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관계
![]() | |
![]() 독일 |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
외교 공관 | |
주조 독일 대사관 | 주독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사관 |


독일-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관계(독일어: Deutsch-nordkoreanische Beziehungen)는 독일과 북한에 관한 전반적인 관계를 의미한다.
상세
[편집]
동독
[편집]독일이 분리되어 있던 서독과 동독 시절, 북한은 할슈타인 독트린으로 인해 동독과 단독 수교하였다. 6.25 전쟁 중 발생한 북한의 전쟁 고아들을 동독으로 보내 위탁 교육을 받게 하였다.[1] 20세기 냉전 시절, 공산주의 이념을 공유하는 두 나라는 매우 돈독하고 긴밀한 관계에 있었다. 동독과 관계는 처음에는 우호적이었으나, 시기에 따라 크고 작은 부침을 겪기도 하였다. 동독은 동독 함흥시 재건단 등 북한의 전후 개발을 도왔으며[2][3], 무상 및 유상 원조를 제공했다.[4] 또한 양국은 문화 및 인적 교류를 통해 서로 유학생을 파견하였다.[5][6] 1956년에는 김일성이 베를린을 방문하여 오토 그로테볼 총리와 회담을 가졌으며[7][8], 1984년에는 김일성이 동독 베를린을 방문하여 에리히 호네커와 회담을 가졌다.[9][10][11]
독일통일 이후
[편집]독일의 재통일 이후, 양국은 2001년 수교 후 지속적인 협력과 대화를 이어나갔다. 독일은 자국 내 북한대사관을 보유한 몇 안되는 서방 국가이며, 북한에 대한 인도주의적 지원을 하는 나라이다. 2004년부터 2009년까지 괴테 문화원이 천리마 문화 회관에서 운영된 적도 있었다.[12][13]
연혁
[편집]- 1954년 동독-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수교
- 2001년 독일-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수교
각주
[편집]- ↑ “북한 남편을 47년간 기다린 동독 할머니, 이들뿐이 아니었다”. 2015년 6월 24일. 2025년 5월 23일에 확인함.
- ↑ “한국사연구휘보 < 한국사 총설 DB”. 2025년 5월 23일에 확인함.
- ↑ 조선일보 (2020년 7월 29일). “아, 옛날이여…”. 2025년 5월 23일에 확인함.
- ↑ “동독 북한 원조 : 논문 검색 결과 - DBpia 연구자를 돕는 똑똑한 학술콘텐츠 플랫폼”. 2025년 5월 23일에 확인함.
- ↑ “Despite UN sanctions, Germany did research with North Korea – DW – 11/28/2022” (영어). 2025년 5월 23일에 확인함.
- ↑ “North Korea-Germany Relations: An Ambassador's Perspective of Diplomacy with Pyongyang | East-West Center | www.eastwestcenter.org” (영어). 2023년 3월 1일. 2025년 5월 23일에 확인함.
- ↑ “북한관계사료집 < 한국 현대 사료 DB”. 2025년 5월 23일에 확인함.
- ↑ “[클로즈업 북한] 북한의 제 3세계 외교…속내는?”. 2025년 5월 23일에 확인함.
- ↑ “김일성호네커 회담록(구동독정부 남북관계 기밀문서:상)”. 1995년 10월 12일. 2025년 5월 23일에 확인함.
|제목=
에 소프트 하이픈 문자가 있음(위치 4) (도움말) - ↑ 조선일보 (2020년 8월 15일). “[북한공개] 김일성-호네커 사이의 비화”. 2025년 5월 23일에 확인함.
- ↑ “(사)한국평화협력연구원”. 2025년 5월 23일에 확인함.
- ↑ “北에 첫 서방 정보센터 열어”. 2004년 6월 2일. 2025년 5월 23일에 확인함.
- ↑ “[가로지르기]“獨 의학책 움켜쥔 채 놓지 못하던 北 의사 생각나””. 2008년 5월 14일. 2025년 5월 23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