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recking Ball (브루스 스프링스틴의 음반)
《Wrecking Ball》 | ||||
---|---|---|---|---|
![]() | ||||
브루스 스프링스틴의 정규 음반 | ||||
발매일 | 2012년 3월 6일[1] | |||
녹음일 | 2011년~2012년 1월 | |||
장르 | 하트랜드 록, 포크 록 | |||
길이 | 51:40 | |||
언어 | 영어 | |||
레이블 | 컬럼비아 | |||
프로듀서 | 론 아니엘로, 브루스 스프링스틴 | |||
브루스 스프링스틴 연표 | ||||
|
전문가 평가 | |
---|---|
총 점수 | |
출처 | 점수 |
AnyDecentMusic? | 7.7/10[2] |
메타크리틱 | 78/100[3] |
평가 점수 | |
출처 | 점수 |
AllMusic | ![]() ![]() ![]() ![]() ![]() |
The A.V. Club | B+[5] |
The Guardian | ![]() ![]() ![]() ![]() ![]() |
The Independent | ![]() ![]() ![]() ![]() ![]() |
MSN Music (Expert Witness) | A–[8] |
NME | 8/10[9] |
Pitchfork | 5.9/10[10] |
Rolling Stone | ![]() ![]() ![]() ![]() ![]() |
Slant Magazine | ![]() ![]() ![]() ![]() ![]() |
Spin | 7/10[13] |
《Wreaking Ball》은 미국의 싱어송라이터 브루스 스프링스틴의 열일곱 번째 스튜디오 음반으로, 2012년 3월 6일, 컬럼비아 레코드에서 발매되었다. 이 음반은 《롤링 스톤》에 의해 2012년 최고의 음반으로 선정되었으며[14], 이 음반의 첫 번째 싱글인 〈We Take Care of Our Own〉과 함께 세 개의 그래미 어워드 후보에 올랐다.[15][16]
배경 및 녹음
[편집]이 음반에는 2011년 6월에 사망한 클래런스 클레먼스가 피처링한 곡들이 포함되어 있다. 클레먼스는 〈Land of Hope and Dreams〉에서 색소폰 솔로를 연주하고, 타이틀곡에서는 색소폰 리듬을 지원한다.[17]
이 음반의 지지 투어에는 현재 E 스트리트 밴드 라인업이 모두 포함되었지만, 이 음반에 등장하는 유일한 E 스트리트 밴드 멤버는 클레먼스, 스티븐 밴 잰트, 맥스 와인버그, 패티 시알파이며, 부 멤버 찰리 지오다노와 수지 타이렐도 많이 참여하고 있다. 이 음반에는 호른 섹션과 톰 모렐로와 매트 체임벌린의 특별 게스트 참여를 포함한 세션 밴드의 멤버들이 참여했다.[18][19]
상업적 성과
[편집]이 음반은 각각 약 19만6천장과 7만4천장의 음반이 팔려 미국과 영국 차트를 포함한 16개국에서 1위로 데뷔했다.[20][21] 《Wrecking Ball》은 스프링스틴의 미국 내 10번째 1위 음반이 되었고, 엘비스 프레슬리와 함께 역대 3번째로 많은 1위 음반이 되었다. 비틀즈 (19위)와 제이Z (12위)만이 더 많은 1위 음반을 가지고 있다.[22] 닐슨 사운드스캔에 따르면 2013년 11월까지 《Wrecking Ball》은 미국에서 506,000장이 팔렸다.[23]
버락 오바마 대통령은 〈We Take Care Our Own〉을 그의 최고의 선거 노래 중 하나로 사용했고 그것은 선거일 밤 그의 승리 연설 직후를 포함한 그의 재선 선거 운동 기간 중 많은 곳에서 연주되었다. 스프링스틴은 또한 그가 짧은 어쿠스틱 세트를 공연했던 그의 마지막 유세지에 꽤 많이 나타났다. 그 노래의 사용은 그 노래의 판매를 409퍼센트 증가시키는데 도움을 주었다.[24]
곡 목록
[편집]모든 곡들은 브루스 스프링스틴에 의해 작사/작곡하였다.
