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공군참모총장
![]() | |
---|---|
![]() 대한민국 공군기 | |
관저 | 계룡대 공관 대방동 공관 |
초대 | 김정렬 중장 |
설치일 | 1949년 |
공군참모총장(영문 : Chief of Staff, R.O.K Air Force/한문 : 空軍參謀總長)은 대한민국 공군본부를 대표하는 직위로, 대한민국 공군의 4성 장군(대장)이 역임한다(군 창설 당시에는 군의 규모가 작았기 때문에 3성 장군(중장)이 역임하였음). 대한민국 국군 중에서 합동참모의장, 육군참모총장과 해군참모총장에 이어 의전 서열 4위이다.
역할
[편집]- (국군조직법 제10조 제2항) 각군 참모총장은 국방부장관의 명을 받아 각각 해당 군을 지휘·감독한다. 다만, 전투를 주임무로 하는 작전부대에 대한 작전지휘·감독은 제외한다.
역대 참모총장
[편집]국방경비대 항공대 사령관
[편집]정부 | 대수 | 사진 | 이름 | 계급 | 임기 | 비고 |
---|---|---|---|---|---|---|
미군정 제1공화국 | 초대 | ![]() | 최용덕(崔用德) | 1946.7~ 1948.11.29 |
육군 항공사령부 사령관
[편집]정부 | 대수 | 사진 | 이름 | 계급 | 임기 | 비고 |
---|---|---|---|---|---|---|
제1공화국 | 초대 | ![]() | 최용덕(崔用德) | 1948.11.30~1949.9.30 |
공군참모총장
[편집]정부 | 대수 | 사진 | 이름(계급) | 기수 | 임기 | 비고 |
---|---|---|---|---|---|---|
제1공화국 | 초대 | ![]() | 김정렬(金貞烈) (☆☆☆) | 1949.10.1~1952.11.14 |
| |
2 | ![]() | 최용덕(崔用德) (☆☆☆) | 1952.12.1~1954.11.19 |
| ||
3 | 김정렬(金貞烈) (☆☆☆) | 1954.12.1~1956.12.1 | ||||
4 | ![]() | 장덕창(張德昌) (☆☆☆) | 1956.12.1~1958.12.1 | 일본식 이름 하나야마 도쿠쇼(華山 德昌) | ||
5 | ![]() | 김창규(金昌圭) (☆☆☆) | 일본육사 55 | 1958.12.1~1960.7.25 |
| |
제2공화국 | 6 | ![]() | 김신(金信) (☆☆☆) | 중화민국 공군군관학교 입학 | 1960.8.1~1962.8.1 |
|
7 | ![]() | 장성환(張盛煥) (☆☆☆) | 일본 기후비행학교 졸업(1942). | 1962.8.1~1964.8.1 | ||
제3공화국 | ||||||
8 | ![]() | 박원석(朴元錫) (☆☆☆) | 1964.8.1~1966.8.1 | |||
9 | ![]() | 장지량(張志良) (☆☆☆) | 1966.8.1~1968.8.1 |
| ||
10 | ![]() | 김성룡(金成龍) (☆☆☆) | 1968.8.1~1970.8.1 |
| ||
11 | ![]() | 김두만(金斗萬) (☆☆☆) | 5(1957) | 1970.8.1~1971.8.24 |
| |
12 | ![]() | 옥만호(玉滿鎬) (☆☆☆☆) | 1(1951) | 1971.8.25~1974.8.1 |
| |
제4공화국 | ||||||
13 | ![]() | 주영복(周永福) (☆☆☆☆) | 일본 다치아라이 육군비행학교 출신 | 1974.8.1~1979.4.13 |
| |
14 | ![]() | 윤자중(尹子重) (☆☆☆☆) | 1(1951) | 1979.4.18~1981.3.10 | ||
제5공화국 | 15 | ![]() | 이희근(李喜根) (☆☆☆☆) | 상동 | 1981.3.10~1982.6.5 | |
16 | ![]() | 김상태(金相台) (☆☆☆☆) | 2(1954) | 1982.6.5~1984.6.5 |
| |
