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원양성기관역량진단
교원양성기관역량진단(敎員養成機關力量診斷)은 한국교육개발원에서 실시하는 교육개혁방안으로 도입된 일부 대학[1]을 대상으로 하는 평가 방식의 명칭이다. 1998년 김대중 정부때부터 도입되어 현재까지 시행되고 있으며, 2018년은 한국교원대학교 외 9개 교육대학이 진단 대상이 되는 해이다.
진단 대상
[편집]2017년 일반대학 기준, 진단 대상은 다음과 같다.
서울·인천·경기 |
---|
가천 · 가톨릭 · 강남 · 건국 · 경기 · 경인교육 · 경희 · 고려 · 국민 · 단국 · 덕성여자 · 동국 · 동덕여자 · 명지 · 삼육 · 상명 · 서강 · 서경 · 서울교육 · 서울과학기술 · 서울 · 서울시립 · 서울신학 · 서울여자 · 성결 · 성균관 · 성신여자 · 세종 · 숙명여자 · 수원 · 숭실 · 신한 · 아주 · 안양 · 연세 · 용인 · 을지 · 이화여자 · 인천 · 장로회신학 · 중앙 · 총신 · 한국외국어 · 한성 · 한양 · 한양 (ERICA) · 협성 · 홍익 |
대구·경북·강원 |
가톨릭관동 · 강릉원주 · 강원 · 경동 · 경북 · 계명 · 김천 · 대구가톨릭 · 대구교육 · 대구 · 대진 · 동국 (경주) · 동양 · 상지 · 안동 · 연세 (미래) · 영남 · 위덕 · 춘천교육 · 한라 · 한림 |
대전·세종·충청 |
건국 (글로컬) · 건양 · 고려 (세종) · 공주교육 · 공주 · 남서울 · 대전 · 목원 · 배재 · 백석 · 서원 · 세명 · 순천향 · 우송 · 유원 · 중부 · 청주교육 · 청주 · 충남 · 충북 · 침례신학 · 한국교원 · 한국교통 · 한국기술교육 · 한남 · 한서 · 한밭 · 호서 · 청운 |
부산·울산·경남 |
가야 · 경남 · 경상 · 경성 · 고신 · 동명 · 동서 · 동아 · 동의 · 부경 · 부산교육 · 부산 · 부산외국어 · 신라 · 울산 · 인제 · 진주교육 · 창신 · 창원 · 한국국제 · 한국해양 |
광주·전라·제주 |
광신 · 광주교육 · 광주 · 광주여자 · 군산 · 남부 · 동신 · 목포가톨릭 · 목포 · 세한 · 송원 · 순천 · 우석 · 원광 · 전남 · 전북 · 전주교육 · 전주 · 제주국제 · 제주 · 조선 · 초당 · 호남 · 호원 |
목적
[편집]한국교육개발원은 교원양성기관역량진단은 교육양성 교육의 질적 수준 향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가지고 1998년부터 현재까지 시행하고 있다.[2]
- 교원양성교육의 질적 수준 향상
- 교원양성기관의 법적 책임 확보
- 교원양성체제 개편의 참고자료 제공
- 교직희망자, 시·도교육청 및 학교 등에 정보 제공
진단 상세
[편집]교원양성기관역량진단은 크게 2가지 목표를 설정하고 실시되는데, 교원양성기관에 대한 국가 수준의 점검·관리와, 교원양성기관의 능동적 개선 노력 유도 등이 그것이다.[3] 이와 같은 목적으로, ‘교육 여건’, ‘교육과정’, ‘성과’ 등 다양한 방면에서 각 지표별로 평가를 실시하며[4], A~E등급으로 분류한다.
대학기본역량진단 등과 비슷하게 정원을 감축하고자 하는 목적도 가지고 있는데, C~E등급의 경우 양성정원 감축 및 기관또는 과정의 폐지가 이루어질 수 있다. 실제로 대학기본역량진단의 진단 대상이 아닌 교육대학 등이 이 평가를 통해 인원을 감축하는 방안으로 쓰이고 있다.
