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경기 결과 (2000–2009)
2000년
[편집]친선경기 1월 21일 | 뉴질랜드 ![]() | 0 – 1 | ![]() | 오클랜드, 뉴질랜드 | ||
20:00 UTC+13 |
| 경기장: 노스 하버 스타디움 관중 수: 10,000명 심판: 브렛 휴고 (오스트레일리아) | ||||
친선경기 1월 23일 | 뉴질랜드 ![]() | 0 – 0 | ![]() | 파머스턴노스, 뉴질랜드 | ||
18:00 UTC+13 | 경기장: Showgrounds 관중 수: 3,000명 심판: 마크 쉴즈 (오스트레일리아) | |||||
2000년 CONCACAF 골드컵 2월 15일 | 캐나다 ![]() | 0 – 0 | ![]() | 로스앤젤레스, 미국 | ||
19:00 UTC±0 | 경기장: 로스앤젤레스 메모리얼 콜리세움 관중 수: 23,621명 심판: Brian Hall (미국) | |||||
2000년 CONCACAF 골드컵 2월 17일 | 대한민국 ![]() | 2 – 2 | ![]() | 로스앤젤레스, 미국 | ||
21:00 UTC±0 | 경기장: 로스앤젤레스 메모리얼 콜리세움 관중 수: 54,246명 심판: Argelio Sabillón (온두라스) | |||||
2000년 AFC 아시안컵 예선 4월 5일 | 대한민국 ![]() | 9 – 0 | ![]() | 서울, 대한민국 | ||
17:00 UTC+9 | 경기장: 동대문운동장 관중 수: 16,000명 심판: Hisaharu Kitamura (일본) | |||||
2000년 AFC 아시안컵 예선 4월 7일 | 대한민국 ![]() | 6 – 0 | ![]() | 서울, 대한민국 | ||
18:30 UTC+9 | 경기장: 동대문운동장 관중 수: 2,150명 심판: Sung Ho Liu (중화민국) | |||||
2000년 AFC 아시안컵 예선 4월 9일 | 대한민국 ![]() | 4 – 0 | ![]() | 서울, 대한민국 | ||
18:30 UTC+9 | 경기장: 동대문운동장 관중 수: 15,600명 심판: Hisaharu Kitamura (일본) | |||||
친선경기 4월 26일 | 대한민국 ![]() | 1 – 0 | ![]() | 서울, 대한민국 | ||
19:00 UTC+9 |
| 경기장: 잠실올림픽주경기장 관중 수: 70,000명 심판: Mohamed Nazri Abdullah (말레이시아) | ||||
친선경기 5월 28일 | 대한민국 ![]() | 0 – 0 | ![]() | 서울, 대한민국 | ||
19:00 UTC+9 | 경기장: 잠실올림픽주경기장 관중 수: 35,500명 심판: Nik Ahmad Yaakub (말레이시아) | |||||
친선경기 5월 30일 | 대한민국 ![]() | 0 – 0 | ![]() | 성남, 대한민국 | ||
19:00 UTC+9 | 경기장: 성남제이종합운동장 관중 수: 26,500명 심판: Harim Abdul Hamid (말레이시아) | |||||
2000년 LG컵 6월 7일 | 대한민국 ![]() | 2 – 1 | ![]() | 테헤란, 이란 | ||
17:30 UTC+4:30 |
| 경기장: 아자디 스타디움 관중 수: 30,000명 심판: Simak Masi (이란) | ||||
2000년 LG컵 6월 9일 | 대한민국 ![]() | 1 – 0 | ![]() | 테헤란, 이란 | ||
19:45 UTC+4:30 |
| 경기장: 아자디 스타디움 관중 수: 10,000명 심판: Jalal Moradi (이란) | ||||
한중 정기전 7월 28일 | 중화인민공화국 ![]() | 0 – 1 | ![]() | 베이징, 중화인민공화국 | ||
18:45 UTC+8 |
| 경기장: 노동자 경기장 관중 수: 50,000명 심판: 가미가와 토루 (일본) | ||||
2000년 LG컵 10월 4일 | 아랍에미리트 ![]() | 1 – 1 (3 – 2 승부차기) | ![]() | 두바이, 아랍에미리트 | ||
17:20 UTC+4 |
|
