James R. (2017년 3월 4일). “Millie Dresselhaus Burst Out of the 1940s Mold for Smart Young Women”. 《Wall Street Journal》 (미국 영어). ISSN 0099-9660. 2019년 5월 3일에 확인함.
- ↑ 가 나 “Mildred Dresselhaus: Physicist Burst out of 1940s Mold for Smart Women”. 《Wall Street Journal》. 2017년 3월 4일. A9면. 2017년 3월 5일에 확인함.[깨진 링크]
- ↑ “SENATE CONFIRMS DRESSELHAUS AS DIRECTOR OF DOE OFFICE OF SCIENCE”. U.S. Senate Committee on Energy and Natural Resources. 2000년 7월 27일. 2015년 4월 18일에 확인함.
- ↑ “NSF and NSB Pay Tribute to Three Top American Scientists and Public Service Awardees at Annual Ceremony”. US National Science Foundation (NSF). 2015년 4월 18일에 확인함.
- ↑ Dresselhaus, M. S. (1996). 《Science of fullerenes and carbon nanotubes》. Dresselhaus, G.,, Eklund, P. C. San Diego: Academic Press. ISBN 978-0-12-221820-0. OCLC 162571937.
- ↑ “Dresselhaus Wins Medal of Science” (보도 자료). MIT News Office. 1990년 11월 14일. 2005년 5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5월 30일에 확인함.
- ↑ “National Science Foundation - The President's National Medal of Science”. 2014년 11월 24일에 확인함.
- ↑ “The Heinz Awards :: Mildred Dresselhaus”. 《heinzawards.net》. 2021년 12월 14일에 확인함.
- ↑ “President Obama Names Scientists Mildred Dresselhaus and Burton Richter as the Enrico Fermi Award Winners”. 《Energy.gov》. 2021년 12월 14일에 확인함.
- ↑ 2012 Kavli Prizes/Mildred S. Dresselhaus/2012 Nanoscience Citation 보관됨 10월 6, 2019 - 웨이백 머신, Kavli Foundation. Retrieved August 14, 2012.
- ↑ “Obama awards Presidential Medal of Freedom to 18”. 《San Francisco Chronicle》. 2014년 11월 24일에 확인함.
- ↑ “Search for Famous Inventors | National Inventors Hall of Fame”. 《www.invent.org》. 2021년 12월 14일에 확인함.
- ↑ Chung, D. D. L. (2017년 3월 15일). “Mildred S. Dresselhaus (1930–2017)”. 《Nature》 (영어) 543 (7645): 316. Bibcode:2017Natur.543..316C. doi:10.1038/543316a. PMID 28300109.
- ↑ Hicks, L. D.; Dresselhaus, M. S. (1993). “Effect of quantum-well structures on the thermoelectric figure of merit”. 《Physical Review B》 47 (19): 12727–12731. Bibcode:1993PhRvB..4712727H. doi:10.1103/PhysRevB.47.12727. PMID 10005469.
- ↑ Saito, Riichiro; Fujita, Mitsutaka; Dresselhaus, G.; Dresselhaus, M. S. (1992년 7월 15일). “Electronic structure of graphene tubules based onC60”. 《Physical Review B》 (American Physical Society (APS)) 46 (3): 1804–1811. Bibcode:1992PhRvB..46.1804S. doi:10.1103/physrevb.46.1804. ISSN 0163-1829. PMID 10003828.
- ↑ “Millie Dresselhaus Fund for Science & Society”. 《www.aps.org》 (영어). 2023년 4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8월 13일에 확인함.
- ↑ Weil, Martin (2017년 2월 22일). “Mildred Dresselhaus, physicist dubbed 'queen of carbon science,' dies at 86”. 2017년 3월 4일에 확인함.
- ↑ “IEEE Mildred Dresselhaus Medal”. 《www.ieee.org》. 2020년 10월 13일에 확인함.
- ↑ “PhysicsCentral”. 《www.physicscentral.com》. 2020년 8월 13일에 확인함.
- ↑ “Mildred Dresselhaus: 1930-2017”. 《www.aps.org》 (영어). 2020년 8월 13일에 확인함.
- ↑ Lehrer, Erica (2019년 8월 21일). “Frederick Reif”. 《Physics Today》. doi:10.1063/pt.6.4o.20190821a. 2022년 6월 17일에 확인함.
- ↑ Halpern, Jane (2021년 11월 9일). “Gene Dresselhaus, influential research scientist in solid-state physics, dies at 91”. 《MIT News》.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 ↑ “Doing the right things”. 《ETH Zurich》. 2015년 11월 21일. 2015년 11월 23일에 확인함.
- ↑ “Spotlight | National Inventors Hall of Fame”. Invent.org. 2013년 11월 21일. 2016년 8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5월 29일에 확인함.
- ↑ “President Obama Announces the Presidential Medal of Freedom Recipients”. 《whitehouse.gov》. 2014년 11월 10일. 2014년 11월 11일에 확인함.
- ↑ “PolyU to honour five distinguished personalities at 19th Congregation”. 《The Hong Kong Polytechnic University》. 2013년 9월 23일. 2015년 3월 24일에 확인함.
- ↑ “MIT”. 2021년 12월 14일에 확인함.
- ↑ “1999 Dwight Nicholson Medal for Outreach Recipient”. 《American Physical Society》.
- ↑ “APS Member History”. 《search.amphilsoc.org》. 2021년 12월 20일에 확인함.
- ↑ “Mildred S. Dresselhaus”. 《www.nasonline.org》. 2021년 12월 20일에 확인함.
- ↑ “Mildred S. Dresselhaus”. 《American Academy of Arts & Sciences》 (영어). 2021년 12월 20일에 확인함.
- ↑ “Group 2: Astronomy, Physics and Geophysics”. Norwegian Academy of Science and Letters. 2017년 12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2월 22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 베가 과학 신탁의 밀드레드 드레슬하우스와의 프리뷰 비디오 인터뷰
- 밀리 드레셀하우스 펀드 보관됨 2023-04-05 - 웨이백 머신
- 홈페이지
- 드레슬하우스의 MIT 웹페이지 아카이브
- 밀드레드 드레슬하우스 보관됨 12월 1, 2017 - 웨이백 머신 Makers: Women Who Make America를 이용하여 제작한 비디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