교원양성기관역량진단의 진단 대상은 교육대학, 사범대학, 기타 교육과[5], 교직과정, 교육대학원 설치 대학 등 다양한 유형의 대학이 대상이므로, 연도별로 유형별 대학을 선별하여 평가한다.
2018년 기준, 5주기 평가는 9개 교육대학과 한국교원대학교가 대상이다.
진단 결과
[편집]1주기
[편집]1주기 교원양성기관평가는 1998년부터 2002년까지 시행되었다.
연도 | 1998년 | 1999년 | 2000년 | 2001년 | 2002년 |
---|---|---|---|---|---|
평가 대상 | 사범대학 | 교육대학원 | 교육대학원 교육대학교육대학원 | 일반대학 교육과 | 교직과정 설치학과 |
대학 수 | 40 | 69 | 11 10 | 30 | 122 |
1주기 평가는 사범대학, 교육대학원, 교육대학교육대학원, 일반대학 교육과, 교직과정 설치학과 순으로 진행되었다.
2주기
[편집]2주기 평가는 2003년부터 2009년까지 실시되었다.
연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
평가 대상 | 사범대학 | 교육대학원 | 교육대학원 교육대학교육대학원 | 일반대학 교육과 | 교직과정 설치학과 | ||
대학 수 | 40 | 62 | 50 | 11 11 | 53 | 76 | 84 |
상대적으로 다수를 차지하는 교육대학원과 교직과정 설치대학을 각각 3년, 2년씩 나눠 1주기 평가 대비 상세하게 평가하기 위해 노력했다. 이러한 평가를 통해 각 대학의 교직 교육과정에 대한 적극적인 투자를 이끌어 냈다는 긍정적인 평가가 있다.[6]
3주기
[편집]3주기의 평가 결과는 아래와 같으며, 2010년부터 2014년까지 평가를 실시했다. 이전 평가와의 큰 차이는 과정별 평가에서, 양성기관 내 모든 양성과정을 동시 평가로 전환했다는 점이다.[7]
2010년
[편집]사범대학을 설치한 45개교를 중심으로 평가되었다. 사범대학 뿐만 아니라, 설치된 교직과정 등도 함께 평가 받았다.
A | 고려 · 공주 · 대구 · 동국 · 성신여자 · 이화여자 · 중앙 · 충남 |
B | 강원 · 건국 · 경남 · 경북 · 경상 · 계명 · 단국 · 대구가톨릭 · 목원 · 부산 · 상명 · 서울 · 신라 · 순천 · 영남 · 우석 · 인하 · 전남 · 전북 · 제주 · 조선 · 충북 · 한국교원 · 한국외국어 · 한남 · 한양 · 홍익 |
C | 강남 · 관동 · 목포 · 서원 · 성결 · 성균관 · 안동 · 원광 · 전주 · 청주 |
D | - |
A | - |
B | - |
C | 계명 · 고려 · 공주 · 대구가톨릭 · 대구 · 동국 · 부산 · 상명 · 서울 · 성결 · 성신여자 · 신라 · 영남 · 이화여자 · 인하 · 충남 · 한국외국어 · 한양 |
D | 강원 · 강남 · 건국 · 건국 (글로컬) · 경남 · 경북 · 경상 · 고려 (세종) · 관동 · 단국 · 동국 (경주) · 목원 · 목포 · 서원 · 성균관 · 순천 · 안동 · 우석 · 원광 · 전남 · 전북 · 전주 · 제주 · 조선 · 중앙 · 청주 · 충북 · 한남 · 홍익 |
A | 이화여자 |
B | 부산 |
C | 건국 · 경북 · 경상 · 고려 · 공주 · 동국 · 상명 · 성신여자 · 신라 · 영남 · 인하 · 조선 · 한국외국어 · 한양 |
D | 강남 · 강원 · 경남 · 계명 · 관동 · 단국 · 대구가톨릭 · 대구 · 목포 · 목원 · 서원 · 성결 · 성균관 · 순천 · 안동 · 우석 · 원광 · 전남 · 전북 · 전주 · 제주 · 중앙 · 청주 · 충남 · 충북 · 한국교원 · 한남 · 홍익 |
고려대학교, 공주대학교 등의 사범대학이 최고 등급을 받았고, 강원대학교, 건국대학교 등의 사범대학이 B등급으로 평가되었다. 강남대학교, 관동대학교의 사범대학이 C등급으로 평가 받으며, D등급에 오른 학교는 없었다.