| 경기장: 알막툼 스타디움 관중 수: 3,000명 심판: Omar Abu Loom (오만) | |||
승부차기 | ||||||
2000년 LG컵 10월 7일 | 대한민국 ![]() | 4 – 2 | ![]() | 두바이, 아랍에미리트 | ||
17:20 UTC+4 |
| 경기장: 알막툼 스타디움 관중 수: 1,000명 심판: Farid Ali (아랍에미리트) | ||||
2000년 아시안컵 Group Match 10월 13일 | 대한민국 ![]() | 2 – 2 | ![]() | 트리폴리, 레바논 | ||
17:05 UTC+3 |
| 경기장: 트리폴리 국제 올림픽 경기장 관중 수: 2,000명 심판: Omer Al-Mehannah (사우디아라비아) | ||||
2000년 아시안컵 Group Match 10월 16일 | 대한민국 ![]() | 0 – 1 | ![]() | 트리폴리, 레바논 | ||
19:45 UTC+3 |
| 경기장: 트리폴리 국제 올림픽 경기장 관중 수: 5,000명 심판: Brian Hall (미국) | ||||
2000년 아시안컵 Group Match 10월 19일 | 대한민국 ![]() | 3 – 0 | ![]() | 베이루트, 레바논 | ||
19:35 UTC+3 |
| 경기장: 스포츠 시티 스타디움 관중 수: 500명 심판: Toru Kamikawa (일본) | ||||
2000년 아시안컵 Quarterfinals 10월 23일 | 이란 ![]() | 1 – 2 (연장전) | ![]() | 트리폴리, 레바논 | ||
16:45 UTC+3 |
| 경기장: 트리폴리 국제 올림픽 경기장 관중 수: 5,000명 심판: Ali Bujsaim (아랍에미리트) | ||||
2000년 아시안컵 Semifinals 10월 26일 | 대한민국 ![]() | 1 – 2 | ![]() | 베이루트, 레바논 | ||
16:45 UTC+3 |
|
| 경기장: 스포츠 시티 스타디움 관중 수: 7,000명 심판: Saad Kamil Al-Fadhli (쿠웨이트) | |||
2000년 아시안컵 3rd/4th 10월 29일 | 대한민국 ![]() | 1 – 0 | ![]() | 베이루트, 레바논 | ||
17:05 UTC+3 |
| 경기장: 스포츠 시티 스타디움 관중 수: 20,000명 심판: Nabil Ayad (레바논) | ||||
친선경기 12월 20일 | 일본 ![]() | 1 – 1 | ![]() | 도쿄, 일본 | ||
19:00 UTC+9 |
|
| 경기장: 도쿄 국립경기장 관중 수: 54,145명 심판: Shamsul Maidin (싱가포르) | |||
2001년
[편집]2001년 구정컵 1월 24일 | 노르웨이 ![]() | 3 – 2 | ![]() | 홍콩 | ||
15:15 UTC+8 | 경기장: 홍콩 스타디움 관중 수: 22,936명 심판: 안데르스 프리스크 (스웨덴) | |||||
2001년 구정컵 1월 27일 | 대한민국 ![]() | 1 – 1 (6 – 5 승부차기) | ![]() | 홍콩 | ||
14:45 UTC+8 |
|
| 경기장: 홍콩 스타디움 관중 수: 30,000명 심판: Masayoshi Okada (일본) | |||
승부차기 | ||||||
두바이컵 2월 11일 | 아랍에미리트 ![]() | 1 – 4 | ![]() | 두바이, 아랍에미리트 | ||
18:30 UTC+4 |
| 경기장: 알막툼 경기장 관중 수: 2,000명 심판: Abdul Ibrahim (바레인) | ||||
2001년 LG컵 4월 24일 | 대한민국 ![]() | 1 – 0 | ![]() | 카이로, 이집트 | ||
18:00 UTC+4 | 경기장: 국제경기장 관중 수: 8,000명 심판: Mohamed Kamal Risha (이집트) | |||||
2001년 LG컵 4월 26일 | 이집트 ![]() | 1 – 2 | ![]() | 카이로, 이집트 | ||
20:30 UTC+4 |
| 경기장: 국제경기장 관중 수: 25,000명 심판: Abdullah Salem Mohammed (리비아) | ||||
친선경기 5월 25일 | 대한민국 ![]() | 0 – 0 | ![]() | 수원, 대한민국 | ||
