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경기 결과 (1960–1969)
다음은 1960~69년의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경기 결과를 순서대로 나열한 것이다.
1960년
[편집]로마 올림픽 예선경기 4월 25일 | 중화민국 ![]() | 1 – 2 | ![]() | 타이베이, 중화민국 | ||
| 경기장: 타이베이 시립경기장 | |||||
로마 올림픽 예선경기 4월 30일 | 중화민국 ![]() | 2 – 0 몰수패[a] | ![]() | 타이베이, 중화민국 | ||
| 경기장: 타이베이 시립경기장 심판: 존 페트리 (잉글랜드) | |||||
메르데카컵 8월 6일 | 대한민국 ![]() | 2 – 0 | ![]() | 쿠알라룸푸르, 말라야 연방 | ||
| 경기장: 메르데카 스타디움 | |||||
메르데카컵 8월 8일 | 대한민국 ![]() | 3 – 1 | ![]() | 쿠알라룸푸르, 말라야 연방 | ||
| 경기장: 메르데카 스타디움 | |||||
메르데카컵 8월 10일 | 베트남 공화국 ![]() | 0 – 0 | ![]() | 쿠알라룸푸르, 말라야 연방 | ||
경기장: 메르데카 스타디움 | ||||||
메르데카컵 8월 11일 | 대한민국 ![]() | 3 – 3 | ![]() | 쿠알라룸푸르, 말라야 연방 | ||
경기장: 메르데카 스타디움 | ||||||
메르데카컵 8월 14일 | 대한민국 ![]() | 0 – 0 (연장전) | ![]() | 쿠알라룸푸르, 말라야 연방 | ||
경기장: 메르데카 스타디움 | ||||||
1960년 AFC 아시안컵 10월 14일 | 대한민국 ![]() | 5 – 1 | ![]() | 서울, 대한민국 | ||
15:15 UTC+9 |
| 경기장: 효창운동장 관중 수: 30,000명 | ||||
1960년 AFC 아시안컵 10월 17일 | 대한민국 ![]() | 3 – 0 | ![]() | 서울, 대한민국 | ||
15:00 UTC+9 | 경기장: 효창운동장 관중 수: 30,000명 심판: 요조 요코야마 (일본) | |||||
1960년 AFC 아시안컵 10월 21일 | 대한민국 ![]() | 1 – 0 | ![]() | 서울, 대한민국 | ||
15:00 UTC+9 |
| 경기장: 효창운동장 | ||||
1962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11월 6일 | 대한민국 ![]() | 2 – 1 | ![]() | 서울, 대한민국 | ||
14:00 UTC+9 |
|
| 경기장: 효창운동장 관중 수: 11,000명 심판: 김덕준 (대한민국) | |||
1961년
[편집]1962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6월 11일 | 일본 ![]() | 0 – 2 | ![]() | 도쿄, 일본 | ||
경기장: 국립경기장 관중 수: 20,000명 심판: Pratlett (홍콩) | ||||||
1962년 FIFA 월드컵 예선 대륙간 플레이오프 10월 8일 | 유고슬라비아 ![]() | 5 – 1 | ![]() | 베오그라드, 유고슬라비아 | ||
| 경기장: 스타디온 JNA 관중 수: 20,000명 심판: 콘스탄티노스 요아니디스 (그리스) | |||||
친선경기 10월 18일 | 튀르키예 ![]() | 1 – 0 | ![]() | 앙카라, 튀르키예 | ||
| 경기장: Ankara 19 Mayıs Stadium 관중 수: 20,833명 심판: Cezmi Başar (튀르키예) | |||||
친선경기 10월 22일 | 이스라엘 ![]() | 1 – 1 | ![]() | 라마트간, 이스라엘 | ||
|
| 경기장: 라마트간 스타디움 관중 수: 30,000명 심판: Avraham Dudai (이스라엘) | ||||
친선경기 10월 28일 | 미얀마 ![]() | 1 – 3 | ![]() | 랑군, 버마 | ||
| ||||||
1962년 FIFA 월드컵 예선 대륙간 플레이오프 11월 26일 | 대한민국 ![]() | 1 – 3 | ![]() | 서울, 대한민국 | ||