사범대학을 제외한 각 부문에서 교직과정 설치학과 부문은 상위 그룹이 없어 충격을 주었고, 교육대학원도 이화여자대학교, 부산대학교 등만이 상위권에 올랐다.
사범대학이 C등급에 오른 9개교는 2011년 재평가를 받았으며, 모두 B등급으로 재평가 되었다.[8] 이 외에도 각 부문에서 B등급 미만의 등급을 받은 학교들이 2011년에 재평가를 시행했다.
2011년
[편집]2011년은 일반대학 중 각종 사범학과 설치한 대학을 중심으로 실시되었다.
A | 경기 · 경성 · 경원 · 고신 · 대전 · 덕성여자 · 동신 · 동의 · 부경 · 서울신학 · 서울여자 · 순천향 · 연세 · 용인 · 인제 · 장신 · 창원 · 한국체육 · 호서 |
B | 강릉원주 · 건양 · 경성 · 고신 · 광신 · 광주여자 · 국민 · 극동 · 나사렛 · 남부 · 대구한의 · 대불 · 동명 · 동아 · 목포가톨릭 · 배재. 백석 · 삼육 · 서울신학 · 숙명여자 · 순천향 · 영동 · 위덕 · 을지 · 중부 · 창원 · 총신 · 한중 · 호남 |
C | 가야 · 가톨릭 · 경동 · 나사렛[9] · 대불 · 부산장신 · 안양 · 위덕[10] · 침례 · 한국국제 |
D | 경동[11] · 경주 · 광주 · 명신 |
A | 서울여자 · 연세 · 한국체육 |
B | 경원 · 광주여자 · 덕성 · 동의 · 용인 · 인제 |
C | 가톨릭 · 강릉원주 · 건양 · 경기 · 경성 · 고신 · 국민 · 나사렛 · 남부 · 대불 · 동명 · 동아 · 목포가톨릭 · 배재 · 백석 · 삼육 · 서울신학 · 숙명여자 · 순천향 · 안양 · 연세 (미래) · 위덕 · 을지 · 중부 · 침례신학 |
D | 가야 · 광주 · 경동 · 경주 · 극동 · 대구한의 · 대전 · 동신 · 동양 · 부경 · 영동 · 창원 · 한국국제 · 한중 · 호남 · 호서 |
A | 연세 · 용인 |
B | 남부 · 동아 · 인제 · 장신 |
C | 가톨릭 · 건양 · 경원 · 광주여자 · 국민 · 나사렛 · 덕성여자 · 숙명아자 · 중부 · 한국체육 · 호남 |
D | 가야 · 강릉원주 · 경기 · 경성 · 고신 · 광신 · 극동 · 대구한의 · 대전 · 동신 · 동양 · 동의 · 배재 · 백석 · 부경 · 서울여자 · 순천향 · 안양 · 위덕 · 창원 · 총신 · 한중 · 호서 |
2011년 진단에 사범계열 전공을 설치한 대학 54개교가 평가되었다. 연세대학교가 모든 부문에서 A등급을 받으며 두각을 보였고, 경기대학교, 경성대학교, 강릉원주대학교, 건양대학교, 서울여자대학교, 경원대학교, 광주여자대학교, 용인대학교, 남부대학교, 동아대학교 등이 각 부문에서 A~B 등급을 받았다.[8]
2012년
[편집]A | . |
---|---|
B | 남서울대학교 · 서강대학교 · 숭실대학교 · 아주대학교 · 한국성서대학교 · 호원대학교 |
C | 경희대학교 · 국군간호사관학교 · 대진대학교 · 동덕여자대학교 · 동서대학교 · 명지대학교 · 부산외국어대학교 · 서경대학교 · 서울시립대학교 · 수원대학교 · 영남신학대학교 · 예수대학교 · 우송대학교 · 울산대학교 · 차의과학대학교 · 초당대학교 · 평택대학교 · 한국기술교육대학교 · 한려대학교 · 한림대학교 · 한밭대학교 · 한서대학교 · 협성대학교 |
D | 가천대학교 · 감리교신학대학교 · 경남과학기술대학교 · 경운대학교 · 경일대학교 · 광운대학교 · 군산대학교 · 그리스도대학교 · 금오공과대학교 · 부산가톨릭대학교 · 상지대학교 · 서남대학교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 선문대학교 · 성공회대학교 · 세명대학교 · 세종대학교 · 영산대학교 · 청운대학교 · 한경대학교 · 한국교통대학교 · 한국항공대학교 · 한국해양대학교 · 한라대학교 · 한영신학대학교 |
A | 서강대학교 · 아주대학교 |
---|---|
B | 경희대학교 · 대진대학교 · 숭실대학교 · 한서대학교 |
C | 세종대학교 · 수원대학교 · 추계예술대학교 · 한동대학교 |
