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라별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목록
다음은 나라별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목록이다. 지금까지 총 52개국이 참가했고, 35개국이 우승을 한 번 이상 했으며, 60개의 언어가 등장했다.
현황
[편집]현재는 35개국이 참가하고 있으며, 회색으로 표시된 국가는 현재 참가하지 않는 국가이다. 라틴 알파벳 순으로 나열하였다.
국가 | 첫 참가 연도 | 참가 횟수 | 우승 횟수 | 방송사[1] |
---|---|---|---|---|
![]() | 2004 | 10 | 0 | RTSH |
![]() | 2004 | 6 | 0 | RTVA |
![]() | 7 | 0 | AMPTV | |
![]() | 46 | 1 | ORF | |
![]() | 6 | 1 | İTV | |
![]() | 2004 | 10 | 0 | BTRC |
![]() | 55 | 1 | VRT (네덜란드어) RTBF (프랑스어) | |
![]() | 1993 | 18 | 0 | BHRT |
![]() | 2005 | 9 | 0 | BNT |
![]() | 1993 | 21 | 0 | HRT |
![]() | 1991 | 31 | 0 | CyBC |
![]() | 3 | 0 | ČT | |
![]() | 42 | 3 | DR | |
![]() | 1994 | 19 | 1 | ETV |
![]() | 1961 | 47 | 1 | YLE (핀란드어) |
![]() | 56 | 5 | TF1 (1956–1981) 프랑스 텔레비지옹 (1983–) | |
![]() | 6 | 0 | GPB | |
![]() | 57 | 2 | NDR, ARD | |
![]() | 1974 | 34 | 1 | ERT |
![]() | 1994 | 11 | 0 | MTV |
![]() | 1986 | 26 | 0 | RÚV |
![]() | 1965 | 47 | 7 | RTÉ |
![]() | 1973 | 36 | 3 | IBA |
![]() | 39 | 2 | RAI | |
![]() | 14 | 1 | LTV | |
![]() | 1994 | 14 | 0 | LRT |
![]() | 37 | 5 | CLT | |
![]() | 13 | 0 | MKRTV | |
![]() | 1971 | 26 | 0 | PBS |
![]() | 2005 | 9 | 0 | TRM |
![]() | 1959 | 24 | 1 | [TMC |
![]() | 5 | 0 | RTCG | |
![]() | 1980 | 1 | 0 | SNRT |
![]() | 54 | 4 | NOS (1956–2009) TROS (2010–) | |
![]() | 1960 | 52 | 3 | NRK |
![]() | 1994 | 16 | 0 | TVP |
![]() | 1964 | 46 | 0 | RTP |
![]() | 1994 | 15 | 0 | TVR |
![]() | 1994 | 17 | 1 | RTR |
![]() | 4 | 0 | SMRTV | |
![]() | 7 | 1 | RTS | |
![]() | 2004 | 2 | 0 | UJRT |
![]() | 1994 | 7 | 0 | STV (1994–2010) RTVS (2011–) |
![]() | 1993 | 19 | 0 | RTV SLO |
![]() | 1961 | 53 | 2 | TVE |
![]() | 53 | 5 | SVR (1958) SR (1959–1979) SVT (1980–) | |
![]() | 54 | 2 | SRG SSR | |
![]() | 1975 | 34 | 1 | TRT |
![]() | 2003 | 11 | 1 | NTU |
![]() | 56 | 5 | BBC | |
![]() | 1961 | 25 | 1 | JRV |
참가하지 못한 국가들
[편집]가능성이 있는 국가부터 나열하였다.
스코틀랜드 - 2014년 9월 18일에 있을 스코틀랜드 독립 국민투표[2]에서 스코틀랜드가 독립을 할 경우 빠르면 2015년부터 참가가 가능하다고 한다.[3]
코소보 - 2008년 독립선언 이후, 코소보는 유럽 방송 연맹에 가입을 수 차례 시도했지만, 거부 당하였다. 하지만 카자흐스탄과 같이 방송을 계속 하고 있다.
리히텐슈타인 - 현재 리히텐슈타인은 오스트리아와 스위스의 방송을 빌려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의 시청을 가능하게 했는데, 코소보와 같이 유럽 방송 연맹에 가입을 하지 못하여 현재 참가가 불가한 상황이다. EBU 가입이 완료될 경우 빠르게는 2014년 또는 2015년에 참가가 가능하다고 한다.
카자흐스탄 - 카자흐스탄을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에 참가시키자는 의견이 많지만, 아직 유럽 방송 연맹에 가입하지 않았고, 또한 유럽과 너무 거리가 멀다는 점에서 아직 수년내 참가는 불투명해 보인다. 2010년부터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의 방송을 시작하였다.
카타르 - 2009년 대회에 참가하려 했지만, 거리가 너무 멀고 비-유럽권이라는 이유로 참가를 거부당하였다. 지금까지 참가 신청을 하고 있다.
레바논 - 2005년 대회에 참가하려 했지만, 정부에서 이스라엘 매체 이용 금지령을 내려 참가하지 못하게 되었다.
튀니지 - 1977년 대회에 참가하려 했지만, 종교적 이유로 거부당했다.
카탈루냐 - 스코틀랜드와 마찬가지로 독립의 문제가 가장 크다. 언제 독립할지 모른다는 점에서 참가가 불투명하다.
소련 - 1980년대 말부터 서구화의 진행으로 참가를 시도했지만 거부당했다.
참가 자격이 있지만 참가하지 않은 국가들
[편집]각주
[편집]- ↑ http://www.eurovision.tv/page/history-by-country History by country, Eurovision.tv에서 2008년 2월 10일 작성
- ↑ http://www.scotreferendum.com/questions/what-will-happen-to-the-bbc-following-independence/ 보관됨 2014-07-05 - 웨이백 머신, 스코틀랜드 정당에서 작성
- ↑ http://www.eurovision.tv/page/news/gossip?id=462, 2009년 4월 Eurovision.tv에서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