| 경기영상 - 대한뉴스 | 경기장: 효창운동장 관중 수: 25,000명 심판: 막세운페이 (홍콩) | ||||
1962년
[편집]1962년 아시안 게임 8월 25일 | 인도 ![]() | 0 – 2 | ![]() | 자카르타, 인도네시아 | ||
경기장: 세나얀 스타디움 관중 수: 95,000명 | ||||||
1962년 아시안 게임 8월 27일 | 대한민국 ![]() | 3 – 2 | ![]() | 자카르타, 인도네시아 | ||
경기장: 세나얀 스타디움 | ||||||
1962년 아시안 게임 8월 30일 | 대한민국 ![]() | 1 – 0 | ![]() | 자카르타, 인도네시아 | ||
21:00 UTC+7 |
| 경기장: 세나얀 스타디움 관중 수: 90,000명 심판: K・B・メノン (싱가포르) | ||||
1962년 아시안 게임 9월 1일 | 대한민국 ![]() | 2 – 1 (연장전) | ![]() | 자카르타, 인도네시아 | ||
| 경기장: 세나얀 스타디움 | |||||
1962년 아시안 게임 9월 4일 | 인도 ![]() | 2 – 1 | ![]() | 자카르타, 인도네시아 | ||
| 경기장: 세나얀 스타디움 관중 수: 100,000명 심판: J. Ferguson (싱가포르) | |||||
친선경기 10월 12일 | 대한민국 ![]() | 2 – 0 | ![]() | 서울, 대한민국 | ||
경기장: 효창운동장 | ||||||
친선경기 10월 14일 | 대한민국 ![]() | 2 – 0 | ![]() | 서울, 대한민국 | ||
경기장: 효창운동장 | ||||||
1963년
[편집]메르데카컵 8월 11일 | 대한민국 ![]() | 5 – 1 | ![]() | 쿠알라룸푸르, 말라야 연방 | ||
| 경기장: 메르데카 스타디움 | |||||
메르데카컵 8월 13일 | 대한민국 ![]() | 1 – 1 | ![]() | 쿠알라룸푸르, 말라야 연방 | ||
|
| 경기장: 메르데카 스타디움 | ||||
메르데카컵 8월 14일 | 대한민국 ![]() | 3 – 1 | ![]() | 쿠알라룸푸르, 말라야 연방 | ||
| 경기장: 메르데카 스타디움 | |||||
메르데카컵 8월 16일 | 말라야 연방 ![]() | 3 – 0 | ![]() | 쿠알라룸푸르, 말라야 연방 | ||
경기장: 메르데카 스타디움 | ||||||
메르데카컵 8월 18일 | 중화민국 ![]() | 1 – 0 | ![]() | 쿠알라룸푸르, 말라야 연방 | ||
| 경기장: 메르데카 스타디움 | |||||
친선경기 8월 24일 | 미얀마 ![]() | 1 – 1 | ![]() | 랑군, 버마 | ||
|
| |||||
친선경기 8월 27일 | 미얀마 ![]() | 1 – 3 | ![]() | 랑군, 버마 | ||
도쿄 올림픽 예선경기 11월 27일 | 대한민국 ![]() | 2 – 1 | ![]() | 서울, 대한민국 | ||
경기장: 효창운동장 관중 수: 20,000 | ||||||
도쿄 올림픽 예선경기 12월 7일 | 중화민국 ![]() | 1 – 0 | ![]() | 타이베이, 중화민국 | ||
| 경기장: 타이베이 시립경기장 | |||||
1964년
[편집]1964년 AFC 아시안컵 5월 27일 | [b]대한민국 B팀 ![]() | 0 – 2 | ![]() | 하이파, 이스라엘 | ||
16:30 | 경기장: 키리아트엘리에제르 경기장 관중 수: 7,000명 심판: Davoud Nassiri (이란) | |||||
도쿄 올림픽 예선경기 5월 30일 | 대한민국 ![]() | 3 – 0 | ![]() | 서울, 대한민국 | ||
경기장: 효창운동장 관중 수: 20,000명 | ||||||
1964년 AFC 아시안컵 5월 30일 | [b]대한민국 B팀 ![]() | 1 – 0 | ![]() | 예루살렘, 이스라엘 | ||
16:30 |
| 경기장: 히브리 대학교 경기장 관중 수: 7,000명 심판: Pisit Ngarampanich (태국) | ||||
친선경기 5월 31일 | 대한민국 ![]() | 2 – 1 | ![]() | 서울, 대한민국 | ||
| 경기장: 효창운동장 | |||||
1964년 AFC 아시안컵 6월 3일 | [b]대한민국 B팀 ![]() | 1 – 2 | ![]() | 라마트간, 이스라엘 | ||