D | 광운대학교 · 군산대학교 · 그리스도대학교 · 금오공과대학교 · 동덕여자대학교 · 명지대학교 · 부산외국어대학교 · 상지대학교 · 서남대학교 · 서울시립대학교 · 선문대학교 · 성공회대학교 · 세명대학교 ·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 울산대학교 · 인천대학교 · 제주국제대학교 · 한국해양대학교 · 한성대학교 · 한신대학교 · 협성대학교 |
2012년은 일반대학 중 사범대학과 사범계열 학과 미설치 대학 중, 교직과정이나 교육대학원이 설치되어 있는 학교를 대상으로 평가를 실시하였다. 각 부분에서 남서울대학교, 서강대학교, 아주대학교, 경희대학교, 대진대학교 등이 좋은 성적을 보여주었다.[12]
전문대학
[편집]2013년과 2014년, 2년에 걸쳐 전문대학 사범계열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졌다.[7]
4주기
[편집]2015년
[편집]A | 건국대학교 · 경북대학교 · 경상대학교 · 고려대학교 · 공주대학교 · 부산대학교 · 서울대학교 · 안동대학교 · 이화여자대학교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중앙대학교 · 충남대학교 · 한국교원대학교 · 한남대학교 · 한양대학교 |
---|---|
B | 가톨릭관동대학교 · 강남대학교 · 강원대학교 · 경남대학교 · 계명대학교 · 단국대학교 · 대구가톨릭대학교 · 대구대학교 · 동국대학교 · 목원대학교 · 목포대학교 · 상명대학교 · 성결대학교 · 성균관대학교 · 순천대학교 · 신라대학교 · 영남대학교 · 원광대학교 · 전북대학교 · 전주대학교 · 제주대학교 · 충북대학교 · 한국외국어대학교 |
C | 서원대학교 · 성신여자대학교 · 우석대학교 · 인하대학교 · 홍익대학교 |
D | 청주대학교 |
A | 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
---|---|
B |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13] |
C | 강원대학교 ·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14] |
D | . |
A | . |
---|---|
B | 부산대학교 · 서울대학교 · 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 경북대학교 · 경상대학교 · 계명대학교 · 고려대학교 · 대구대학교 ·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 목원대학교 · 목포대학교 · 상명대학교 · 성결대학교 · 성균관대학교 · 성신여자대학교 · 순천대학교 · 신라대학교 · 한국외국어대학교 · 한남대학교 · 한양대학교 |
C | 가톨릭관동대학교 · 강남대학교 · 강원대학교[15] · 경남대학교 ·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 공주대학교 · 단국대학교 · 대구가톨릭대학교 · 동국대학교 · 상명대학교[16] · 서원대학교 · 우석대학교 · 원광대학교 · 전북대학교 · 전주대학교 · 청주대학교 · 충북대학교 · 한양대학교 ERICA캠퍼스 · 홍익대학교 |
D | 인하대학교 · 홍익대학교[17] |
A | |
---|---|
B | 경남대학교 · 고려대학교 · 부산대학교 · 서울대학교 · 이화여자대학교 · 한국교원대학교 · 한국외국어대학교 |
C | 강원대학교 · 건국대학교 · 경북대학교 · 경상대학교 · 계명대학교 · 공주대학교 · 단국대학교 · 대구대학교 · 상명대학교 · 성결대학교 · 성균관대학교 · 성신여자대학교 · 순천대학교 · 안동대학교 · 영남대학교 · 전남대학교 · 전북대학교 · 제주대학교 · 조선대학교 · 중앙대학교 · 충남대학교 · 충북대학교 · 한남대학교 · 한양대학교 |
D | 대구가톨릭대학교 · 동국대학교 · 목포대학교 · 신라대학교 · 우석대학교 · 원광대학교 · 인하대학교 · 전주대학교 |
2015년은 교육대학과 사범대학을 평가하였으며, 교육대학은 정원 감축 대상 학교가 없이 모두 B등급 이상을 획득했다.
