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외무상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외무상(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國 外務相)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외무성의 수장이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내각에 소속되어 있는 중앙부처 중 하나이다. 외무상은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전원회의에서 선출된다.[1][2]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외무상 | |
---|---|
![]() | |
호칭 | 외무상, 외상 |
임명자 | 김정은 |
상관 | 국무위원장 |
부관 | 박명호, 박상길, 김정규, 김선경, 김은철, 허용복 (외무성 부상) |
초대 | 박헌영 |
설치일 | 1948년 |
외무상은 대개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위원, 국무위원회 위원,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이기도 하다. 외무상은 조선로동당 국제부장보다 낮은 직급이며[3], 더불어 북한에서 대외정책과 대외관계를 정부 차원에서 관리하는 직책이다.[4] 외무성 지역국의 수장을 맡는 7명의 외무성 부상들이 외무상을 보좌한다.[5]
1948년부터 1972년까지, 그리고 1998년부터 2018년 현재까지 외무상으로 쭉 불리고 있다. 그 사이인 1972년부터 1998년까지는 정무원 산하의 외교성의 수장인 외교상이라는 명칭으로 존재했으나 그 기능의 차이는 거의 없었다.
역대 외무상
[편집]주석 | 대수 | 사진 | 이름 | 임기 | 비고 |
---|---|---|---|---|---|
김일성 | 초대 | ![]() | 박헌영 | (1948년 9월 2일 - 1953년 8월 2일) | |
2대 | ![]() | 남일 | (1953년 8월 2일 - 1957년 9월 9일) | ||
3대 | ![]() | 이상조 | (1959년 10월 11일 ~ 1959년 10월 25일) | ||
4대 | ![]() | 박성철 | (1959년 10월 25일 ~ 1962년 10월 22일) | ||
7대 | ![]() | 이상조 | (1962년 10월 23일 ∼ 1967년 12월 16일) | ||
8대 | ![]() | 박성철 | (1967년 12월 16일 ∼ 1970년 7월 8일) | ||
9대 | ![]() | 허담 | (1970년 7월 8일 ~ 1970년 11월 18일) | ||
- | ![]() | 허담 | (1972년 7월 20일 - 1977년 12월 8일) | ||
10대 | ![]() | 김영남 | (1983년 12월 8일 - 1998년 9월 1일) | ||
김정일 | 11대 | 백남순 | (1998년 9월 1일 ~ 2007년 1월 3일) | ||
![]() | 강석주 | (2007년 1월 3일 - 2007년 5월 18일) | (직무대리) | ||
12대 | ![]() | 박의춘 | (2007년 5월 18일 - 2009년 4월 9일) | ||
- | ![]() | 박의춘 | 2009년 - 2014년 4월 9일 | ||
김정은 | 13대 | ![]() | 리수용 | (2014년 4월 9일 - 2016년 5월 9일) | |
14대 | ![]() | 리용호 | (2016년 5월 9일 - 2019년 12월 29일) | ||
15대 | ![]() | 리선권 | (2019년 12월 29일 - 2022년 6월 10일) | ||
16대 | ![]() | 최선희 | (2022년 6월 10일 - 현직) |
각주
[편집]- ↑ 뉴스, SBS (2021년 2월 12일). “[속보] 북한 노동당 전원회의 나흘 만에 마무리”. 2025년 3월 20일에 확인함.
- ↑ “북한의 2024년 12월 노동당 전원회의 평가”. 2025년 3월 20일에 확인함.
- ↑ 편집위원, 남문희 (2024년 4월 19일). “북한은 왜 일본이 아니라 중국을 택했을까”. 2025년 3월 20일에 확인함.
- ↑ 류, 길재. “외무성 (外務省)”. Academy of Korean Studies.
- ↑ “북한 외무성 홈피 개설… 조직도 셀프 공개도”. 2017년 6월 22일. 2025년 3월 20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