16:00 |
| 경기장: 라마트간 스타디움 관중 수: 35,000명 심판: Davoud Nassiri (이란) | ||||
도쿄 올림픽 예선경기 6월 28일 | 베트남 공화국 ![]() | 2 – 2 | ![]() | 사이공, 베트남 공화국 | ||
|
| 경기장: Republic Stadium 관중 수: 30,000명 | ||||
친선경기 6월 30일 | 베트남 공화국 ![]() | 1 – 2 | ![]() | 사이공, 베트남 공화국 | ||
경기장: Republic Stadium | ||||||
도쿄 올림픽 본선경기 10월 12일 | 체코슬로바키아 ![]() | 6 – 1 | ![]() | 사이타마, 일본 | ||
14:00 UTC+9 | 리포트 |
| 경기장: 오미야 공원 축구장 관중 수: 12,943명 심판: Valenzuela (멕시코) | |||
도쿄 올림픽 본선경기 10월 14일 | 체코슬로바키아 ![]() | 4 – 0[c] | ![]() | 요코하마, 일본 | ||
14:00 UTC+9 |
| 리포트 | 경기장: 미쓰자와 축구 경기장 관중 수: 12,672명 심판: Boukkili (모로코) | |||
도쿄 올림픽 본선경기 10월 16일 | 아랍 연합 공화국 ![]() | 10 – 0 | ![]() | 도쿄, 일본 | ||
14:00 UTC+9 |
| 리포트 | 경기장: 지치부노미야 럭비장 관중 수: 16,039명 심판: Glöckner (동독) | |||
1965년
[편집]메르데카컵 8월 14일 | 태국 ![]() | 3 – 2 | ![]() | 쿠알라룸푸르, 말레이시아 | ||
| 경기장: 메르데카 스타디움 | |||||
메르데카컵 8월 17일 | 말레이시아 ![]() | 0 – 2 | ![]() | 쿠알라룸푸르, 말레이시아 | ||
경기장: 메르데카 스타디움 | ||||||
메르데카컵 8월 21일 | 대한민국 ![]() | 0 – 0 | ![]() | 이포, 말레이시아 | ||
메르데카컵 8월 23일 | 인도 ![]() | 0 – 2 | ![]() | 쿠알라룸푸르, 말레이시아 | ||
19:30 UTC+8 |
| 경기장: 메르데카 스타디움 심판: N. Tantanom (태국) | ||||
메르데카컵 8월 25일 | 대한민국 ![]() | 1 – 0 | ![]() | 쿠알라룸푸르, 말레이시아 | ||
| 경기장: 메르데카 스타디움 | |||||
메르데카컵 8월 28일 | 대한민국 ![]() | 1 – 1 | ![]() | 쿠알라룸푸르, 말레이시아 | ||
| 경기장: 메르데카 스타디움 | |||||
1966년
[편집]메르데카컵 8월 17일 | 대한민국 ![]() | 1 – 0 | ![]() | 쿠알라룸푸르, 말레이시아 | ||
| 경기장: 메르데카 스타디움 | |||||
메르데카컵 8월 20일 | 대한민국 ![]() | 2 – 1 | ![]() | 쿠알라룸푸르, 말레이시아 | ||
| 경기장: 메르데카 스타디움 | |||||
메르데카컵 8월 23일 | 미얀마 ![]() | 2 – 0 | ![]() | 쿠알라룸푸르, 말레이시아 | ||
| 경기장: 메르데카 스타디움 | |||||
메르데카컵 8월 25일 | 말레이시아 ![]() | 1 – 2 | ![]() | 쿠알라룸푸르, 말레이시아 | ||
| 경기장: 메르데카 스타디움 | |||||
메르데카컵 8월 27일 | 인도 ![]() | 1 – 0 | ![]() | 쿠알라룸푸르, 말레이시아 | ||
| 경기장: 메르데카 스타디움 | |||||
1966년 아시안 게임 12월 10일 | 태국 ![]() | 3 – 0 | ![]() | 방콕, 태국 | ||
경기장: 수파찰라사이 경기장 | ||||||
1966년 아시안 게임 12월 12일 | 대한민국 ![]() | 0 – 1 | ![]() | 방콕, 태국 | ||
| 경기장: 수파찰라사이 경기장 | |||||
1967년
[편집]1968년 AFC 아시안컵 예선 7월 29일 | 대한민국 ![]() | 1 – 1 | ![]() | 타이베이, 중화민국 | ||
16:30 UTC+8 |
| 경기장: 타이베이 시립경기장 | ||||
1968년 AFC 아시안컵 예선 8월 1일 | 일본 ![]() | 2 – 1 | ![]() | 타이베이, 중화민국 | ||