19:00 UTC+9 | 경기장: 수원월드컵경기장 관중 수: 20,000명 심판: Subkhiddin Mohd Salleh (말레이시아) | |||||
2001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5월 30일 | 프랑스 ![]() | 5 – 0 | ![]() | 대구, 대한민국 | ||
17:00 UTC+9 | 경기장: 대구종합경기장 관중 수: 61,500명 심판: 가말 알간두르 (이집트) | |||||
2001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6월 1일 | 대한민국 ![]() | 2 – 1 | ![]() | 울산, 대한민국 | ||
19:30 UTC+9 |
| 경기장: 울산문수축구경기장 관중 수: 41,550명 심판: Hugh Dallas (스코틀랜드) | ||||
2001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6월 3일 | 대한민국 ![]() | 1 – 0 | ![]() | 수원, 대한민국 | ||
19:30 UTC+9 |
| 경기장: 수원월드컵경기장 관중 수: 42,754명 심판: 오스카르 루이스 (콜롬비아) | ||||
친선경기 8월 15일 | 체코 ![]() | 5 – 0 | ![]() | 브르노, 체코 | ||
16:40 UTC+2 | 경기장: 드르노비체 경기장 관중 수: 6,596명 심판: Ladislav Gadosi (슬로바키아) | |||||
친선경기 9월 13일 | 대한민국 ![]() | 2 – 2 | ![]() | 대전, 대한민국 | ||
19:00 UTC+9 |
| 경기장: 대전월드컵경기장 관중 수: 40,587명 심판: Siu Kee Chan (홍콩) | ||||
친선경기 9월 16일 | 대한민국 ![]() | 2 – 1 | ![]() | 부산, 대한민국 | ||
19:00 UTC+9 |
| 경기장: 부산월드컵경기장 관중 수: 42,186명 심판: Weixin Zhou (중국) | ||||
친선경기 11월 8일 | 대한민국 ![]() | 0 – 1 | ![]() | 전주, 대한민국 | ||
19:00 UTC+9 |
| 경기장: 전주월드컵경기장 관중 수: 42,000명 심판: Siu Kee Chan (홍콩) | ||||
친선경기 11월 10일 | 대한민국 ![]() | 2 – 0 | ![]() | 서울, 대한민국 | ||
19:00 UTC+9 | 경기장: 서울월드컵경기장 관중 수: 64,000명 심판: Mohd Saleh (말레이시아) | |||||
친선경기 11월 13일 | 대한민국 ![]() | 1 – 1 | ![]() | 광주, 대한민국 | ||
19:00 UTC+9 |
|
| 경기장: 광주월드컵경기장 관중 수: 43,000명 심판: Kazuhiko Matsumura (일본) | |||
친선경기 12월 9일 | 대한민국 ![]() | 1 – 0 | ![]() | 서귀포, 대한민국 | ||
17:00 UTC+9 |
| 경기장: 제주월드컵경기장 관중 수: 42,100명 심판: Naotsuku Fuji (일본) | ||||
2002년
[편집]2002년 CONCACAF 골드컵 1월 19일 | 미국 ![]() | 2 – 1 | ![]() | 패서디나, 미국 | ||
15:00 UTC−8 |
| 경기장: 로즈볼 관중 수: 42,117명 심판: Samuel Richard (도미니카 공화국) | ||||
2002년 CONCACAF 골드컵 1월 23일 | 대한민국 ![]() | 0 – 0 | ![]() | 패서디나, 미국 | ||
21:00 UTC−8 | 경기장: 로즈볼 관중 수: 12,906명 심판: Noel Bynoe (트리니다드 토바고) | |||||
2002년 CONCACAF 골드컵 1월 27일 | 멕시코 ![]() | 0 – 0 (연장전) (2 – 4 승부차기) | ![]() | 패서디나, 미국 | ||
12:00 UTC−8 | 경기장: 로즈볼 관중 수: 31,628명 심판: José Pineda (온두라스) | |||||
승부차기 | ||||||