사범대학의 경우, 각 부문에서 건국대학교, 경북대학교, 가톨릭관동대학교, 강남대학교, 건국대학교 글로벌캠퍼스,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부산대학교, 서울대학교, 강원대학교, 경남대학교, 고려대학교 등이 좋은 평가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 평가로, 약 15%에 해당하는 인원이 감축되어 18,310명의 정원만 둘 것으로 결정되었다.[18]
2016년
[편집]A | 건양대학교 · 고신대학교 · 국민대학교 · 남부대학교 · 덕성여자대학교 · 동의대학교 · 부경대학교 · 서울신학대학교 · 세한대학교 · 숙명여자대학교 · 안양대학교 · 연세대학교 · 용인대학교 · 장로회신학대학교 · 중부대학교 · 창원대학교 · 총신대학교 · 호서대학교 |
---|---|
B | 가천대학교 · 가톨릭대학교 · 강릉원주대학교 · 건양대학교[19] · 경기대학교 · 경성대학교 · 고신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나사렛대학교 · 남부대학교[20] · 대구한의대학교 · 대전대학교 · 동명대학교 · 동신대학교 · 동아대학교 · 동양대학교 · 백석대학교 · 부산장신대학교 · 삼육대학교 · 서울신학대학교 · 서울여자대학교 · 세한대학교[21] · 순천향대학교 · 안양대학교[22] · 유원대학교 · 인제대학교 · 중부대학교[23] · 창원대학교[24] · 총신대학교[25] · 한국국제대학교 · 한국체육대학교 · 호남대학교 |
C | 가야대학교 · 경성대학교[26] · 경주대학교 · 광주대학교 · 극동대학교 · 김천대학교 · 목포가톨릭대학교 · 배재대학교 · 우송대학교 · 위덕대학교 · 인제대학교[27] · 침례신학대학교 · 한중대학교 · 호원대학교 |
D | 가야대학교[28] · 광신대학교 · 을지대학교 |
E | . |
A | 서경대학교 · 영남신학대학교 · 한국성서대학교 |
---|---|
B | 가천대학교 · 국군간호사관학교 · 남서울대학교 · 덕성여자대학교 · 서강대학교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 서울신학대학교 · 숙명여자대학교 · 연세대학교 · 예수대학교 · 한국체육대학교 |
C | 가톨릭대학교 · 건양대학교 · 경기대학교 · 경희대학교 · 고신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국민대학교 · 나사렛대학교 · 남부대학교 · 대진대학교 · 동덕여자대학교 · 동아대학교 · 명지대학교 · 백석대학교 · 부경대학교 · 삼육대학교 · 서울시립대학교 · 서울여자대학교 · 세종대학교 · 수원대학교 · 숭실대학교 · 아주대학교 ·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 · 용인대학교 · 청운대학교 · 한경대학교 · 한국국제대학교 · 한림대학교 · 한영신학대학교 · 협성대학교 · 호원대학교 |
D | 강릉원주대학교 · 경성대학교 · 경일대학교 · 군산대학교 · 극동대학교 · 대구한의대학교 · 대전대학교 · 동명대학교 · 동서대학교 · 동신대학교 · 동의대학교 · 목포가톨릭대학교 · 배재대학교 · 부산외국어대학교 · 상지대학교 · 세명대학교 · 순천향대학교 · 안양대학교 · 우송대학교 · 울산대학교 · 유원대학교 · 인제대학교 · 중부대학교 · 차의과학대학교 · 창원대학교 · 초당대학교 · 침례신학대학교 · 한국기술교육대학교 · 한국해양대학교 · 한라대학교 · 한밭대학교 · 한서대학교 · 한성대학교 · 호남대학교 · 호서대학교 |
