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아리뒤칸
종아리뒤칸 | |
---|---|
![]() 종아리의 근막칸을 나타낸 그림 | |
종아리뒤칸의 해부 영상 (6분 39초) | |
정보 | |
동맥 | 뒤정강동맥 |
신경 | 정강신경 |
식별자 | |
라틴어 | compartimentum cruris posterius |
영어 | posterior compartment of leg |
TA98 | A04.7.01.006 |
TA2 | 2654 |
FMA | 45167 |
종아리뒤칸(posterior compartment of the leg)은 종아리근막칸 중 하나로 다시 얕은층과 깊은층으로 나뉜다.
구조
[편집]근육
[편집]얕은층
[편집]그림 | 근육 | 이는곳 | 닿는곳 | 분포하는 신경 | 주된 작용 ! |
---|---|---|---|---|---|
![]() | 장딴지근 | 가쪽갈래: 넙다리뼈의 가쪽관절융기 가쪽 측면 안쪽갈래: 안쪽관절융기 위쪽, 넙다리뼈의 오금 쪽 면 | 발꿈치힘줄(아킬레스건)을 통해 발꿈치뼈의 뒷면에 닿음 | 정강신경 (S1, S2) | 무릎이 펴져 있을 때는 발목을 발바닥 쪽으로 굽힘. 걷는 동안 발뒤꿈치를 올림. 무릎관절에서 종아리를 굽힘. |
![]() | 장딴지빗근 | 넙다리뼈의 가쪽관절융기위능선의 아래쪽 끝, 빗오금인대 | 발목의 발바닥굽힘을 약하게 도움 | ||
![]() | 가자미근 | 종아리뼈의 머리 뒷면과 위쪽 1/4, 정강뼈의 가자미근선과 안쪽 경계 중간 1/3, 힘줄활 | 무릎의 위치와 관계없이 발바닥굽힘을 일으킴, 종아리를 안정하게 함 |
깊은층
[편집]그림 | 근육 | 이는곳 | 닿는곳 | 분포하는 신경 | 주된 작용 |
---|---|---|---|---|---|
![]() | 긴엄지굽힘근 | 종아리뼈 뒷면의 아래쪽 2/3, 뼈사이막의 아래쪽 부분 | 엄지발가락의 먼쪽발가락뼈 바닥 | 정강신경 (S1, S2) | 모든 관절에서 엄지발가락을 굽힘, 약하게 발목의 발바닥굽힘을 일으킴, 세로 방향 발의 아치를 지지 |
![]() | 뒤정강근 | 뼈사이막, 가자미근선 아래쪽의 정강뼈 뒷면, 종아리뼈 뒷면 | 발배뼈의 결절, 쐐기뼈, 입방뼈, 발꿈치뼈의 목말받침돌기, 둘째부터 넷째까지 발허리뼈의 바닥 | 정강신경 (L4, L5) | 발목의 발바닥굽힘, 발의 안번짐 |
![]() | 긴발가락굽힘근 | 정강뼈의 뒷면 안쪽, 종아리뼈에서는 넓은 힘줄로 시작 | 가쪽 발가락 네 개의 먼쪽발가락뼈 바닥 | 정강신경 (S1, S2) | 가쪽 네 개의 발가락을 굽힘, 발목의 발바닥굽힘, 세로 방향 발의 아치를 지지 |
![]() | 오금근 | 넙다리뼈 가쪽관절융기의 가쪽 면, 가쪽반달 | 가자미근선 위쪽의 정강뼈 뒷면 | 정강신경 (L4, L5, S1) | 무릎을 약하게 굽힘, 고정된 정강뼈에 대해 넙다리뼈를 돌려 잠긴 무릎을 풂 (unlock), 지면에 닿지 않은 쪽 다리의 정강뼈를 안쪽으로 돌림 |
혈액 공급
[편집]뒤정강동맥이 종아리뒤칸에 혈액을 공급한다.
신경 분포
[편집]정강신경이 종아리뒤칸에 분포한다.
기능
[편집]종아리뒤칸에는 발바닥굽힘을 일으키는 근육들이 들어가 있다.[4]
추가 이미지
[편집]- 종아리뒤칸 얕은층
- 종아리뒤칸 깊은층
각주
[편집]외부 링크
[편집]위키미디어 공용에 종아리뒤칸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Diagram at patientcareonlin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