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장군의 국회의원
본 문서는 부산광역시 기장군(1995년~현재)의 국회의원 목록을 정리해두었으나, 경남 양산군에 병합되어 폐지된 경남 동래군(1948년~1973년)의 국회의원 목록도 함께 다룬다.
행정구역 변천
[편집]- 1945년 8월 15일 경상남도 동래군
- 1963년 1월 1일 동래군 구포읍·사상면을 부산직할시 부산진구에, 북면·기장면 송정리를 부산직할시 동래구에 각각 편입, 울주군 서생면을 동래군에 편입
- 1973년 7월 1일 동래군을 폐지하고 양산군에 병합
- 1983년 2월 15일 양산군 서생면을 울주군에 환원
- 1995년 3월 1일 양산군 기장읍·장안읍·철마면·일광면·정관면에 부산광역시 기장군 설치
기장군의 역대 국회의원 일람
[편집]대수 | 이름 | 소속정당 | 임기 | 선거구역 | 개표결과 |
---|---|---|---|---|---|
제1대 | 김약수(金若水)[1] | 조선공화당 | 1948년 5월 31일~1950년 5월 30일 | 동래군: 동래군 일원(제16선거구) | 보기 |
제2대 | 김범부(金凡父) | 무소속 | 1950년 5월 31일~1954년 5월 30일 | 동래군: 동래군 일원(제17선거구) | |
제3대 | 김법린(金法麟) | 자유당 | 1954년 5월 31일~1958년 5월 30일 | 동래군: 동래군 일원(제17선거구) | |
제4대 | 조일재(趙一載) | 민주당 | 1958년 5월 31일~1960년 7월 28일 | 동래군: 동래군 일원(제25선거구) | |
제5대 민의원 | 조일재(趙一載) | 민주당 | 1960년 7월 29일~1961년 5월 16일 | 동래군: 동래군 일원(제25선거구) | |
제6대 | 노재필(盧載弼) | 민주공화당 | 1963년 12월 17일~1967년 6월 30일 | 양산군·동래군: 양산군·동래군 일원(제11선거구) | |
제7대 | 노재필(盧載弼) | 민주공화당 | 1967년 7월 1일~1971년 6월 30일 | 양산군·동래군: 양산군·동래군 일원(제11선거구) | |
제8대 | 신상우(辛相佑) | 신민당 | 1971년 7월 1일~1972년 10월 17일 | 양산군·동래군: 양산군·동래군 일원(제14선거구) | |
제9대 | 김원규(金元圭) | 민주공화당 | 1973년 3월 12일~1979년 3월 11일 | 울산시·울주군·동래군: 울산시·울주군·동래군 일원(제4선거구) | |
최형우(崔炯佑) | 신민당 | ||||
제15대 | 김기재(金杞載)[2] | 신한국당 | 1996년 5월 30일~1998년 4월 6일 | 해운대구·기장군 을: 해운대구 중1동 중2동 송정동, 기장군 일원 | |
김동주(金東周)[3] | 자유민주연합[4] | 1998년 7월 22일~2000년 5월 29일 | |||
제16대 | 안경률(安炅律) | 한나라당 | 2000년 5월 30일~2004년 5월 29일 | 해운대구·기장군 을: 해운대구 좌동 송정동, 기장군 일원 | |
제17대 | 2004년 5월 30일~2008년 5월 29일 | 해운대구·기장군 을: 해운대구 좌1동 좌2동 좌3동 좌4동 송정동, 기장군 일원 | |||
제18대 | 2008년 5월 30일~2012년 5월 29일 | 해운대구·기장군 을: 해운대구 중2동 좌1동 좌2동 좌3동 좌4동 송정동, 기장군 일원 | |||
제19대 | 하태경(河泰慶) | 새누리당 | 2012년 5월 30일~2016년 5월 29일 | 해운대구·기장군 을: 해운대구 중2동 좌1동 좌2동 좌3동 좌4동 송정동, 기장군 일원 | |
제20대 | 윤상직(尹相直) | 새누리당[5] | 2016년 5월 30일~2020년 5월 29일 | 기장군: 기장군 일원 | |
제21대 | 정동만(鄭東萬) | 미래통합당 | 2020년 5월 30일~2024년 5월 29일 | 기장군: 기장군 일원 | |
제21대 | 정동만(鄭東萬) | 국민의힘 | 2024년 5월 30일~ | 기장군: 기장군 일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