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1966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 |
---|---|
일자 | |
결승전 | 1966년 3월 5일 |
주최 | |
장소 | ![]() |
사회자 | 조시앤 셴 |
지휘자 | 장 로데레스 |
총감독 | 클리포드 브라운 |
주최 방송사 | CLT |
참가국 | |
참가한 국가의 수 | 18 |
참가국 지도 | |
![]() | |
참가를 결정한 국가 대표 가수와 곡을 결정한 나라 결선에 진출하지 못한 국가 과거에는 참가했으나 본 대회에는 참가하지 않는 국가 | |
투표 | |
우승 아티스트 | ![]() |
우승 곡 | Merci, Chérie |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 |
◄1965 ![]() | |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1966(EUROVISION SONG CONTEST 1966)은 룩셈부르크에서 열린 제 11회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이다. 전의 10회 콘테스트에서 룩셈부르크가 우승하여 개최권을 획득하였다. 우승자는 오스트리아의 우도 유르겐(Udo Jürgens)의 "Merci, Chérie"로, 오스트리아는 이후 2014년 우승까지 단 한 차례도 우승하지 못했다.
이 대회에서 최초의 흑인 가수 밀리 스콧(Milly Scott)이 네덜란드를 대표하여 출전했다. 그녀는 유로비전 최초로 휴대용 마이크를 사용한 가수이기도 하다. 덴마크는 대회 출전 후 1978년 재출전까지 대회에 참가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