17:00 UTC+8 |
| 경기장: 타이베이 시립경기장 | ||||
1968년 AFC 아시안컵 예선 8월 5일 | 대한민국 ![]() | 7 – 0 | ![]() | 타이베이, 중화민국 | ||
16:30 UTC+8 | 경기장: 타이베이 시립경기장 | |||||
1968년 AFC 아시안컵 예선 8월 7일 | 중화민국 ![]() | 1 – 0 | ![]() | 타이베이, 중화민국 | ||
16:00 UTC+8 |
| 경기장: 타이베이 시립경기장 | ||||
메르데카컵 8월 10일 | 대한민국 ![]() | 3 – 1 | ![]() | 쿠알라룸푸르, 말레이시아 | ||
| 경기장: 메르데카 스타디움 심판: Luk Tat Sun (홍콩) | |||||
메르데카컵 8월 13일 | 대한민국 ![]() | 1 – 0 | ![]() | 이포, 말레이시아 | ||
| 경기장: Perak Stadium | |||||
메르데카컵 8월 18일 | 대한민국 ![]() | 2 – 1 | ![]() | 쿠알라룸푸르, 말레이시아 | ||
| 경기장: 메르데카 스타디움 | |||||
메르데카컵 8월 20일 | 대한민국 ![]() | 3 – 0 | ![]() | 쿠알라룸푸르, 말레이시아 | ||
경기장: 메르데카 스타디움 | ||||||
메르데카컵 8월 23일 | 대한민국 ![]() | 3 – 1 | ![]() | 쿠알라룸푸르, 말레이시아 | ||
| 경기장: 메르데카 스타디움 | |||||
메르데카컵 8월 26일 | 대한민국 ![]() | 0 – 0 | ![]() | 쿠알라룸푸르, 말레이시아 | ||
경기장: 메르데카 스타디움 | ||||||
멕시코시티 올림픽 예선경기 9월 28일 | 대한민국 ![]() | 4 – 2 | ![]() | 도쿄, 일본 | ||
19:30 UTC+9 |
| 경기장: 요요기 국립경기장 | ||||
멕시코시티 올림픽 예선경기 10월 1일 | 대한민국 ![]() | 2 – 0 | ![]() | 도쿄, 일본 | ||
19:30 UTC+9 |
| 경기장: 요요기 국립경기장 | ||||
멕시코시티 올림픽 예선경기 10월 4일 | 대한민국 ![]() | 3 – 0 | ![]() | 도쿄, 일본 | ||
19:30 UTC+9 | 경기장: 요요기 국립경기장 | |||||
멕시코시티 올림픽 예선경기 10월 7일 | 일본 ![]() | 3 – 3 | ![]() | 도쿄, 일본 | ||
19:30 UTC+9 | 경기장: 요요기 국립경기장 관중 수: 45,789명 심판: Tang Sun Cheung (중화민국) | |||||
멕시코시티 올림픽 예선경기 10월 9일 | 대한민국 ![]() | 5 – 0 | ![]() | 도쿄, 일본 | ||
19:30 UTC+9 | 경기장: 요요기 국립경기장 | |||||
인디펜던스컵 11월 5일 | 대한민국 ![]() | 1 – 0 | ![]() | 사이공, 베트남 공화국 | ||
| 경기장: 꽁호아 스타디움 | |||||
인디펜던스컵 11월 7일 | 대한민국 ![]() | 3 – 1 | ![]() | 사이공, 베트남 공화국 | ||
| 경기장: 꽁호아 스타디움 | |||||
인디펜던스컵 11월 11일 | 대한민국 ![]() | 2 – 1 | ![]() | 사이공, 베트남 공화국 | ||
|
| 경기장: 꽁호아 스타디움 | ||||
인디펜던스컵 11월 12일 | 베트남 공화국 ![]() | 0 – 3 | ![]() | 사이공, 베트남 공화국 | ||
경기장: 꽁호아 스타디움 | ||||||
인디펜던스컵 11월 14일 | 대한민국 ![]() | 2 – 3 | ![]() | 사이공, 베트남 공화국 | ||
경기장: 꽁호아 스타디움 관중 수: 14,547명 | ||||||
1968년
[편집]메르데카컵 8월 12일 | 대한민국 ![]() | 3 – 2 | ![]() | 쿠알라룸푸르, 말레이시아 | ||
경기장: 메르데카 스타디움 | ||||||
메르데카컵 8월 14일 | 대한민국 ![]() | 3 – 2 | ![]() | 쿠알라룸푸르, 말레이시아 | ||
|
| 경기장: 메르데카 스타디움 | ||||
메르데카컵 8월 17일 | 인도네시아 ![]() | 4 – 2 | ![]() | 쿠알라룸푸르, 말레이시아 | ||
| 경기장: 메르데카 스타디움 | |||||