2002년 CONCACAF 골드컵 1월 30일 | 코스타리카 ![]() | 3 – 1 | ![]() | 패서디나, 미국 | ||
18:00 UTC−8 |
| 경기장: 로즈볼 관중 수: 7,241명 심판: Rodolfo Sibrian (엘살바도르) | ||||
2002년 CONCACAF 골드컵 2월 2일 | 캐나다 ![]() | 2 – 1 | ![]() | 패서디나, 미국 | ||
10:00 UTC−8 |
| 경기장: 로즈볼 관중 수: 14,432명 심판: Noel Bynoe (트리니다드 토바고) | ||||
친선경기 2월 13일 | 우루과이 ![]() | 2 – 1 | ![]() | 몬테비데오, 우루과이 | ||
21:00 UTC−3 |
|
| 경기장: 에스타디오 센테나리오 관중 수: 40,000명 심판: Horacio Elizondo (아르헨티나) | |||
친선경기 3월 13일 | 튀니지 ![]() | 0 – 0 | ![]() | 튀니스, 튀니지 | ||
15:00 UTC+1 | 경기장: El Menzah Stadium 관중 수: 10,000명 심판: Mustapha (이집트) | |||||
친선경기 3월 20일 | 대한민국 ![]() | 2 – 0 | ![]() | 카르타헤나, 스페인 | ||
15:00 UTC+1 |
| 경기장: Estadio Cartagonova 관중 수: 4,000명 심판: Victor Esquinas (스페인) | ||||
친선경기 3월 26일 | 튀르키예 ![]() | 0 – 0 | ![]() | 보훔, 독일 | ||
18:00 UTC+1 | 경기장: Ruhrstadion 관중 수: 21,675명 심판: Lutz Michael Frohlich (독일) | |||||
친선경기 4월 20일 | 대한민국 ![]() | 2 – 0 | ![]() | 대구, 대한민국 | ||
19:00 UTC+9 | 경기장: 대구월드컵경기장 관중 수: 53,234명 심판: Toshimitsu Yoshida (일본) | |||||
친선경기 4월 27일 | 대한민국 ![]() | 0 – 0 | ![]() | 인천, 대한민국 | ||
19:00 UTC+9 | 경기장: 인천월드컵경기장 관중 수: 47,223명 심판: Kazuhiko Matsumura (일본) | |||||
친선경기 5월 16일 | 대한민국 ![]() | 4 – 1 | ![]() | 부산, 대한민국 | ||
20:00 UTC+9 |
| 경기장: 부산월드컵경기장 관중 수: 52,384명 심판: Santhan Nagalingam (싱가포르) | ||||
친선경기 5월 21일 | 대한민국 ![]() | 1 – 1 | ![]() | 서귀포, 대한민국 | ||
19:00 UTC+9 |
|
| 경기장: 제주월드컵경기장 관중 수: 39,241명 심판: Ahmad Khalidi Supian (말레이시아) | |||
친선경기 5월 26일 | 대한민국 ![]() | 2 – 3 | ![]() | 수원, 대한민국 | ||
18:00 UTC+9 | 경기장: 수원월드컵경기장 관중 수: 41,600명 심판: Masayoshi Okada (일본) | |||||
2002년 FIFA 월드컵 6월 4일 | 대한민국 ![]() | 2 – 0 | ![]() | 부산, 대한민국 | ||
20:30 UTC+9 | 경기장: 부산월드컵경기장 관중 수: 48,760명 심판: 오스카르 루이스 (콜롬비아) | |||||
2002년 FIFA 월드컵 6월 10일 | 대한민국 ![]() | 1 – 1 | ![]() | 대구, 대한민국 | ||
15:30 UTC+9 |
|
| 경기장: 대구월드컵경기장 관중 수: 60,778명 심판: Urs Meier (스위스) | |||
2002년 FIFA 월드컵 6월 14일 | 포르투갈 ![]() | 0 – 1 | ![]() | 인천, 대한민국 | ||
20:30 UTC+9 |
| 경기장: 인천월드컵경기장 관중 수: 50,239명 심판: Ángel Sánchez (아르헨티나) | ||||
2002년 FIFA 월드컵 6월 18일 | 대한민국 ![]() | 2 – 1 (연장전) | ![]() | 대전, 대한민국 | ||
