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inkiller (주다스 프리스트의 음반)

《Painkiller》
주다스 프리스트정규 음반
발매일1990년 9월 17일[1]
녹음일1990년 1월~3월
장르헤비 메탈[2][3], 스피드 메탈[4]
길이46:08
언어영어
레이블컬럼비아
프로듀서크리스 샹그리디
주다스 프리스트 연표
Ram It Down
(1988)
Painkiller
(1990)
Jugulator
(1997)

Painkiller》는 영국헤비 메탈 밴드 주다스 프리스트가 1990년 9월 17일에 발매한 열두 번째 스튜디오 음반이다. 2005년 음반 《Angel of Retribution》에 복귀할 때까지 리드 싱어인 롭 핼퍼드가 참여한 마지막 주다스 프리스트 음반이자 드러머 스콧 트래비스가 참여한 첫 음반이다.

녹음

[편집]

《Painkiller》는 1989년 오랜 기간 드러머였던 데이브 홀랜드를 대체한 스콧 트래비스가 등장한 주다스 프리스트 첫 음반이다. 트래비스는 이전에 로스엔젤레스 밴드 레이서 X 멤버였으며 더블 페달과 폭발 비트를 많이 사용하면서 주다스 프리스트에게 새로운 사운드와 무거운 엣지를 주었다. 《Painkiller》는 헤비 메탈로 묘사되었으며[5][6][7], 상대적으로 강렬한 사운드 때문에 스피드 메탈로 묘사되었다.[5][8]

이 음반은 1990년 초 프랑스 브리뇰의 미라발 스튜디오에서 녹음했고 그해 말 네덜란드 힐베르쉼의 위셀로어드 스튜디오에서 혼합했다. 주다스 프리스트가 톰 알롬과 함께 일하지 않았던 1978년 《Killing Machine》 이후 처음으로 밴드와 크리스 샹그리디가 프로듀싱을 하였으며, 1976년의 《Sad Wings of Destiny》 이후 처음으로 주다스 프리스트와 샹그리디가 함께 작업하였다.

돈 에어리는 〈A Touch of Evil〉에서 키보드를 연주하기 위해 영입되었다. 2020년 인터뷰에서 에어리는 미니무그 신시사이저를 사용하여 음반의 베이스 파트를 대부분 두 배로 늘렸다고 밝혔다.[9][10]

평가

[편집]
전문가 평가
평가 점수
출처점수
AllMusic4/별[11]
The Rolling Stone Album Guide3/별[12]
Sputnikmusic5/5[5]
Record Collector4/별[13]
The Great Rock Discography8/10[14]
Select3/medal[15]
Encyclopedia of Popular Music3/별[16]

《Painkiller》에 대한 평가는 대체로 긍정적이었으며, 특히 메탈 커뮤니티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올뮤직의 스티브 휴이는 이 음반을 찬양하며 "트래비스의 우뢰처럼 강렬하고 선명한 타격이 밴드 멤버들에게 즉시 자극을 주고, 글렌 팁턴K.K. 다우닝은 압도적이고 악마적인 리프를 쏟아내며, 롭 핼퍼드는 마치 사악한 마녀처럼 비명을 지르며 그의 경력에서 가장 악랄한 듯한 퍼포먼스를 선보인다. 이는 아무런 예고 없이 등장한 음악적 선언으로, 조지 포먼의 복귀에 필적하는 사건이다"고 말했다. 스푸트니크뮤직의 미케센은 이 음반에 5점 만점에 5점을 주며 "《Painkiller》는 글렌과 K.K.의 기억에 남을 많은 리프와 솔로로 가득 차 있다. 이 음반에서 가장 뛰어난 순간은 강렬한 리프와 핼퍼드의 울부짖는 보컬이 결합된 부분이다. 《Painkiller》의 곡들은 시작부터 끝까지 매우 에너제틱하며, 각 멤버들은 서로의 퍼포먼스에서 영감을 받는 듯 보인다"고 평가했다. 또한, metal-archives.com에서는 26개의 리뷰를 바탕으로 이 음반의 평균 점수가 92%에 달한다.[17]

《Painkiller》의 수록곡 대부분은 Painkiller World Tour에서 라이브로 공연되었으며, 타이틀곡은 밴드의 콘서트에서 자주 연주되는 곡 중 하나가 되었다. 〈Hell Patrol〉, 〈All Guns Blazing〉, 〈A Touch of Evil〉, 〈Night Crawler〉, 〈Between the Hammer and the Anvil〉은 이후 투어에서도 세트리스트에 포함되었으나, 〈Metal Meltdown〉과 〈Leather Rebel〉은 1990년에 몇 차례 공연된 후 세트리스트에서 제외되었다. 〈One Shot at Glory〉와 그 인트로인 〈Battle Hymn〉은 2021년 8월까지 라이브로 연주되지 않았으며, 해당 곡들은 블러드스톡 오픈 에어 페스티벌에서 열린 주다스 프리스트의 공연에서 처음으로 연주되었다.