# | 제목 | 재생 시간 |
---|---|---|
1. | 〈We Take Care of Our Own〉 | 3:54 |
2. | 〈Easy Money〉 | 3:37 |
3. | 〈Shackled and Drawn〉 | 3:46 |
4. | 〈Jack of All Trades〉 | 6:00 |
5. | 〈Death to My Hometown〉 | 3:29 |
6. | 〈This Depression〉 | 4:08 |
7. | 〈Wrecking Ball〉 | 5:49 |
8. | 〈You've Got It〉 | 3:48 |
9. | 〈Rocky Ground〉 | 4:41 |
10. | 〈Land of Hope and Dreams〉 | 6:58 |
11. | 〈We Are Alive〉 | 5:36 |
# | 제목 | 재생 시간 |
---|---|---|
12. | 〈Swallowed Up (In the Belly of the Whale)〉 | 5:28 |
13. | 〈American Land〉 | 4:25 |
인증
[편집]국가 | 인증 | 판매량/출하량 |
---|---|---|
오스트레일리아 (ARIA)[25] | 골드 | 35,000^ |
오스트리아 (IFPI 오스트리아)[26] | 골드 | 10,000* |
캐나다 (뮤직 캐나다)[27] | 골드 | 40,000^ |
핀란드 (Musiikkituottajat)[28] | 플래티넘 | 20,814[28] |
프랑스 (SNEP)[29] | 골드 | 50,000* |
독일 (BVMI)[30] | 플래티넘 | 200,000^ |
아일랜드 (IRMA)[31] | 플래티넘 | 15,000^ |
이탈리아 (FIMI)[32] | 플래티넘 | 60,000* |
포르투갈 (AFP)[33] | 골드 | 7,500^ |
스페인 (PROMUSICAE)[34] | 플래티넘 | 40,000^ |
스웨덴 (GLF)[35] | 플래티넘 | 40,000![]() |
스위스 (IFPI 스위스)[36] | 골드 | 15,000^ |
영국 (BPI)[37] | 골드 | 100,000* |
미국 | — | 506,000[23] |
요약 | ||
전 세계 (2012년) | — | 1,500,000[38] |
*판매량을 기반으로 한 인증 ^출하량을 기반으로 한 인증 ![]() |
각주
[편집]- ↑ “Wrecking Ball”. 2021년 10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9월 28일에 확인함.
- ↑ “Wrecking Ball by Bruce Springsteen reviews”. AnyDecentMusic?. 2016년 11월 1일에 확인함.
- ↑ “Wrecking Ball by Bruce Springsteen”. 2016년 11월 1일에 확인함.
- ↑ Erlewine, Stephen Thomas (2012년 3월 6일). “Allmusic review”.
- ↑ Hyden, Steven (2012년 3월 6일). “Review: Bruce Springsteen: Wrecking Ball”. 《The A.V. Club》 (Chicago). 2014년 10월 9일에 확인함.
- ↑ Petridis, Alex (2012년 3월 1일). “The Guardian review”. London.
- ↑ Gill, Andy (2012년 3월 2일). “The Independent review”. London.
- ↑ Christgau, Robert (2012년 3월 27일). “Bruce Springsteen/Madonna”. 《MSN Music》. 2012년 4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3월 27일에 확인함.
- ↑ MacBain, Hamish (2012년 3월 2일). “NME Album Reviews – Bruce Springsteen – 'Wrecking Ball'”. 《NME》. 2013년 1월 7일에 확인함.
- ↑ Dombal, Ryan (2012년 3월 7일). “Pitchfork review”.
- ↑ “Rolling Stone review”. 2012년 3월 6일. 2017년 10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9월 22일에 확인함.
- ↑ Cataldo, Jesse (2012년 3월 6일). “Bruce Springsteen: Wrecking Ball”. 《Slant Magazine》. 2012년 3월 9일에 확인함.
- ↑ Kandell, Steve (2012년 3월 6일). “Bruce Springsteen, 'Wrecking Ball' (Columbia)”. 《Spin》. 2012년 3월 8일에 확인함.
- ↑ “50 Best Albums of 2012: Bruce Springsteen, 'Wrecking Ball'”. 《Rolling Stone》. 2012년 12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월 7일에 확인함.
