엉덩관절 모음근
엉덩관절 모음근 | |
---|---|
엉덩관절 모음근과 인접 근육들 | |
정보 | |
이는곳 | 두덩뼈 |
닿는곳 | 넙다리뼈, 정강뼈 |
신경 | 폐쇄신경 |
작용 | 엉덩관절을 모음 |
영어 | adductor muscles of the hip |
엉덩관절 모음근(adductor muscles of the hip) 또는 고관절 내전근(股關節內轉筋)은 넓적다리안쪽칸에 위치하며, 고관절을 움직여 넓적다리를 서로 모으는 작용을 주로 하는 근육들을 총칭하여 이르는 용어이다.
구조
[편집]엉덩관절 모음근을 이루는 근육들은 다음과 같다.
이들은 모두 넓적다리안쪽칸에 속하며, 두덩뼈와 궁둥뼈에서 시작하여 주로 넙다리뼈의 뒤안쪽 면에 닿는다.
근육 | 이는곳 | 닿는곳 | 신경 분포[2] |
짧은모음근 | 아래두덩가지 | 거친선의 안쪽능선 | 폐쇄신경 (L2-L4) |
긴모음근 | 두덩뼈결절 아래쪽의 두덩뼈 앞면 | 거친선 안쪽능선 | 폐쇄신경 (L2-L4) |
큰모음근 | 아래두덩가지, 궁둥뼈결절 | 거친선 안쪽능선, 모음근결절 | 폐쇄신경, 정강신경 (L2-L5) |
작은모음근 | 아래두덩가지 | 거친선 안쪽능선 | 폐쇄신경 (L2)[3] |
두덩근 | 두덩근선 | 두덩근선 | 넙다리신경, 가끔 폐쇄신경 (L2-L4) |
두덩정강근 | 아래두덩가지 | 정강뼈의 거위발 | 폐쇄신경 (L2-L3) |
바깥폐쇄근 | 폐쇄막 가쪽 표면과 궁둥두덩가지 | 돌기오목목 | 폐쇄신경 뒤가지 (L5-S2) |
신경 분포
[편집]엉덩관절 모음근 중 두덩근만 넙다리신경의 지배를 받는다. 나머지 엉덩관절 모음근은 모두 폐쇄신경의 지배를 받는데,[1] 유일한 예외는 정강신경이 분포하는 큰모음근의 작은 일부분뿐이다.[4]
변이
[편집]전체 인구의 33% 정도에서 짧은모음근과 작은모음근이 중복으로 존재한다. 존재하는 경우 이 근육은 아래두덩가지 상부에서 시작하여 아래가쪽으로 비스듬히 주행한다. 그중 절반은 작은모음근이 닿는 널힘줄 앞면에 닿으며, 나머지 절반에서는 두덩근선 상부나 작은돌기 뒷부분에 닿는다.[5]
각주
[편집]- ↑ 가 나 Platzer, Werner (2004), " Color Atlas of Human Anatomy, Vol. 1, Locomotor System, Thieme, 5th ed, p 240
- ↑ Bojsen-Møller, Finn; Simonsen, Erik B.; Tranum-Jensen, Jørgen (2001). 《Bevægeapparatets anatomi》 [Anatomy of the Locomotive Apparatus] (덴마크어) 12판. 364–367쪽. ISBN 978-87-628-0307-7.
- ↑ “Adductor minimus”. AnatomyExpert. 2013년 4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4월 30일에 확인함.
- ↑ Bojsen-Møller, Finn; Simonsen, Erik B.; Tranum-Jensen, Jørgen (2001). 《Bevægeapparatets anatomi》 [Anatomy of the Locomotive Apparatus] (덴마크어) 12판. 266쪽. ISBN 978-87-628-0307-7.
- ↑ Nakamura E, Masumi S, Miura M, Kato S, Miyauchi R (August 1992). “A supernumerary muscle between the adductors brevis and minimus in humans.”. 《Okajimas Folia Anat Jpn》 (Okajimas Folia Anat Jpn. 1992 Aug;69(2-3):89-98.) 69 (2-3): 89–98. PMID 14369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