20:30 UTC+9 |
| 경기장: 대전월드컵경기장 관중 수: 38,588명 심판: 비론 모레노 (에콰도르) | ||||
2002년 FIFA 월드컵 6월 22일 | 스페인 ![]() | 0 – 0 (연장전) (3 – 5 승부차기) | ![]() | 광주, 대한민국 | ||
15:30 UTC+9 | 경기장: 광주월드컵경기장 관중 수: 42,114명 심판: 가말 알간두르 (이집트) | |||||
승부차기 | ||||||
2002년 FIFA 월드컵 6월 25일 | 독일 ![]() | 1 – 0 | ![]() | 서울, 대한민국 | ||
20:30 UTC+9 |
| 경기장: 서울월드컵경기장 관중 수: 65,256명 심판: Urs Meier (스위스) | ||||
2002년 FIFA 월드컵 6월 29일 | 대한민국 ![]() | 2 – 3 | ![]() | 대구, 대한민국 | ||
20:00 UTC+9 | 경기장: 대구월드컵경기장 관중 수: 63,483명 심판: Saad Mane (쿠웨이트) | |||||
친선경기 11월 20일 | 대한민국 ![]() | 2 – 3 | ![]() | 서울, 대한민국 | ||
19:00 UTC+9 | 경기장: 서울월드컵경기장 관중 수: 63,000명 심판: Jun Lu (중국) | |||||
2003년
[편집]친선경기 3월 29일 | 대한민국 ![]() | 0 – 0 | ![]() | 부산, 대한민국 | ||
19:00 UTC+9 | 경기장: 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 관중 수: 56,248명 심판: Yoshitsugu Katayama (일본) | |||||
친선경기 4월 16일 | 대한민국 ![]() | 0 – 1 | ![]() | 서울, 대한민국 | ||
19:00 UTC+9 | 경기장: 서울월드컵경기장 관중 수: 64,704명 심판: Kennedy Kumbalingam (싱가포르) | |||||
친선경기 5월 31일 | 일본 ![]() | 0 – 1 | ![]() | 도쿄, 일본 | ||
19:15 UTC+9 |
| 경기장: 도쿄 국립경기장 관중 수: 53,405명 심판: Subkhiddin Salleh (말레이시아) | ||||
친선경기 6월 8일 | 대한민국 ![]() | 0 – 2 | ![]() | 서울, 대한민국 | ||
19:00 UTC+9 | 경기장: 서울월드컵경기장 관중 수: 64,000명 심판: Toshimitsu Yoshida (일본) | |||||
친선경기 6월 11일 | 대한민국 ![]() | 0 – 1 | ![]() | 서울, 대한민국 | ||
19:00 UTC+9 |
| 경기장: 서울월드컵경기장 관중 수: 62,000명 심판: Rungklay Mongkol (태국) | ||||
2004년 아시안컵 예선 9월 25일 | 대한민국 ![]() | 5 – 0 | ![]() | 인천, 대한민국 | ||
18:30 UTC+9 | 경기장: 인천문학경기장 관중 수: 47,223명 심판: Subash Anthony Lazar (싱가포르) | |||||
2004년 아시안컵 예선 9월 27일 | 오만 ![]() | 0 – 1 | ![]() | 인천, 대한민국 | ||
17:00 UTC+9 |
| 경기장: 인천문학경기장 관중 수: 18,750명 심판: Masayoshi Okada (일본) | ||||
2004년 아시안컵 예선 9월 29일 | 대한민국 ![]() | 16 – 0 | ![]() | 인천, 대한민국 | ||
18:30 UTC+9 | 경기장: 인천문학경기장 관중 수: 6,521명 심판: Masayoshi Okada (일본) | |||||
2004년 아시안컵 예선 10월 19일 | 베트남 ![]() | 1 – 0 | ![]() | 무스카트, 오만 | ||
22:15 UTC+4 |
| 경기장: 술탄 카부스종합운동장 관중 수: 2,500명 심판: Panya Hanlumyaung (태국) | ||||
2004년 아시안컵 예선 10월 21일 | 대한민국 ![]() | 1 – 3 | ![]() | 무스카트, 오만 | ||
22:15 UTC+4 |
