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산골공룡공원

고산골공룡공원 내 경상 누층군 반야월층에 드러난 고산골 화석지 공룡발자국화석 및 연흔 구조

고산골공룡공원(고산골恐龍公園, Gosangol Dinosaur Park)은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남구 봉덕동 고산골에 위치한 공룡발자국 화석산지이다. 이곳에는 중생대 백악기퇴적암 지층 경상 누층군 반야월층의 암회색색 노두 상에 공룡발자국 화석과 연흔건열 구조가 드러나 있다.

개요

[편집]

고산골 공룡공원은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남구 봉덕동에 위치한 생태학습공원이다. 가족 단위 나들이 명소로 유명하며 특히 어린이 동반 가족 방문객들에게 인기 있는 장소이다.[1] 화산 폭발로 형성된 앞산의 역사적 지층을 기반으로 하여 중생대 백악기의 공룡 발자국 화석을 찾아볼 수 있는 장소로 알려져 있다

고산골공룡공원에서는 실제 크기의 움직이는 공룡 조형물과 함께 화석 발굴 모래놀이 시설이 운영된다. 방문객들은 공룡 해설사를 통해 공룡에 대한 학습과 체험을 할 수 있으며, 메타세쿼이아, 은행나무, 고사리 등 중생대부터 살아온 식물도 관찰할 수 있다.

2017년에 개장한 이후개장 초기 한 해 동안 100만 명 이상의 탐방객이 다녀갔으며, 이는 대구의 주요 관광 명소로 자리 잡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 유치원 및 초등학교 학생들의 현장 관찰 학습장으로도 널리 활용되며, 학습과 체험을 동시에 제공하는 장소로 인기를 끌고 있다.[2]

고산골공룡공원은 단순한 관광 명소를 넘어, 공룡과 자연에 대한 교육적 가치가 높아 많은 방문객들이 자연을 배우고 경험하는 장소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공원 내 다양한 시설과 프로그램을 통해 방문객들은 즐거운 체험과 함께 교육적 정보를 얻을 수 있다.

고산골이라는 이름은 이 지역의 지형적 특성과 관련이 있으며, 대구광역시 남구 봉덕동의 앞산 고산골 하천 바닥에 발달한 공룡 발자국 화석을 기반으로 하여 '대구 고산골 공룡 발자국 화석'이라는 명칭이 붙여졌다. 이 지역에는 약 10여 개 이상의 공룡 발자국 화석이 분포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과거의 생태 환경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3]

지질

[편집]

약 1억 년 전 중생대 백악기 동안, 대구와 영남 지역은 거대한 습지 형태의 호수를 이루었으며, 이 지역은 공룡들이 서식하기에 적합한 환경을 제공했다. 당시 다양한 공룡들이 이 지역에 살았으며, 그들의 발자국이 지금의 고산골에서 발견되었다. 고산골에서 발견된 공룡 발자국은 주로 용각류와 조각류의 초식공룡 발자국으로, 몇몇 발자국은 육식공룡으로 보이는 수각류의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이 지역에서 발견된 발자국들은 공룡들이 남긴 중요한 지질학적 자료로, 고대 호수의 퇴적 환경과 기후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4]

고산골공룡공원의 발자국 화석은 중생대 백악기의 지층 경상 누층군 반야월층에 드러나 있다. 앞산 동북쪽 계곡 바닥의 반야월층의 혼펠스질 셰일과 셰일질이암에서 4 내지 5점의 조각류용각류에 해당하는 공룡의 발자국 화석이 드러나 있으며 연흔과 건열 구조도 드러나 있다. 이 공원은 2016년 9월 개장하여 화석 안내 표지판과 함께 공룡의 모형 화석 등 유소년을 위한 공룡 공원이 조성되어 있다. 공룡 발자국의 보존 상태가 뚜렷하지 않고 규모도 작지만 지역 주민들에게 자연사 체험의 여가 공간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지질 유산의 사회적 활용을 극대화시킨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5]

반야월층에 드러난 고산골 화석지 건열 구조

고산골에 나타나는 화석은 고산골 계곡 하상에 있는 약 25 m2 넓이의 지층면에서 11개 나타나며 조각류의 것이 4개, 용각류의 앞뒤 발자국이 7개이다. 세 발가락을 가진 조각류의 발자국 길이는 약 30 cm 이고 역사다리꼴 모양 용각류 뒷발자국 길이는 약 50 cm이다.

교통

[편집]

공원에는 자동차 주차장이 있으며 간선 240, 349, 410번 버스(정류장: 고산골입구, 효성타운앞)를 이용해서 접근할 수 있다.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추, 연창 (2016. 12. 27.). “대구 앞산 공룡공원, 자녀 동행 답사지로 인기”. 《오마이뉴스》. 
  2. “고산골 공룡공원 - 대구관광안내”. 《대구트립로드》. 
  3. 전, 영권. “전영권, 『살고 싶은 그곳, 흥미로운 대구 여행』(푸른길, 2014) 전영권, 『이야기로 풀어보는 대구지명유래』(1)-중·남·서구 편(신일, 2017) 추천하기2”. 《대구역사문화대전》. 
  4. 전, 영권. “대구역사문화대전 - 대구 고산골 공룡 발자국 화석”. 《대구역사문화대전》. 
  5. 정대교; 신승원; 공은혜 (강원대학교); 백인성; 김현주; 박정규 (부경대학교); 임현수; 강희철; 조형성; 이성준; 채용운 (부산대학교); 허민; 김종선 (전남대학교); 황상구 (안동대학교) (2017년 11월). 《경북권 지질유산 발굴 및 가치평가》. 대한지질학회. 

7ㅂ7ㄱ

틀:한국의 지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