E | 가야대학교 · 감리교신학대학교 · 경남과학기술대학교 · 경주대학교 · 광운대학교 · 금오공과대학교 · 동양대학교 · 서남대학교 · 선문대학교 · 영산대학교 · 위덕대학교 · 을지대학교 · 한려대학교 · 한중대학교 |
A | 서경대학교 · 용인대학교 · 장로회신학대학교 |
---|---|
B | 경기대학교 · 국민대학교 · 숙명여자대학교 · 순천향대학교 · 아주대학교 · 연세대학교 · 총신대학교 |
C | 가천대학교 · 경희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대진대학교 · 동아대학교 · 명지대학교 · 부산외국어대학교 · 세종대학교 · 울산대학교 · 인천대학교 · 창원대학교 · 한서대학교 |
D | 강릉원주대학교 · 군산대학교 · 덕성여자대학교 · 부경대학교 · 수원대학교 · 인제대학교 · 호남대학교 |
E | 경성대학교 · 서남대학교 |
2016년은 사범계열 설치 일반대학을 평가했고, 각 부문에서 건양대학교, 고신대학교, 가천대학교, 가톨릭대학교, 서경대학교, 영남신학대학교, 남서울대학교, 덕성여자대학교, 용인대학교, 장로회신학대학교, 경기대학교, 국민대학교 등이 선전했다.[29]
2017년
[편집]2017년은 전문대학과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실기교사를 양성하는 일반대학 등을 평가하였다.[30]
5주기
[편집]이번 평가부터 교원양성기관평가의 명칭을, 교원양성기관역량진단으로 변경한다.
2018년
[편집]A | 경인교육대학교 · 광주교육대학교 · 대구교육대학교 · 전주교육대학교 · 청주교육대학교 · 춘천교육대학교 · 한국교원대학교 |
B | 공주교육대학교 · 부산교육대학교 · 서울교육대학교 · 진주교육대학교 |
C | |
D | |
E |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사범대학, 교육대학원, 교육대학교육대학원, 일반대학 교육과 등
- ↑ 교원양성기관역량진단센터 소개
- ↑ 교원양성기관역량진단센터 비전
- ↑ 교원양성기관역량진단센터 항목 및 준거
- ↑ 유아교육과, 특수교육과, 보건교육과 등
- ↑ 교원양성기관역량진단센터_1~2주기[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가 나 교원양성기관역량진단센터_3주기 평가[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가 나 2011년 교원양성기관 평가 결과 발표, 교육과학기술부 보도자료, 2011년 9월 2일
- ↑ 유아특수교육과
- ↑ 특수교육학부 초등특수교육전공
- ↑ 유아교육과
- ↑ 2012년 교원양성기관 평가 결과 발표, 교육과학기술부 보도자료, 2012년 8월 30일
- ↑ 수학교육과
- ↑ 가정교육과
- ↑ 삼척캠퍼스
- ↑ 천안캠퍼스
- ↑ 세종캠퍼스
- ↑ 2015년 교원양성기관 평가 결과 발표, 교육부 보도자료, 2015년 3월 23일
- ↑ 중등특수교육과, 초등특수교육과
- ↑ 초등특수교육과, 중등특수교육과
- ↑ 기술교육과, 특수교육과
- ↑ 기독교교육과
- ↑ 초등특수교육과, 중등특수교육과
- ↑ 유아교육과
- ↑ 역사교육과
- ↑ 특수체육교육과, 윤리교육과, 교육학과
- ↑ 유아교육과
- ↑ 유아교육과
- ↑ 2016년 교원양성기관 평가 발표, 교육부 보도자료, 2017년 1월 24일
- ↑ 교원양성기관역량진단센터_4주기 평가[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