| 경기장: 술탄 카부스종합운동장 관중 수: 22,000명 심판: NASER AL ENZI | ||||
2004년 아시안컵 예선 10월 24일 | 대한민국 ![]() | 7 – 0 | ![]() | 무스카트, 오만 | ||
22:15 UTC+4 | 경기장: 왕립 오만 경찰 경기장 관중 수: 1,000명 심판: HANLUM | |||||
친선경기 11월 18일 | 대한민국 ![]() | 0 – 1 | ![]() | 서울, 대한민국 | ||
19:00 UTC+9 |
| 경기장: 서울월드컵경기장 관중 수: 38,257명 심판: Subkhiddin Mohd Saleh (말레이시아) | ||||
2003년 동아시안컵 11월 4일 | 홍콩 ![]() | 1 – 3 | ![]() | 도쿄, 일본 | ||
16:30 UTC+9 |
| 경기장: 도쿄 국립경기장 관중 수: 14,895명 심판: Jimmy Napitupulu (인도네시아) | ||||
2003년 동아시안컵 11월 7일 | 대한민국 ![]() | 1 – 0 | ![]() | 사이타마, 일본 | ||
16:30 UTC+9 |
| 경기장: 사이타마 스타디움 2002 관중 수: 27,715명 심판: Halim Abdul Hamid (말레이시아) | ||||
2003년 동아시안컵 11월 10일 | 일본 ![]() | 0 – 0 | ![]() | 요코하마, 일본 | ||
19:15 UTC+9 | 경기장: 요코하마 국제 종합 경기장 관중 수: 62,633명 심판: Santhan Nagalingam (싱가포르) | |||||
2004년
[편집]친선경기 2월 14일 | 대한민국 ![]() | 5 – 0 | ![]() | 울산, 대한민국 | ||
19:00 UTC+9 | 경기장: 울산문수축구경기장 관중 수: 26,154명 심판: Toshimitsu Yoshida (일본) | |||||
200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2차 예선 2월 18일 | 대한민국 ![]() | 2 – 0 | ![]() | 수원, 대한민국 | ||
19:00 UTC+9 | 경기장: 수원월드컵경기장 관중 수: 28,425명 심판: Maugeb Al Dosari (사우디아라비아) | |||||
200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2차 예선 3월 31일 | 몰디브 ![]() | 0 – 0 | ![]() | 말레, 몰디브 | ||
16:00 UTC+9 | 경기장: 라스미 단두 스타디움 관중 수: 12,000명 심판: Anura de Silva Vidanagamage (스리랑카) | |||||
친선경기 4월 28일 | 대한민국 ![]() | 0 – 0 | ![]() | 인천, 대한민국 | ||
19:00 UTC+9 | 경기장: 인천문학경기장 관중 수: 26,237명 심판: Toru Kamikawa (일본) | |||||
친선경기 6월 2일 | 대한민국 ![]() | 0 – 1 | ![]() | 서울, 대한민국 | ||
19:00 UTC+9 |
| 경기장: 서울월드컵경기장 관중 수: 51,185명 심판: 샴술 마이딘 (싱가포르) | ||||
친선경기 6월 5일 | 대한민국 ![]() | 2 – 1 | ![]() | 대구, 대한민국 | ||
20:00 UTC+9 |
| 경기장: 대구월드컵경기장 관중 수: 45,284명 심판: Toshimitsu Yoshida (일본) | ||||
200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2차 예선 6월 9일 | 대한민국 ![]() | 2 – 0 | ![]() | 대전, 대한민국 | ||
19:00 UTC+9 | 경기장: 대전월드컵경기장 관중 수: 40,515명 심판: Omer Al Mehannah (사우디아라비아) | |||||
친선경기 7월 10일 | 대한민국 ![]() | 2 – 0 | ![]() | 광주, 대한민국 | ||
19:00 UTC+9 | 경기장: 광주월드컵경기장 관중 수: 35,241명 심판: Yaufat Fong (홍콩) | |||||
