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수교 현황

다음은 대한민국수교 연표와 현황을 다룬 목록이다.

연표

[편집]

조선 왕조 ~ 대한제국

[편집]

이상의 대외 관계는 1905년 을사조약 체결로 인해 대한제국의 외교권이 일본 제국으로 넘어감에 따라 모든 국가와 자동 단교되었다.

연도 수교/승인 단교/취소 수교국의 수 비고
1948년
0
1949년
  • 소련 소련 영사관 폐쇄(9월 7일)
5
1950년 6
1951년 6
1952년 6
1953년 6
1954년 6
1955년 8
1956년 9
1957년 10
1958년 11
1959년 15
1960년 16
1961년 27
1962년 55
1963년 67
  • 영국령 케냐에 총영사관 설치(9월 11일)
1964년 69
1965년 74
1966년 75
1967년 76
1968년 79
1969년
  • 튀니지 튀니지와의 관계를 대사급으로 승격(3월 31일)
  • 네팔 네팔 영사 관계 수립(7월 29일)
80
연도 수교/승인 단교/취소 수교국의 수 비고
1970년
  • 통가 통가 승인(6월 11일)
  • 캄보디아 캄보디아와의 관계를 대사급으로 승격(8월 15일)
  • 통가 통가 대사급 수교(9월 11일)
  • 피지 피지 승인(10월 10일)
82
1971년 84
1972년 85
1973년 90
1974년 94
1975년 93
1976년 96
1977년 101
1978년 104
1979년 110
1980년 114
1981년 116
1982년 116
1983년 119
  • 영국령 브루나이에 총영사관 설치(9월 15일)
1984년 121
1985년 124
1986년 124
1987년 127
1988년 129
1989년 133
1990년 144
연도 수교/승인 단교/취소 수교국의 수 비고
1991년 152
  • 유엔 유엔 가입(9월 17일)
  • 한국 정부는 러시아가 구소련의 권리와 의무를 그대로 승계하기 때문에 러시아 연방 승인과 즉시 구소련과의 국교가 승계된다고 인정했다.
1992년 169
1993년 173
  • 마다가스카르 마다가스카르와 관계 정상화(5월 19일)
  • 대만 정부와 비공식관계 설정(7월 27일)
1994년 174
1995년 181
1996년 181
  • 캄보디아 캄보디아와 양국간 대표부 설치 합의(5월 15일)
1997년 182
1998년 182
1999년 182
2000년 183
2001년 183
2002년 185
2003년 185
2004년 185
2005년 185
2006년 187
2007년 188
2008년 188
2009년 188
2010년 188
2011년 189
2012년 189
2013년 190
2014년 190
2015년 190
2016년 190
2017년 190
2018년 190
2019년 191
2020년 191

2021년 ~ 현재

[편집]
연도 수교/승인 단교/취소 수교국의 수 비고
2021년 191
2022년 191
2023년 192
2024년
  • 쿠바 쿠바 대사급 수교(2월 14일)
193
2025년 194

같이 보기

[편집]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