- ↑ Ives, Brian (2012년 12월 6일). “Bruce Springsteen Nabs Three Grammy Nominations; "Springsteen" Gets Two More”. 《CBS New York》. 2013년 1월 7일에 확인함.
- ↑ “Bruce Springsteen Added to Grammy Performance Lineup”. 《Grammy.com》. The Recording Academy. 2012년 2월 2일. 2013년 1월 7일에 확인함.
- ↑ “Wrecking Ball sleeve notes”. 《Greasy Lake Community》. 2012년 2월 28일. 2012년 8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3월 3일에 확인함.
- ↑ “Morello enlisted for Springsteen's new album”. 《Yahoo! omg! UK》. 2012년 1월 19일. 2013년 9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3월 3일에 확인함.
- ↑ “Bruce Springsteen Returns With New Album, Wrecking Ball”. 《MTV》. 2012년 1월 19일. 2012년 2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3월 3일에 확인함.
- ↑ Roger Friedman (2012년 3월 13일). “Bruce Springsteen "Wrecking Ball" Number 1, But With Lower Numbers”. 《Forbes》. 2012년 6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4월 7일에 확인함.
- ↑ Barrett, Annie (2012년 3월 14일). “'Wrecking Ball': Bruce Springsteen edges out Adele | The Music Mix | EW.com”. 《Music-mix.ew.com》. 2012년 3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4월 7일에 확인함.
- ↑ “Bruce Springsteen Squeaks By Adele, Earns Tenth No. 1 Album”. 《Billboard.com》. 2009년 3월 14일. 2012년 4월 7일에 확인함.
- ↑ 가 나 Schneider, Marc (2013년 11월 18일). “Bruce Springsteen Announces 'High Hopes' Single; New Album in January?”. 《Billboard》. 2014년 10월 9일에 확인함.
- ↑ “President Obama's DNC Speech Boosts Bruce Springsteen Song Sales by 409% | Billboard”. Billboard.biz. 2013년 1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2월 21일에 확인함.
- ↑ “ARIA Charts – Accreditations – 2013 Albums” (PDF) (영어). 오스트레일리아 음반 산업 협회.
- ↑ “Austrian album certifications – Bruce Springsteen – Wrecking Ball” (독일어). IFPI Austria.
- ↑ “Canadian album certifications – Bruce Springsteen – Wrecking Ball” (영어). 뮤직 캐나다.
- ↑ 가 나 “Bruce Springsteen” (핀란드어). Musiikkituottajat – IFPI Finland.
- ↑ “French album certifications – Bruce Springsteen – Wrecking Ball” (프랑스어). 프랑스 음반 협회.
- ↑ “Gold-/Platin-Datenbank (Bruce Springsteen; 'Wrecking Ball')” (독일어). 독일 음반 산업 협회.
- ↑ “The Irish Charts - 2012 Certification Awards - Platinum” (영어). 아일랜드 음반 산업 협회.
- ↑ “Italian album certifications – Springsteen Bruce – Wrecking Ball” (이탈리아어). 이탈리아 음악 산업 협회. "Anno" 목록 상자 메뉴에서 "Tutti gli anni"를 선택하세요. "Filtra" 필드에서 "Wrecking Ball"(을)를 선택하세요. "Sezione" 아래 "Album e Compilation"를 선택하세요.
- ↑ “Portuguese album certifications – Bruce Springsteen – Wrecking Ball” (포르투갈어). Associação Fonográfica Portuguesa. 2012년 4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Spanish album certifications” (스페인어). Productores de Música de España. Select Albums under "Chart", enter 2013 in the field "Year". Select 01 in the field "Semana". Click on "Search Charts".
- ↑ “Veckolista Album - Vecka 28, 13 juli 2012” (스웨덴어). 스베리예토프리스탄. 2011년 7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7월 20일에 확인함.
- ↑ “The Official Swiss Charts and Music Community: Awards (Bruce Springsteen; 'Wrecking Ball')”. IFPI Switzerland. Hung Medien.
- ↑ “British album certifications – Bruce Springsteen – Wrecking Ball” (영어). 영국 축음기 협회.
- ↑ “Recording Industry in Numbers” (PDF). International Federation of the Phonographic Industry. 2013. 11면. 2013년 4월 9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9월 15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 Wrecking Ball - 디스코그스 (발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