친선경기 7월 14일 | 대한민국 ![]() | 1 – 1 | ![]() | 서울, 대한민국 | ||
19:00 UTC+9 |
|
| 경기장: 서울월드컵경기장 관중 수: 18,025명 심판: Kazuhiko Matsumura (일본) | |||
2004년 아시안컵 Group Match 7월 19일 | 대한민국 ![]() | 0 – 0 | ![]() | 지난, 중화인민공화국 | ||
18:30 UTC+8 | 경기장: Shandong Provincial Stadium 관중 수: 26,000명 심판: 샴술 마이딘 (싱가포르) | |||||
2004년 아시안컵 Group Match 7월 23일 | 아랍에미리트 ![]() | 0 – 2 | ![]() | 지난, 중화인민공화국 | ||
21:00 UTC+8 | 경기장: Shandong Provincial Stadium 관중 수: 30,000명 심판: 랍샨 이르마토프 (우즈베키스탄) | |||||
2004년 아시안컵 Group Match 7월 27일 | 대한민국 ![]() | 4 – 0 | ![]() | 지난, 중화인민공화국 | ||
19:00 UTC+8 | 경기장: Shandong Provincial Stadium 관중 수: 20,000명 심판: Shamsul Maidin (싱가포르) | |||||
2004년 아시안컵 Group Match 7월 31일 | 대한민국 ![]() | 3 – 4 | ![]() | 지난, 중화인민공화국 | ||
21:00 UTC+8 | 경기장: Shandong Provincial Stadium 관중 수: 20,000명 심판: Saad Kamil Al-Fadhli (쿠웨이트) | |||||
200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2차 예선 9월 8일 | 베트남 ![]() | 1 – 2 | ![]() | 호찌민, 베트남 | ||
17:00 UTC+7 | 경기장: 통녓 스타디움 관중 수: 25,000명 심판: Toshimitsu Yoshida (일본) | |||||
200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2차 예선 10월 13일 | 레바논 ![]() | 1 – 1 | ![]() | 베이루트, 레바논 | ||
18:00 UTC+3 |
|
| 경기장: 베이루트 시립경기장 관중 수: 25,000명 심판: Ravshan Irmatov (우즈베키스탄) | |||
200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2차 예선 11월 17일 | 대한민국 ![]() | 2 – 0 | ![]() | 서울, 대한민국 | ||
20:00 UTC+9 | 경기장: 서울월드컵경기장 관중 수: 62,441명 심판: Subash Lazar (싱가포르) | |||||
친선경기 12월 19일 | 대한민국 ![]() | 3 – 1 | ![]() | 부산, 대한민국 | ||
19:00 UTC+9 |
| 경기장: 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 관중 수: 45,775명 심판: 숩키딘 모드 살레 (말레이시아) | ||||
2005년
[편집]친선경기 1월 15일 | 콜롬비아 ![]() | 2 – 1 | ![]() | 로스앤젤레스, 미국 | ||
19:00 UTC±0 |
| 경기장: 로스앤젤레스 메모리얼 콜리세움 관중 수: 20,000명 심판: Alex Fris (미국) | ||||
친선경기 1월 19일 | 파라과이 ![]() | 1 – 1 | ![]() | 로스앤젤레스, 미국 | ||
19:00 UTC±0 |
| 경기장: 로스앤젤레스 메모리얼 콜리세움 관중 수: 10,000명 심판: Brian Hall (미국) | ||||
친선경기 1월 22일 | 스웨덴 ![]() | 1 – 1 | ![]() | 카슨, 미국 | ||
19:30 UTC−8 |
|
| 경기장: 디그니티 헬스 스포츠 파크 관중 수: 9,941명 심판: Ken Stott (미국) | |||
친선경기 2월 4일 | 대한민국 ![]() | 0 – 1 | ![]() | 서울, 대한민국 | ||