메르데카컵 8월 21일 | 대한민국 ![]() | 2 – 1 | ![]() | 쿠알라룸푸르, 말레이시아 | ||
경기장: 메르데카 스타디움 | ||||||
메르데카컵 8월 21일 | 대한민국 ![]() | 1 – 0 | ![]() | 쿠알라룸푸르, 말레이시아 | ||
| 경기장: 메르데카 스타디움 | |||||
친선경기 8월 27일 | 싱가포르 ![]() | 4 – 3 | ![]() | 싱가포르 | ||
경기장: 싱가포르 국립경기장 | ||||||
1969년
[편집]1970년 FIFA 월드컵 아시아·오세아니아 지역 예선 10월 12일 | 대한민국 ![]() | 2 – 2 | ![]() | 서울, 대한민국 | ||
16:00 UTC+9 | 경기장: 서울운동장 관중 수: 21,128명 심판: 청탄순 (중화민국) | |||||
1970년 FIFA 월드컵 아시아·오세아니아 지역 예선 10월 14일 | 대한민국 ![]() | 1 – 2 | ![]() | 서울, 대한민국 | ||
19:30 UTC+9 |
| 경기장: 서울운동장 관중 수: 10,250명 심판: 고빈다사미 수피아 (싱가포르) | ||||
1970년 FIFA 월드컵 아시아·오세아니아 지역 예선 10월 18일 | 대한민국 ![]() | 2 – 0 | ![]() | 서울, 대한민국 | ||
16:00 UTC+9 |
| 경기장: 서울운동장 관중 수: 9,264명 심판: Lee Kan Chi (홍콩) | ||||
1970년 FIFA 월드컵 아시아·오세아니아 지역 예선 10월 20일 | 대한민국 ![]() | 1 – 1 | ![]() | 서울, 대한민국 | ||
19:30 UTC+9 |
|
| 경기장: 서울운동장 관중 수: 9,676명 심판: 패트릭 나이스 (말레이시아) | |||
킹스컵 국제축구대회 11월 19일 | 라오스 ![]() | 0 – 2 | ![]() | 방콕, 태국 | ||
경기장: 수파찰라사이 경기장 | ||||||
킹스컵 국제축구대회 11월 21일 | 대한민국 ![]() | 2 – 0 | ![]() | 방콕, 태국 | ||
경기장: 수파찰라사이 경기장 | ||||||
킹스컵 국제축구대회 11월 23일 | 대한민국 ![]() | 0 – 0 | ![]() | 방콕, 태국 | ||
경기장: 수파찰라사이 경기장 | ||||||
킹스컵 국제축구대회 11월 26일 | 대한민국 ![]() | 3 – 0 | ![]() | 방콕, 태국 | ||
경기장: 수파찰라사이 경기장 | ||||||
킹스컵 국제축구대회 11월 28일 | 인도네시아 ![]() | 0 – 1 | ![]() | 방콕, 태국 | ||
| 경기장: 수파찰라사이 경기장 | |||||
같이 보기
[편집]참고 자료
[편집]각주
[편집]- 참조주
- 내용주
- ↑ 22분경 잉글랜드 심판인 존 페트리가 한국 선수의 반칙을 선언하면서 PK를 대만에 허용한다. 당시 대만의 PK는 함흥철 골키퍼가 슬라이딩하며 막아내는데 성공하였다. 그런데 여기서 심판이 킥 어게인을 선언하면서 문제가 시작되었다. 한국의 김찬기 선수가 패널티킥 순간 패널티 에어리어 안에 들어와 있었다는게 그 이유였다. 한국 선수단은 PK를 차는 순간에 김찬기 선수는 패널티 에어리어에서 6M 가량 떨어져있었음을 항의하였으나 심판은 단호했다. 그러자 분을 참지못한 한국 선수들이 심판에게 달려들었고, 관중들도 소요 사태를 일으키려는등 분위기가 흉흉해졌는데.. 심판은 곧바로 경기 중단을 선언한 후 퇴장하면서 2차전은 전반 25분여만에 중단되었다. 사태가 이렇게 되자 대한축구협회는 1차전의 승리만으로 한국이 올림픽에 출전해야 함을 주장했으나, FIFA측은 대만이 제출한 증거 (한국 선수가 심판에게 달려드는 모습을 찍은 사진 및 심판의 의견서)에 타당성을 인정하여 한국의 올림픽 출전권을 박탈하고 대만의 올림픽 참가를 결정한다.</ref>
- ↑ 가 나 다 The KFA sent its B team to the 1964 AFC Asian Cup, but it recognised the results as international "A" matches.[1]
- ↑ Not recognised as international "A" mat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