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광역시의 행정 구역
대구광역시의 행정 구역은 7개 구와 2개 군으로 이루어져 있다. 2024년 6월 30일 기준 대구광역시의 주민등록 인구는 1,084,566세대 2,387,031명이다.[A]
2023년 7월 1일 경상북도 군위군이 대구광역시에 편입되었다.[1][2] 군위군의 인구는 대구광역시 자치구·군 중 가장 적지만, 면적은 614.31km2로 가장 넓다. 군위군 편입에 따라 대구광역시의 면적은 1,499.53 km2으로 늘어났는데,[3] 이에 따라 대구광역시가 대한민국 지방자치단체 특·광역시 중에서 가장 넓은 면적을 갖게 되었다.[B]
개요
[편집]
자치구·군 | 한자 | 세대 | 인구(명) | 면적(km2) |
---|---|---|---|---|
중구 | 中區 | 40,749 | 80,199 | 7.06 |
동구 | 東區 | 159,422 | 339,530 | 182.15 |
서구 | 西區 | 81,116 | 159,827 | 17.32 |
남구 | 南區 | 76,401 | 141,519 | 17.43 |
북구 | 北區 | 192,697 | 430,912 | 93.99 |
수성구 | 壽城區 | 171,480 | 411,553 | 76.54 |
달서구 | 達西區 | 235,883 | 536,989 | 62.37 |
달성군 | 達城郡 | 113,125 | 263,162 | 428.36 |
군위군 | 軍威郡 | 13,693 | 23,340 | 614.31 |
대구광역시 | 大邱廣域市 | 1,084,566 | 2,387,031 | 1,499.53 |
행정 구역
[편집]각주
[편집]내용
출처
- ↑ “경북 군위군, 내년 7월부터 대구 편입…국회 법안 통과”. 《연합뉴스》. 네이버 뉴스(보존) (서울). 2022년 12월 8일. 2023년 6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6월 8일에 확인함.
- ↑ u.a. (2023). “경상북도와 대구광역시 간 관할구역 변경에 관한 법률”.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경상북도 군위군을 경상북도의 관할구역에서 제외하고, 대구광역시의 관할구역에 편입한다. 부칙 제1조(시행일) 이 법은 2023년 7월 1일부터 시행한다. ...<후략>" [시행 2023. 7. 1.] [법률 제19155호, 2023. 1. 3., 제정]. 2023년 6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6월 8일에 확인함.
- ↑ 가 나 대구소개>일반현황>행정구역 - 대구광역시청 홈페이지
- ↑ 박세진 (2023년 7월 1일). “군위 품은 '그랜드 대구' 출범…신공항과 함께 재도약 꿈꾼다”. 《연합뉴스》. 네이버 뉴스(보존) (대구). 2023년 7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7월 4일에 확인함.
- ↑ 윤정 (2023년 6월 14일). ““대구, 서울 면적 2.5배…3대 도시 위상 되찾는다””. 《대구신문》. 2023년 7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7월 4일에 확인함.
- ↑ 2023년 7월 4일 확인함. 행정구역별·소유구분별 국토이용현황(2022) -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총수 | 1945년 8월 15일 | 1949년 8월 15일 | 1963년 1월 1일 | 1980년 4월 1일 | 1981년 7월 1일 | 1988년 1월 1일 | 1995년 3월 1일 | 2023년 7월 1일 | 현재 | |
1 | (경상북도 칠곡군 칠곡읍) | 북구 | ||||||||
(경상북도 대구부) | (경상북도 대구시) | 북구 | ||||||||
2 | 중구 | |||||||||
3 | 서구 | 동구[1] 서구 남구 수성구[2] | 서구 | |||||||
4 | 달서구[3] | |||||||||
5 | 남구 | 남구 | ||||||||
6 | 동구 | 동구 | 동구 | |||||||
7 | 수성구 | 수성구 | ||||||||
(경상북도 달성군) | ||||||||||
8 | (경상북도 달성군) | 달성군 | ||||||||
9 | (경상북도 군위군) | 군위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