20:00 UTC+9 |
| 경기장: 서울월드컵경기장 관중 수: 16,054명 심판: Junjie Huang (중국) | ||||
200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3차 예선 2월 9일 | 대한민국 ![]() | 2 – 0 | ![]() | 서울, 대한민국 | ||
20:00 UTC+9 | 경기장: 서울월드컵경기장 관중 수: 53,287명 심판: Shamsul Maidin (싱가포르) | |||||
친선경기 3월 20일 | 대한민국 ![]() | 1 – 0 | ![]() | 두바이, 아랍에미리트 | ||
18:40 UTC+4 |
| 경기장: 알막툼 경기장 관중 수: 400명 | ||||
200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3차 예선 3월 25일 | 사우디아라비아 ![]() | 2 – 0 | ![]() | 담맘, 사우디아라비아 | ||
18:40 UTC+3 | 경기장: 프린스 모하메드 빈 파흐드 스타디움 관중 수: 18,000명 심판: Subkhiddin Mohd Salleh (말레이시아) | |||||
200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3차 예선 3월 30일 | 대한민국 ![]() | 2 – 1 | ![]() | 서울, 대한민국 | ||
20:05 UTC+9 |
| 경기장: 서울월드컵경기장 관중 수: 62,857명 심판: Tallat Najm (레바논) | ||||
200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3차 예선 6월 3일 | 우즈베키스탄 ![]() | 1 – 1 | ![]() | 타슈켄트, 우즈베키스탄 | ||
18:00 UTC+5 |
|
| 경기장: 파흐타코르 경기장 관중 수: 40,000명 심판: Masoud Moradi (이란) | |||
200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3차 예선 6월 8일 | 쿠웨이트 ![]() | 0 – 4 | ![]() | 쿠웨이트시티, 쿠웨이트 | ||
20:45 UTC+3 | 경기장: 카즈마 SC 스타디움 관중 수: 15,000명 심판: Adunyachart Khanthama (태국) | |||||
2005년 동아시안컵 7월 31일 | 대한민국 ![]() | 1 – 1 | ![]() | 대전, 대한민국 | ||
17:00 UTC+9 |
|
| 경기장: 대전월드컵경기장 관중 수: 25,374명 심판: 니시무라 유이치 (일본) | |||
2005년 동아시안컵 8월 4일 | 대한민국 ![]() | 0 – 0 | ![]() | 전주, 대한민국 | ||
20:00 UTC+9 | 경기장: 전주월드컵경기장 관중 수: 27,455명 심판: Mohsen Ghahremani (이란) | |||||
2005년 동아시안컵 8월 7일 | 대한민국 ![]() | 0 – 1 | ![]() | 대구, 대한민국 | ||
20:00 UTC+9 |
| 경기장: 대구월드컵경기장 관중 수: 42,753명 심판: Tan Hai (중국) | ||||
친선경기 8월 14일 | 대한민국 ![]() | 3 – 0[1] | ![]() | 서울, 대한민국 | ||
19:00 UTC+9 | 경기장: 서울월드컵경기장 관중 수: 65,000명 심판: 이기영 (대한민국) | |||||
200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3차 예선 8월 17일 | 대한민국 ![]() | 0 – 1 | ![]() | 서울, 대한민국 | ||
20:05 UTC+9 |
| 경기장: 서울월드컵경기장 관중 수: 61,586명 심판: Chaiwat Kunsuta (태국) | ||||
친선경기 10월 12일 | 대한민국 ![]() | 2 – 0 | ![]() | 서울, 대한민국 | |
20:00 UTC+9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