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릉 호해정

강릉호해정
(江陵湖海亭)
대한민국 강원특별자치도유형문화재
종목유형문화재 (구)제62호
(1979년 5월 30일 지정)
수량1동
위치
강릉 호해정은(는) 대한민국 안에 위치해 있다
강릉 호해정
강릉 호해정
주소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경포로463번안길 83 (저동)
좌표북위 37° 48′ 06″ 동경 128° 53′ 49″ / 북위 37.80167° 동경 128.89694°  / 37.80167; 128.89694
정보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정보

강릉 호해정(江陵 湖海亭)은 대한민국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저동, 경포호의 북쪽 언덕 위에 위치한 정자이다. 1979년 5월 30일 강원특별자치도의 유형문화재 제62호로 지정되었다.

개요

[편집]

경포호의 북쪽 언덕 위에 위치한 정자로 조선 중종(재위 1506∼1544) 때 김습독이 처음 지었다. 그 뒤로 그의 사위 장호를 거쳐 장호의 동생 민의 사위 김몽호에게 넘겨진 후, 지금까지 그의 자손들이 관리하고 있다.

이 부근 대부분의 정자들이 경포호가 바라보이는 곳에 있는데 반해, 호해정은 경포호의 동북쪽 깊숙한 산기슭에 자리잡고 있다.

사실 호해정(湖海亭)은 호수와 바다를 바라보고 있어 ‘호해정’이란 이름이 붙게 된 것인데, 과거에는 호해정 바로 앞에 호수가 있었고 10리 밖으로 경포대 바다도 보였다고 하지만, 현재는 아파트단지에 가려 바다도 보이지 않고, 앞에 있던 호수는 매립되어 농경지가 되었다.[1]

앞면 2칸·옆면 2칸 규모로, 지붕 옆면이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집이다. 소박한 모습을 띤 이 정자는 온돌방과 마루방을 두고 방 사이에 분리할 수 있는 분합문을 달아, 필요할 때 하나의 방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였다.

지금도 김몽호의 후손들이 해마다 9월에 이곳에서 차례를 지낸다.[2]

현재까지도 시에서 지속적으로 길게 자란 풀을 깎고 부서진 기와를 수리하는 등의 관리를 이어 나가고 있다.

지도

[편집]

사진/동영상

[편집]

호해정 사진 보러가기

호해정 동영상 보러가기

건물 도면

[편집]

옛그림/고지도

[편집]

같이 보기

[편집]

참고 자료

[편집]

각주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