롭 핼퍼드의 출발

[편집]

이번 음반 투어에 이어 1992년 5월, 가수 롭 핼퍼드가 밴드를 떠나 1990년대 내내 예전 밴드 동료들과 거의 연락을 하지 않았다. 그 이유는 핼퍼드가 자신의 새로운 밴드인 파이트를 만들어 새로운 음악영역을 개척하고자 하는 핼퍼드의 열망과 함께 밴드 내부의 긴장이 높아지고 있었기 때문에 이 창작물이 팔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주다스 프리스트를 법적으로 떠나야 했다. 핼퍼드가 떠난 후 몇 년 동안 주다스 프리스트는 활동을 하지 않았다. 그러나 이 밴드는 결국 1996년에 《Jugulator》와 《Demolition》의 스튜디오 음반에서 공연할 새로운 가수 팀 오언스를 영입했다.

곡 목록

[편집]

모든 곡들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글렌 팁턴, 롭 핼퍼드 그리고 K. K. 다우닝에 의해 작사/작곡하였다.

Side one
#제목재생 시간
1.Painkiller6:06
2.〈Hell Patrol〉3:35
3.〈All Guns Blazing〉3:56
4.〈Leather Rebel〉3:34
5.〈Metal Meltdown〉4:46

Side two
#제목작사·작곡재생 시간
6.〈Night Crawler〉 5:44
7.〈Between the Hammer & the Anvil〉 4:47
8.A Touch of Evil팁턴, 핼퍼드, 다우닝, 크리스 샹그리디5:42
9.〈Battle Hymn〉 (기악) 0:56
10.〈One Shot at Glory〉 6:46

인증

[편집]
국가 인증 판매량/출하량
캐나다 (뮤직 캐나다)[18] 골드 50,000^
미국 (RIAA)[19] 골드 500,000^
일본 (RIAJ)[20] 골드 0^
^출하량을 기반으로 한 인증

각주

[편집]
  1. “New Albums”. 《Music Week》. 1990년 9월 15일. 30쪽. 
  2. Sharpe-Young, Garry (2007). 《Metal: The Definitive Guide》. Jawbone Press. 39–40쪽. ISBN 9781906002015. All in all, Painkiller put Judas Priest back at the top of the heavy metal pile. 
  3. Popoff, Martin (2004). 《The Top 500 Heavy Metal Albums of All Time》. ECW Press. 63–4쪽. ISBN 9781554902453. 
  4. Huey, Steve ( 4 August 2006). “Judas Priest – Painkiller”. AllMusic. 8 June 2018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 June 2013에 확인함. 
  5. Stagno, Mike ( 4 August 2006). “Judas Priest – Painkiller”. Sputnikmusic. 28 February 2012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8 May 2012에 확인함. 
  6. Sharpe-Young, Garry (2007). 《Metal: The Definitive Guide》. Jawbone Press. 39–40쪽. ISBN 9781906002015. All in all, Painkiller put Judas Priest back at the top of the heavy metal pile. 
  7. Popoff, Martin (2004). 《The Top 500 Heavy Metal Albums of All Time》. ECW Press. 63–4쪽. ISBN 9781554902453. 
  8. Huey, Steve (2006년 8월 4일). “Judas Priest – Painkiller”. AllMusic. 2018년 6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6월 20일에 확인함. 
  9. Greg Kennelty (2020년 11월 7일). “Shocking Revelations: Deep Purple's Keyboardist Reveals He Played Bass on Judas Priest's Painkiller. Metal Injection. 
  10. Administrator. “Don Airey: "Profiként csak egy bizonyos összegért mész el játszani" – Shock!”. 《Shockmagazin》 (헝가리어). 2021년 2월 24일에 확인함. 
  11. Huey, Steve. “Judas Priest - Painkiller”. 《AllMusic. 2020년 2월 5일에 확인함. 
  12. “Judas Priest: Album Guide”. 《Rolling Stone. 2012년 9월 24일에 확인함. 
  13. Davenport, Rich. “Painkiller - Record Collector Magazine”. 《Record Collector. 2019년 5월 15일에 확인함. 
  14. C. Strong, Martin (2004). 《The Great Rock Discography》 7판. Canongate. ISBN 1841955515. 
  15. Putterford, Mark (October 1990). “Hell For Leather”. 《Select》. 4호. 104쪽. 
  16. C. Strong, Martin (2004). 《Encyclopedia of Popular Music》. Canongate. ISBN 1841955515. 
  17. “Judas Priest – Painkiller – Encyclopaedia Metallum: The Metal Archives”. 2018년 6월 8일. 2018년 6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2월 5일에 확인함. 
  18. “Canadian album certifications – Judas Priest – Screaming for Vengeance” (영어). 뮤직 캐나다. 
  19. “American album certifications – Judas Priest – Screaming for Vengeance” (영어). 미국 음반 산업 협회. 
  20. “Japanese album certifications – Judas Priest – Screaming for Vengeance” (일본어). Recording Industry Association of Japan. 

외부 링크

[편집]