17 | ![]() | 김인기(金仁基) (☆☆☆☆) | 3(1955) | 1984.6.5~1987.6.5 | ||
18 | ![]() | 서동렬(徐東烈) (☆☆☆☆) | 4(1956) | 1987.6.5~1989.6.5 | ||
노태우 정부 | ||||||
19 | ![]() | 정용후(鄭用厚) (☆☆☆☆) | 6(1958) | 1989.6.5~1990.9.8 |
| |
20 | ![]() | 한주석(韓周奭) (☆☆☆☆) | 1990.9.8~1992.9.8 | |||
21 | ![]() | 이양호(李養鎬) (☆☆☆☆) | 8 | 1992.9.8~1993.5.27 |
| |
김영삼 정부 | 22 | ![]() | 조근해(趙根海) (☆☆☆☆) | 9 | 1993.5.27~1994.3.3 |
|
23 | ![]() | 김홍래(金鴻來) (☆☆☆☆) | 10 | 1994.3.8~1996.3.8 | ||
24 | ![]() | 이광학(李光學) (☆☆☆☆) | 11 | 1996.3.8~1998.3.6 | ||
김대중 정부 | 25 | ![]() | 박춘택(朴春澤) (☆☆☆☆) | 12 | 1998.3.6~2000.3.3 (☆☆☆☆) | |
26 | ![]() | 이억수(李億秀) (☆☆☆☆) | 14 | 2000.3.3~2002.3.2 |
| |
27 | ![]() | 김대욱(金大郁) (☆☆☆☆) | 15 | 2002.3.2~2003.10.11 |
| |
노무현 정부 | ||||||
28 | ![]() | 이한호(李漢鎬) (☆☆☆☆) | 21(1969) | 2003.10.11~2005.10.7 | ||
29 | ![]() | 김성일(金成一) (☆☆☆☆) | 24(1972) | 2005.10.10~2007.4.13 | ||
30 | ![]() | 김은기(金銀基) (☆☆☆☆) | 2007.4.13~2008.10.2 | |||
이명박 정부 | 31 | ![]() | 이계훈(李啓勳) (☆☆☆☆) | 2008.10.2~2010.9.30 | ||
32 | ![]() | 박종헌(朴鍾憲) (☆☆☆☆) | 2010.9.30~2012.4.18 | |||
33 | ![]() | 성일환(成日煥) (☆☆☆☆) | 2012.4.18~2014.4.11 | |||
박근혜 정부 | ||||||
34 | ![]() | 최차규(崔且圭) (☆☆☆☆) | 2014.4.11~2015.9.17 | |||
35 | ![]() | 정경두(鄭景斗) (☆☆☆☆) | 2015.9.17~2017.8.11 |
| ||
문재인 정부 | 36 | ![]() | 이왕근(李旺根) (☆☆☆☆) | 2017.8.11~2019.4.16 |
| |
37 | ![]() | 원인철(元仁哲) (☆☆☆☆) | 2019.4.16~2020.9.23 |
| ||
38 | ![]() | 이성용(李成龍) (☆☆☆☆) | 2020.9.23~2021.6.4 | |||
39 | ![]() | 박인호(朴仁虎) (☆☆☆☆) | 2021.7.2~2022.5.27 | |||
윤석열 정부 | 40 | ![]() | 정상화(鄭相和) (☆☆☆☆) | 2022.5.27~2023.10.31 | ||
41 | ![]() | 이영수(李英秀) (☆☆☆☆) | 2023.10.31~ |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1916년 중국 육군 군관학교 졸업 후, 1920년 서왈보의 추천으로 중국 보정항공학교에 들어가 비행사가 되어 중국공군군관학교 교관, 수상비행대장, 공군기지사령관 등을 역임했다.
- ↑ 육군 항공대에서 근무 중 공군이 창설되면서 공군으로 전군.
- ↑ 박정희의 일본 육사 1기 후배
- ↑ 한겨레 1993년 4월 24일자
- ↑ 황성기 (1994년 3월 4일). “불붙은 헬기 맴돌다 곤두박질/UH60기 참사”. 《서울신문》. 2011년 8월 3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